$\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엇갈린 교합에서 implant와 magnetic attachment를 이용한 국소의치 증례
Implant supported removable dental prosthesis with magnetic attachment in crossed occlusion: A case report 원문보기

대한치과보철학회지 = The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prosthodontics, v.55 no.1, 2017년, pp.53 - 60  

이유진 (경희대학교 치과대학 치의학전문대학원 강동경희대치과병원 생체재료 보철과) ,  이성복 (경희대학교 치과대학 치의학전문대학원 강동경희대치과병원 생체재료 보철과) ,  이석원 (경희대학교 치과대학 치의학전문대학원 강동경희대치과병원 생체재료 보철과) ,  박수정 (경희대학교 치과대학 치의학전문대학원 강동경희대치과병원 생체재료 보철과) ,  안수진 (경희대학교 치과대학 치의학전문대학원 강동경희대치과병원 생체재료 보철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부분 무치악 환자에서 구강 기능의 회복을 위한 보철 계획을 수립할 때, 잔존하는 치아에 따라 다양한 치료 방법을 선택할 수 있다. 특히 대합이 상실된 소수의 잔존치가 불안정한 교합을 야기하는 엇갈린 교합의 경우, 대합 되는 위치에 임플란트를 식립함으로써 교합지지를 회복할 수 있다. 이 증례에서는 발치 후 엇갈린 교합이 된 환자에서 의치의 하중을 견딜 수 있도록 상악 잔존치에 대응하는 하악 무치악 부위에 임플란트를 식립하고 자석유지장치(magnetic attachment)를 연결하는 국소의치를 제작하였다. 또한 상악 전치의 돌출과 하악 입술 지지도가 부족한 것을 개선하고 싶어한 환자의 요구사항에 따라 상악 전치부 보철적 수복 및 하악 의치를 통해 심미적 안모를 회복하였다. 5개월 정기검진 결과, 환자는 저작 기능 및 심미적인 면에서 만족하였고 의치의 안정성 또한 잘 유지되고 있기에 이를 보고하고자 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When attempting to restore the oral function of a partially edentulous patient, there are a number of prosthetic treatment options available, depending on the structure of remaining teeth. For example, when only one set of maxillary and mandibular teeth are diagonally in place across from each other...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를 해결하기 위해 의치의 하중을 견딜 수 있도록 상악 잔존치에 대응하는 하악 무치악 부위에 단일 임플란트를 식립하고 자석유지장치(magnetic attachment)를 연결하여 교합지지와 의치유지에 도움을 주는 국소의치를 제작하였다. 그 결과, 장착 후 환자가 저작기능을 회복하여 만족할 만한 결과를 얻었기에 이를 보고하고자 한다.
  • 이 증례에서는 하악에 임플란트를 식립하여 엇갈린 교합의 교합지지 회복 및 의치의 안정을 도모하였고, 상악 전치의 보철수복과 하악 의치를 통해 수평피개를 감소시킴으로써 환자는 심미적인 안모를 회복할 수 있었다. 비록 상악에는 환자의 경제적인 이유로 인해 추가적인 임플란트 식립을 하지 않음으로써 엇갈린 교합의 완전한 회복이 어려웠고, 상악 우측 중절치의 wrought wire 생략이 불가능하여 심미적인 측면에서 한계가 있었으나 최대한의 지지를 얻는 의치의 설계를 통해 기능적 측면을 보완하고자 하였다. 앞으로 지속적인 정기검진으로 유지관리 시행한다면 환자의 만족도 및 예후가 양호할 것으로 사료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엇갈린 교합은 상, 하악 결손상태에 따라 구분되는 3가지의 특징은 무엇인가? 엇갈린 교합이란 상, 하악에 잔존치아가 있지만 구치부의 대합이 상실되어 교두감합위를 잃고 있는 상태를 말하는 것으로 상, 하악 결손상태에 따라 전후 엇갈린 교합, 좌우 엇갈린 교합, 복합 엇갈린 교합으로 분류할 수 있다.2 전후 엇갈린 교합은 전방치군과 후방치군이 엇갈리고 교합위 유지가 없는 경우를 말하고, 좌우 엇갈린 교합은 좌측치군과 우측치군이 엇갈려 교합위 유지가 없는 경우, 복합 엇갈린 교합은 전후와 좌우 엇갈린 교합의 요소가 복합된 증례를 말한다.2
대합이 상실된 소수의 잔존치가 불안정한 교합을 야기하는 엇갈린 교합의 경우 어떤 방법을 통해 교합지지를 회복하는가? 부분 무치악 환자에서 구강 기능의 회복을 위한 보철 계획을 수립할 때, 잔존하는 치아에 따라 다양한 치료 방법을 선택할 수 있다. 특히 대합이 상실된 소수의 잔존치가 불안정한 교합을 야기하는 엇갈린 교합의 경우, 대합 되는 위치에 임플란트를 식립함으로써 교합지지를 회복할 수 있다. 이 증례에서는 발치 후 엇갈린 교합이 된 환자에서 의치의 하중을 견딜 수 있도록 상악 잔존치에 대응하는 하악 무치악 부위에 임플란트를 식립하고 자석유지장치(magnetic attachment)를 연결하는 국소의치를 제작하였다.
엇갈린 교합이란 무엇인가? 엇갈린 교합이란 상, 하악에 잔존치아가 있지만 구치부의 대합이 상실되어 교두감합위를 잃고 있는 상태를 말하는 것으로 상, 하악 결손상태에 따라 전후 엇갈린 교합, 좌우 엇갈린 교합, 복합 엇갈린 교합으로 분류할 수 있다.2 전후 엇갈린 교합은 전방치군과 후방치군이 엇갈리고 교합위 유지가 없는 경우를 말하고, 좌우 엇갈린 교합은 좌측치군과 우측치군이 엇갈려 교합위 유지가 없는 경우, 복합 엇갈린 교합은 전후와 좌우 엇갈린 교합의 요소가 복합된 증례를 말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1)

