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에서 판매되는 임산부용 비타민·무기질 보충제에 함유된 영양소의 종류와 함량 및 적절성 평가
Nutrient Composition and Content of Vitamin and Mineral Supplements and Their Appropriateness for Pregnant and Lactating Women in Korea 원문보기

대한지역사회영양학회지 = Korean journal of community nutrition, v.23 no.4, 2018년, pp.341 - 351  

한영희 (충북대학교 식품영양학과) ,  서정현 (충북대학교 식품영양학과) ,  신구름 (충북대학교 식품영양학과) ,  신주영 (충북대학교 식품영양학과) ,  조예영 (충북대학교 식품영양학과) ,  현태선 (충북대학교 식품영양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Objectives: Use of dietary supplements containing vitamins and minerals is growing in Korean adults, especially in pregnant and lactating women. Vitamin and mineral supplements are available in different composition and in a wide range of contents. The purposes of the study were to examine nutrient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국내에서 판매되는 임산부용 비타민·무기질보충제에 함유된 영양소의 종류와 함량을 조사하고, 보충제의 1회 용량과 1일 용량을 기준으로 각 영양소별 함량을 영양소 섭취기준과 비교함으로써 영양소의 종류와 함량이 임산부에게 적절한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임산부용으로 국내에서 판매되는 비타민·무기질 보충제에 함유되어 있는 영양소의 종류와 함량을 조사하고, 이를 영양소 섭취기준과 비교하여 임산부가 복용하기에 적절한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복합비타민·무기질제에 칼슘과 마그네슘을 포함시키지 않는 이유는? 유니세프, WHO, 국제연합대학에서 개발도상국의 임신부를 위하여 설계한 복합비타민·무기질제에는 비타민 A, 비타민 D, 비타민 E, 비타민 C, 티아민, 리보플라빈, 니아신, 비타민 B6, 엽산, 비타민B12 , 철, 아연, 구리, 요오드, 셀레늄의 15개의 미량영양소가 권장섭취량 수준으로 함유되어 있다[18]. 칼슘과 마그네슘은 철이나 아연의 흡수를 방해하므로 복합비타민·무기질제에 포함시키지 않았다고 하였다. 이러한 이유로 우리나라 임산부에게 칼슘은 매우 부족한 영양소이지만 칼슘이 포함된 복합 제품은 20종(10.
우리나라 임산부의 영양소 섭취실태를 보면 무엇이 부족한 것으로 나타났는가? 임산부의 영양소 필요량은 비임신 성인 여성보다 증가하므로 필요량에 맞게 충분히 섭취해야 한다[3, 4]. 그러나 실제 우리나라 임산부의 영양소 섭취실태에 관한 연구결과를 보면 비타민 A, 비타민 C, 티아민, 리보플라빈, 니아신, 엽산, 칼슘, 철, 아연, 칼륨 등 여러 비타민과 무기질의 섭취가부족한 것으로 나타나 적절한 영양 섭취를 할 수 있도록 영양중재가 필요하다[5-8]. 최근에는 임산부들이 비타민·무기질 보충제에 관심이 높아, 이에 대한 정보 및 상담에 대한요구도 증가하고 있다[9].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5)

  1. Brown JE. Nutrition through the life cycle. 4th ed. Belmont, CA, USA: Wadsworth Publishing; 2011. p. 87-221. 

  2. Hanson MA, Bardsley A, De-Regil LM, Moore SE, Oken E, Poston L et al. The International Federation of Gynecology and Obstetrics (FIGO) recommendations on adolescent, preconception, and maternal nutrition: "Think Nutrition First". Int J Gynaecol Obstet 2015; 131(S4): S213-S253. 

  3. World Health Organization. WHO recommendations on antenatal care for a positive pregnancy experience [Internet]. 2016 [updated 2016 Jun 2; cited 2018 May 31]. Available from: http://apps.who.int/iris/bitstream/handle/10665/250796/9789241549912-eng.pdf;jsessionid7C2FF8ABD56C565A3483987F1DA21796?sequence1. 

  4.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The Korean Nutrition Society. Dietary reference intakes for Koreans 2015. Sejong: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2015. 

  5. Kim JS, Park MS, Lee JW. Nutritional status and eating behavior of lactating women in Daejeon. Korean J Community Nutr 2011; 16(1): 37-50. 

