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청주지역 일부 초등학교 고학년 학생의 스마트폰 사용시간에 따른 간식 선호도, 식행동 및 생활습관
Lifestyle, Dietary Behavior and Snack Preference of Upper-grade Elementary School Students in Cheongju according to the Usage Time of Smartphones 원문보기

대한지역사회영양학회지 = Korean journal of community nutrition, v.22 no.1, 2017년, pp.40 - 52  

김하연 (충북대학교 식품영양학과) ,  배문경 (충북대학교 식품영양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Objectives: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xamine the length of exposure to smartphone and its association with dietary behavior toward snacks, lifestyle, and nutrition knowledge in elementary school students. Methods: Subjects were 372 5th and 6th grade schoolchildren in Cheongju, Korea, and data was...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TV 시청 또는 스마트폰 사용이 간식섭취빈도에 영향을 준다고 보고된 바[5, 6, 14-15], 본 연구에서는 전자기기(TV, 컴퓨터, 스마트폰) 사용과 간식 섭취와의 관련성에 대해 조사하였다. 그 결과, 조사대상자의 63.
  • 본 연구는 청주 일부지역 초등학교 5, 6학년생 372명을 대상으로 스마트폰 사용실태를 조사하고, 스마트폰 사용 시간에 따라 대상자를 구분하여 간식관련 식행동, 간식 선호도 및 섭취빈도, 영양지식, 생활습관에 차이가 나타나는지를 분석하였다. 연구 대상자의 스마트폰 사용시간에서는 하루 평균 2시간 미만이 가장 많았고(48.
  • 이에 본 연구에서는 초등학교 고학년을 대상으로 스마트폰 사용 시간 및 이용 실태를 조사하고, 스마트폰 사용 시간에 따른 간식 선호도와 간식섭취빈도를 비롯하여 식행동, 영양지식, 생활습관을 분석하고자 한다. 이러한 결과는 초등학생의 스마트폰 사용증가와 관련된 식생활 문제점을 파악하고 그에 따른 영양교육의 기초자료로 유용할 것으로 생각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TV, 컴퓨터와 같은 전자기기의 사용은 식행동에 어떤 영향을 주는가? TV, 컴퓨터와 같은 전자기기의 사용은 대부분의 시간을 앉아서 보내어 정적인 활동을 유발할 뿐만 아니라 간식섭취 등의 식행동에도 영향을 주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5-11]. 여러 연구에서 TV시청시간이 길어질수록 식습관이 불량하고, 고열량 음식을 먹는 경우가 많고, 간식섭취가 증가하여 에너지 섭취를 높인다고 보고하였다[5-8]. 또한 컴퓨터 사용 후 식사속도가 빨라졌다, 간식 먹는 양이 늘었다 등의 식습관이 변하고, TV시청시간, 독서시간, 운동시간, 수면시간 등의 시간사용에도 변화를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8-11]. TV시청과 컴퓨터 이용이 아직도 중요한 부분을 차지하나, 여가시간을 보내는 방법으로 다른 전자기기, 특히 스마트폰의 사용이 증가되고 있는 추세이다.
학생들의 선호도가 높은 간식은 2시간 이상 스마트폰을 사용한 학생과 어떤 차이가 있는가? 스마트폰 사용시간에 따라 하루 평균 2시간 미만,2시간 이상으로 분류하여 분석한 결과, 스마트폰 사용시간이 긴 초등학생들은 6학년의 비율이 높았고, 어머니가 직업을 가진 경우가 많았으며, 소비할 수 있는 한달 용돈의 금액, 특히 간식 구매에 사용하는 비용이 높았다. 학생들의 선호도가 높은 간식은 ‘과일’(4.37점/5점)과 ‘아이스크림’(4.29점/5점)이었고, 스마트폰 사용시간 2시간 이상인 학생의 경우 아이스크림, 패스트푸드, 탄산음료에 대한 선호도가 유의적으로 더 높았다. 간식섭취빈도는 과일(주 4.
우리나라 초등학생의 식행동과 관련된 문제에는 어떤 것이 있는가? 2015년 국민건강영양조사의 6~11세 영양소 섭취상태를 보면 칼슘과 칼륨의 섭취량이 권장섭취량의 63%와 81%로 낮았던 반면, 단백질과 나트륨의 평균 섭취량은 권장섭취량의 2배 이상으로 나타났다[1]. 우리나라 초등학생의 식행동과 관련된 문제로는 다양한 식품 섭취 부족, 잦은 아침 결식, 열량 위주의 간식, 가공식품의 과잉섭취, 패스트푸드의 빈번한 섭취 등이 지적되고 있다[2-4]. 이 시기에 형성된 식습관은 쉽게 변화되기 어렵고, 추후 건강에 영향을 미칠 수 있으므로 초등학생을 대상으로 올바른 식습관을 갖도록 교육하는 것은 매우 중요하다고 할 수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9)

  1. Ministry of Health & Welfare, Korea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KNHANES VI-3). Korea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2016 Dec. Report No. 11-1351159-000027-10. 

  2. Paik JJ, Lee HS. Dietary behaviors, food preferences and its relationships with personality traits in sixth grader's of elementary school. Korean J Community Nutr 2004; 9(2): 135-141. 

  3. Lee SS. A study on dietary behavior of children according to the their preferences for fast food. Korean J Community Nutr 2004; 9(2): 204-213. 

