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아동의 안전사고에 대한 부모의 인식 및 행동
Parents' Perception and Behaviors regarding Child Safety Accidents 원문보기

CHNR : Child health nursing research, v.23 no.1, 2017년, pp.91 - 100  

김신정 (한림대학교 간호학부) ,  이정민 (한림대학교 간호학부) ,  민지영 (한라대학교 간호학부)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parents' perception and behaviors in the case of a child safety accident. Methods: The participants were 254 parents of children under 12 years old. Data were collected from October 12 to November 25, 2016 using self-report questionnaire. Results...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아동의 주 양육자는 부모이며 아동의 사고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로 부모의 안전사고에 대한 인식과 행동은 중요하게 고려된다. 따라서 본 연구는 아동의 안전사고 예방을 위한 부모 안전 교육 프로그램을 재구성하는데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 따라서 본 연구를 통해 아동 부모의 안전사고에 대한 인식 및 행동 을 살펴보고 이에 알맞은 예방 전략을 모색하여 궁극적으로는 아동의 안전사고율을 감소시키고자 한다.
  • 본 연구는 만 12세 이하 아동의 부모를 대상으로 아동의 안전사고에 대한 인식 및 행동을 파악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 본 연구는 아동의 안전사고에 대한 부모의 인식과 안전행동에 대해 살펴봄으로서 아동의 주 양육자인 부모를 대상으로 적절한 안전교육의 방향과 전략을 제시하여 아동의 안전사고율을 감소시키기 위한 기초자료로 사용하기 위해 연구되었다. 아동의 주 양육자는 부모이며 아동의 사고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로 부모의 안전사고에 대한 인식과 행동은 중요하게 고려된다.
  • 본 연구의 목적은 12세 미만 아동의 부모를 대상으로 아동의 안전사고에 대한 인식 및 행동과 상관관계를 알아보았다. 본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추후 아동의 안전사고와 관련하여 부모를 대상으로 교육 자료를 개발하기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할 수 있는 것에 의의가 있다.
  • 본 연구의 목적은 학령기까지를 포함하는 12세 이하 아동의 부모를 대상으로 아동의 안전사고에 대한 인식 및 행동을 파악하기 위함이며 추후 이를 기반으로 아동의 안전사고와 관련한 부모 대상의 교육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하고자 함이다. 이에 따른 구체적인 연구목적은 다음과 같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안전사고로 인해 아동이 손상을 입은 경우,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 아동에게 발생되는 사고는 성인과는 달리 경미할지라도 사고의 후유증이 매우 심각하고 치명적일 수 있다. 안전사고로 인해서 아동이 손상을 입을 경우, 사고 아동에 대한 간호로 인한 성인의 근로손실, 아동의 장애 발생 시 발생하는 비용 등 막대한 사회적 비용이 수반된다. 그러나 우리나라도 최근에는 여성의 사회적 활동의 증가로 아동이 혼자 지내는 시간이 길어지면서 아동의 안전사고가 증가하게 된 반면 가정이나 유치원, 학교에서는 안전교육이 미흡하여 사고에 대한 신속한 대처가 부족한 실정이다.
아동간호의 궁극적 목적은 무엇인가? 아동간호의 궁극적 목적은 아동의 질병을 예방하고 건강을 회복하며, 더 나아가 건강을 증진함으로써 아동이 건강하게 성장 발달하도록 돕는 데 있다[1]. 이를 위해서는 아동의 질병과 상해를 예방하는 것과 더불어 아동의 사고를 예방하는 것이 중요한 요소라고 할 수 있다.
가정 내 환경개선이나 보호자의 인식 개선이 필요하다고 여겨지는 이유는 무엇인가? 2016년 한국소비자원에서 조사한 최근 3년간 아동의 안전사고 실태를 살펴보면 안전사고가 가장 많이 발생한 곳은 ‘주택’(69.1%)으로 과반 수 이상의 아동이 가정에서 안전사고를 경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3]. 이렇듯 안전하다고 여겨지는 가정에서 안전사고가 많이 발생하는 것으로 보아 가정 내 환경개선이나 보호자의 인식 개선이 필요하다고 여겨진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6)

  1. Kim HS, et al. Child, Adolescence Health Nursing, Seoul: Koonja; 2003. P. 4-30. 

  2. Kim MS. Child safety and child injury prevention strategies. Journal of Health and Welfare Policy Monthly Forum. 2016 march;44-61. 