  6. Bae HS. Lifestyle, nutrient intake, iron status, and pregnancy outcome in pregnant women of advanced maternal age. Nutr Res Pract 2011; 5(1): 52-59. 

  7. Oh JS, Cho MS. Comparison of eating habits based on weight gain during pregnancy: centered on recommended standards of the institute of medicine. J Korean Diet Assoc 2011; 17(2): 99-117. 

  8. Kim CI. Dietary intake survey of physiologically vulnerable population for risk assessment. National Institute of Food and Drug Safety Evaluation; 2013 Nov. Report No. 11162MFDS732. 

  9. Kim SM. Recognition and intake of health functional food among pregnant women living in metropolitan area [master's thesis]. Chung-Ang University; 2016. 

  10. Park E, Lee HC, Han JY, Choi JS, Hyun T, Han Y. Intakes of iron and folate and hematologic indices according to the type of supplements in pregnant women. Clin Nutr Res. 2012; 1(1): 78-84. 

  11.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Korea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Korea Health Statistics 2016: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KNHANES VII-1). Sejong: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2017. 

  12. Lee JS. Why are vitamin supplements classified as over-thecounter medicine? [Internet]. Aju Economics; 2017 [updated 2017 Jun 2; cited 2018 May 31]. Available from: http://www.ajunews.com/view/20170601102913070. 

  13. Ministry of Food and Drug Safety. Standards and specifications of health functional food [Internet]. Ministry of Food and Drug Safety; 2018 [cited 2018 May 10]. Available from: http://www.mfds.go.kr/brd/m_211/view.do?seq13842. 

  14. Ministry of Food and Drug Safety. Manufacturing standards of medicine [Internet]. Ministry of Food and Drug Safety; 2017 [cited 2018 May 10]. Available from: http://www.mfds.go.kr/index.do?mid1013&pageNo1&seq14066&sitecode2018-05-08&cmdv. 

  15. American Medical Association. AMA drug evaluation. 4th ed. Chicago: American Medical Association; 1980. 

  16. National Institute for Health and Care Excellence. Antenatal care for uncomplicated pregnancies [Internet]. 2008 [updated 2017 Jan, cited 2018 May 31]. Available from: https://www.nice.org.uk/guidance/cg62. 

  17. Haider BA, Bhutta ZA. Multiple-micronutrient supplementation for women during pregnancy. Cochrane Database Syst Rev 2017; 4: CD004905. 

  18. UNICEF, World Health Organization, United Nations University. Composition of a multi-micronutrient supplement to be used in pilot programmes among pregnant women in developing countries: report of a United Nations Children's Fund (UNICEF), World Health Organization (WHO) and United Nations University workshop [Internet]. 1999 [cited 2018 May 31]. Available from: http://apps.who.int/iris/handle/10665/75358. 

  19. Milman N, Paszkowski T, Cetin I, Castelo-Branco C. Supplementation during pregnancy: beliefs and science. Gynecol Endocrinol 2016; 32(7): 509-516. 

  20. Andersen SL, Laurberg P. Iodine supplementation in pregnancy and the dilemma of ambiguous recommendations. Eur Thyroid J 2016; 5(1): 35-43. 

  21. Becker DV, Braverman LE, Delange F, Dunn JT, Franklyn JA, Hollowell JG et al. Iodine supplementation for pregnancy and lactation-United States and Canada: recommendations of the American Thyroid Association. Thyroid 2006; 16(10): 949-951. 

  22. Han MR, Ju DL Park YJ, Song YJ, Paik HY. An iodine database for common Korean foods and the association between iodine intake and thyroid disease in Korean adults. Int J Thyroidol 2015; 8(2): 170-182. 

  23. Bell LS, Fairchild M. Evaluation of commercial multivitamin supplements. J Am Diet Assoc 1987; 87(3): 341-343. 

  24. Kang M, Kim DW, Baek YJ, Moon SH, Jung HJ, Song YJ et al. Dietary supplement use and its effect on nutrient intake in Korean adult population in the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IV (2007-2009) data. Eur J Clin Nutr 2014; 68(7): 804-810. 

  25. Kim M, Lee Y, Park K. Vitamin and mineral supplement use among Korean adults: baseline data from the trace element study of Korean adults in Yeungnam area. Nutrients 2018; 10(1): 50.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