  1. Kweon HS, Kim MJ, Moon IH. A clinical study on using Konus telescope removable partial denture in presthetic treatment for maxiillary and mandibular teeth cross each other. Oral Biology Res 2000;24:201-14. 

  2. Park NS, Choi DG, Leesungbok R. Prosthodontic treatment for maxillary and mandibular teeth cross each other. Jee Seung Publishing Co., Seoul; 1996. p. 3-93. 

  3. Kay KS, Kim YS, An JK. A clinical study on rehabilitation of vertical dimension in the patient with crossed occlusion. Oral Biology Res 2001;25:127-43. 

  4. Grossmann Y, Nissan J, Levin L. Clinical effectiveness of implantsupported removable partial dentures: a review of the literature and retrospective case evaluation. J Oral Maxillofac Surg 2009;67:1941-6. 

  5. Sato M, Suzuki Y, Kurihara D, Shimpo H, Ohkubo C. Effect of implant support on mandibular distal extension removable partial dentures: relationship between denture supporting area and stress distribution. J Prosthodont Res 2013;57:109-12. 

  6. de Freitas RF, de Carvalho Dias K, da Fonte Porto Carreiro A, Barbosa GA, Ferreira MA. Mandibular implant-supported removable partial denture with distal extension: a systematic review. J Oral Rehabil 2012;39:791-8. 

  7. Gates WD 3rd, Cooper LF, Sanders AE, Reside GJ, De Kok IJ. The effect of implant-supported removable partial dentures on oral health quality of life. Clin Oral Implants Res 2014;25:207-13. 

  8. Tanaka Y. Magnetic attachment. Jee Seung Publishing Co., Seoul; 1999. p. 22-3. 

  9. Rutkunas V, Mizutani H, Takahashi H. Influence of attachment wear on retention of mandibular overdenture. J Oral Rehabil 2007;34:41-51. 

  10. Yang TC, Maeda Y, Gonda T, Kotecha S. Attachment systems for implant overdenture: influence of implant inclination on retentive and lateral forces. Clin Oral Implants Res 2011;22:1315-9. 

  11. Maeda Y, Yang TC, Kinoshita Y. Development of a self-adjusting magnetic attachment for implant overdentures. Int J Prosthodont 2011;24:241-3.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