  3. Trend Analysis of Childhood Safety Accident, Korea Consumer Agency. 2016. 

  4. Shin HS, Yoo IY, Park HY. Safety perception and behaviors of mothers with school age children. Journal of East-West Nursing Research. 2007;13(2):130-137. 

  5. Kim SS, Lee ES. A study on the occurrences and causes of accidents in lower grade elementary school children.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1999;29(1):117-126. 

  6. Han JS. How we gonna reduce children safe accident? - Children's living quality and parent's responsibility-. Journal of Acad Child Health Nursing, 2000;20(4):10-15. 

  7. Weiss BD, Duncan B. Bicycle helmet use by children: Knowledge and behavior of physicians. American Journal of Public Health. 1986;76(8):1022-1023. 

  8. Russell KM. Development of an instrument to assess maternal childhood injury health beliefs and social influence. Issues in Comprehensive Pediatric Nursing. 1991;14(3):163-177. 

  9. Bai JI. A study on the occurrences and preventive strategies of accident in child. Korean Journal of Child Health Nursing, 2002;8(4):435-448. 

  10. Yoon SH. The risk factors affecting the injuries of young children at home. Journal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 Educare Welfare. 2012;16(2):101-122. 

  11. Ha SH, Seo HA. Infant's and children's safety accident experience based on parental safety practice. Journal of Eco Early Childhood Education & Care. 2014;13(1):31-55. 

  12. Faul F, Erdfelder E, Lang AG, Buchner A. G*Power 3: A flexible statistical power analysis program for the social, behavioral, and biomedical sciences. Behavior Research Methods. 2007;39(2):175-191. http://dx.doi.org/10.3758/BF03193146 

  13. Lynn MR. Determination and quantification of content validity. Nursing Research. 1986;35(6):382-385. 

  14. Lee YA, Ko JM. Development and implementation of children life safety support education program for parent. The Korean Journal of Emergency Medical Services. 2011;15(2):15-26. 

  15. Han JS, Kim DH. A survey of the types of burns in children and mother's preventive attitudes to, and knowledge of burns. Korean Journal of Child Health Nursing. 1998;4(1):97-104. 

  16. Lee SS. Children medicinal poisoning accident fact-finding survey and safeguard packing container review. Korea Consumer Agency. 1996. 

  17. Laflamme L, Eilert-Petersson E. Injuries to pre-school children in a home setting; Patterns and related products. Acta Paediatrica. 1998;87(2):206-211. 

  18. Kim HG. The needs of a parent education program for the prevention of home injury. Family and Environment Research. 2006;44(1):87-99. 

  19. Ministry of Gender Equality and Family Korea Consumer Agency. Statistics of employed woman. 2016. 

  20. Rotundo EA. American fatherhood: "A historical perspective". American Behavioral Scientist. 1985;29(1):7-24. http://dx.doi.org/10.1177/000276485029001003 

  21. Park HS, Kim JJ, Ji SS. The relation between parent's safety knowledge and safety education performance and young children's safety knowledge and ability to predict risk elements. Journal of Children's Literature and Education. 2011;12(2):221-241. 

  22. Yoon SH, Kim SJ. A study on the relativeness between safety knowledge and safety behavior of elementary school children.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School Health. 2012;25(1):39-50. 

  23. Kim JW, Kim YJ. The relationships between mothers; Safety related behaviors and their children's; knowledge of safety, The Journal of Korean Society for Study of Child Education and Care. 2005;5(2):21-41. 

  24. Park Y, Yang JH. Young children and the safety knowledge and safety problem solving capability of their children perceived by parents. The Journal of Korea Open Association for Early childhood Education. 2014;19(5):339-366. 

  25. Jeong BM., Kim NH. Parent educational experiences and needs of double-income parents who have the first child in infancy. The Journal of Child Education. 2016;25(3):377-393. 

  26. Kim NH, Lee EJ, Kwak SY, Park MR. A phenomenological study on the experiences of parenting burden of working mother with young children in Korea. Korean Journal of Women Health Nursing. 2013;19(3):188-200.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