  4. Jeong NY, Kim KW. Nutrition knowledge and eating behaviors of elementary school children in Seoul. Korean J Community Nutr 2009; 14(1): 55-66. 

  5. Kang SA, Lee JW, Kim KE, Koo JO, Park DY. A study of the frequency of food purchase for snacking and its related ecological factors on elementary school children. Korean J Community Nutr 2004; 9(4): 453-463. 

  6. Her ES. Interrelations among snack preference, purchasing behaviors and intake in upper grade elementary school students: compared by the gender and TV watching time. Korean J Community Nutr 2013; 18(5): 429-441. 

  7. Temple JL, Giacomelli AM, Kent KM, Roemmich JN, Epstein LH. Television watching increases motivated responding for food and energy intake in children. Am J Clin Nutr 2007; 85(2): 355-361. 

  8. Jo AR, Khil JM. Relationship of TV watching, internet usage and dietary habits of elementary in Gwangju and Jeonnam area. J Korean Soc Food Cult 2010; 25(2): 160-169. 

  9. Kang YR, Kim AJ. A study on the change in dietary patterns of some elementary school children in Seoul: concerning the frequent use of computers. J East Asian Soc Diet Life 2003; 13(4): 284-292. 

  10. Kim HS, Lee BH. Influence of computer use hours on physical development, dietary patterns, and nutritional status of higher grade elementary school children. J Nutr Health 2008; 41(2): 165-173. 

  11. Ahn SH, Lee EJ, Jeong KW. An analysis relationship between computer using habit and sleeping and eating habits in case of children. J Korean Assoc Comput Educ 2013; 16(6): 103-109. 

  12. Korea Information Society Development Institute. Korea media panel survey statistic report [Internet]. 2016 [cited 2017 Jan 4]. Available from: http://www.kisdi.re.kr/kisdi/fp/kr/publication/select Research.do?cmdfpSelectResearch&sMenuType2&controlNoSe r43&controlNo13996&langdiv1. 

  13. Lee YS, Kim LS, Cho EH, Lee HS. A study on adolescents' perceptions of smart phone uses: with a focus on the FGI of middle and high school users. Korea J Youth Counc 2013; 21(1): 43-66. 

  14. Lee NN. A research on the impact of eating behavior and food intake according to the gender and smartphone addiction [master's thesis]. Kyunghee University; 2014. 

  15. Kim EJ, Kim SY. Correlation between smartphone addiction and eating behaviors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in Ansan area. J Korean Soc Food Sci Nutr 2015; 44(7): 1007-1015. 

  16. Cho EA, Lee SK, Heo GJ. Snack consumption behaviors and nutrition knowledge among elementary school students in Siheung-si. Korean J Community Nutr 2010; 15(2): 167-179. 

  17. Kim MH, Bae YJ, Lee HJ, Choi MK. The evaluation of nutritional knowledge and dietary habits according to sex and mother's employment status in middle school students. J East Asian Soc Diet Life 2009; 19(6): 921-927. 

  18. National Information Society Agency. Development of measuring of smartphone addiction [Internet]. 2011 [cited 2016 Apr 14]. Available from: http://www.iapc.or.kr/dia/survey/addDiaSurveyNew. do?dia_type_cdPAYS. 

  19. Korea Center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2007 Korean children and adolescents growth chart [Internet]. 2008 [cited 2017 Jan 3]. Available from: http://www.cdc.go.kr/CDC/notice/ CdcKrInfo0201.jsp?menuIdsHOME001-MNU1154-MNU0005- MNU1889&cid1235. 

  20. Yon MY, Han YH, Hyun TS. Dietary habits, food frequency and dietary attitudes by gender and nutrition knowledge level in upper: grade school children. Korean J Community Nutr 2008; 13(3): 307-322. 

  21. Park HY. Research on the practice of snack intake and eating habits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in Daegu-Gyeongbuk [master's thesis].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2014. 

  22. Park OH, Lee KA. The comparisons of elementary school children's food purchasing and consumer competency for a healthier diet by their attitude toward the meal management. J Nutr Health 2008; 41(4): 353-364. 

  23. Korean Statistical Information Service. 2014 Report on the time use survey [Internet]. 2016 [cited 2017 Jan 16]. Available from: http://kosis.kr/ups/ups_01List.jsp. 

  24. Im KH. The effects of children's TV watching to materialism: focused on TV programs and advertisements [master's thesis]. Daegu University; 2010. 

  25. Nam JH, Lee MY. The study of food habits according to obesity index in elementary school children in Yangju city, Kyeong-gi province. Korean J Food Nutr 2006; 19(2): 153-160. 

  26. Kim KH. Food habits, eating behaviors and food frequency by gender and among Seoul and other regions in upper-grade elementary school children. Korean J Community Nutr 2010; 15(2): 180-190. 

  27. Lee KW, Lee HS, Lee MJ. A study on the eating behaviors of self-purchasing snack among elementary school students. Korean J Food Cult 2005; 20(5): 594-602. 

  28. Beak YM, Jung SJ, Beak HI, Cha YS. A study on eating out and snack intake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living in Jeonbuk province. Korean J Hum Ecol 2007; 10(2): 77-87. 

  29. Kim MH, Sung JE, Yeon JY. A study on the dietary habits and nutritional knowledge of high-grade students in elementary school. J East Asian Soc Diet Life 2014; 24(5): 552-563.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