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소금민감성 SLC12A3 유전자 다형성에 따른 나트륨섭취가 소아비만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interaction between SLC12A3 polymorphism, salt-sensitive gene, and sodium intake on risk of child obesity 원문보기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v.50 no.1, 2017년, pp.32 - 40  

정주현 (성신여자대학교 식품영양학과) ,  이명숙 (성신여자대학교 식품영양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소아기의 과체중 혹은 비만은 성인기의 만성질환의 onset 위험을 증가시키는 대사이상을 야기하므로 관련된 obesogenic 환경 (나트륨 섭취 등)을 제어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에서는 소아기의 과도한 소금섭취가 신장의 재흡수 기능을 조절하는 SLC12A3기능장애로 이어져 고혈압 및 비만을 야기하는지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서울 구로구에 소재한 8~9세 초등학생 752명 (남학생: 379명 여학생: 373명)을 대상으로 BMI가 85 percentiles이상을 비만군으로, 이하를 정상군으로 분류하였다. SLC12A3 rs11643718 유전자형은 GG (wild)와 GA + AA로 분류하여 신체계측, 혈액검사, 식이조사 등을 비교분석하였다 대상자의 남아가 여아보다, 비만군이 정상군보다 신체지수, 혈액지수, 식사섭취량이 여아보다 높았다. 남녀 모두 비만군에서 높은 TG와 낮은 HDLc를 보여주었지만 비만한 남아는 혈압에, 비만한 여아는 인슐린저항성에 더 민감한 반응을 보였다. 비록 남녀차이는 있지만 비만군 및 정상군 모두에서 SLC12A3의 GA + AA형이 GG형보다 혈압과 체중이 높았다. GG 유전자형을 가지고 있는 소아는 혈중 LDLc, FBS, insulin등이 높거나 식이 콜레스테롤섭취가 증가할수록 비만이 될 위험도가 증가하였고 엽산의 섭취가 증가할수록 비만위험도는 감소하였다. 반면, GA + AA 유전자형을 가지고 있는 소아는 고나트륨 (> 4,000 mg/day)섭취시 비만위험도 (odd ratio)가 15.57배 증가하였고 남아 (22.84배)에서 더욱 위험도가 높았다. HDLc의 경우는 유전자형에 관계없이 증가할수록 비만위험도가 감소하였다. 결론적으로 SLC12A3 (rs11643718) 유전자의 A allele를 가진 형이 나트륨에 특이적으로 반응하여 과체중위험을 증가시키는 것으로 생각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Obesogenic environments in children, in particular excessive intake of sodium, generate hypertension, which is a major risk factor for chronic diseases. Methods: In all, 725 children, 379 boys and 373 girls, aged 8~9 years were recruited from seven elementary schools in Kuro-ku, Seoul. To e...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25 따라서 소아기의 나트륨 섭취 조절은 향후 성인기의 만성질환 발병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므로 본 연구의 목적은 소아비만을 대상으로 나트륨 재흡수의 기능을 하는 SLC12A3rs11643718 유전자 다형성에 따른 비만발생과 관련된 바이오마커 및 식이섭취인자 등의 변화에 미치는 영향을 보고자 한다.
  • 소아기의 과체중 혹은 비만은 성인기의 만성질환의 onset 위험을 증가시키는 대사이상을 야기하므로 관련된 obesogenic 환경 (나트륨 섭취 등)을 제어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에서는 소아기의 과도한 소금섭취가 신장의 재흡수기능을 조절하는 SLC12A3기능장애로 이어져 고혈압 잇비만을 야기하는지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서울 구로구에 소재한 8~9세 초등학생 752명 (남학생: 379명 여학생: 373명)을 대상으로 BMI가 85 percentiles이상을 비만군으로, 이하를 정상군으로 분류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과량의 나트륨 섭취가 인체에 미치는 부정적인 영향은? 7-9 비만발생에는 다양한 형태의 식이섭취가 복합효과로 나타나지만 과량의 나트륨 섭취가 비만과 관련있다는 연구논문이 제시되고 있다. 나트륨 (Na)은 혈액량 조절, 삼투압 평형, 세포막 전위 조절 및 영양소이동 등 세포의기본적인 기능을 위하여 필수적인 전해질이지만 과다한 나트륨의 섭취는 체액이 배설되지 않고 체내에 머무는 저류를 유도하고 고혈압 등 심혈관 질환, 2형 당뇨 및 복부비만 등 만성질환의 주요한 위험요인이 된다.10-13 따라서WHO에서는 하루 생리적 요구량인 2 g 이내로 나트륨 섭취를 줄이면 혈압과 만성질환의 위험이 감소한다는 보고하였으며, 메타분석에서도 나트륨 제한 및 칼륨, 칼슘 섭취의 증가가 혈압 강하효과를 나타내고 있다고 한다.
나트륨 기호도가 형성되는 시기는? 최근, 한국소아의 나트륨 섭취량이 계속적으로 증가하는 추세이다. 나트륨 기호도는 6세 이전에 이미 형성된다는 연구와 함께 소아기의 대사적 특성이 성인시기로 이어지는 경향이 크므로 영유아기부터의 식습관 관리가 중요하다.7-9 비만발생에는 다양한 형태의 식이섭취가 복합효과로 나타나지만 과량의 나트륨 섭취가 비만과 관련있다는 연구논문이 제시되고 있다.
다른 연령대에 비해 소아 비만의 큰 문제점은 무엇인가? 5%로, 다른 연령대에 비하여 비교적 높게 나타났다.1-3 소아 비만의 큰 문제점은 75%가 성인비만으로 이어져서 당뇨, 고혈압, 이상지질혈증, 인슐린저항성 및 동맥경화 등 만성대사성 질환의 위험을 증가시키는 것이다.4-6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5)

  1.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Korea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Korea Health Statistics 2012: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KNHANES V-3). Cheongwon: Korea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2013. 

  2. Oh K, Jang MJ, Lee NY, Moon JS, Lee CG, Yoo MH, Kim YT. Prevalence and trends in obesity among Korean children and adolescents in 1997 and 2005. Korean J Pediatr 2008; 51(9): 950-955. 

  3. Korean Educational Development Institute. Statistics of school health examination survey: 2011. Seoul: Korean Educational Development Institute; 2011. 

  4. Kim JH, Kim EK. The relationship among insulin resistance, blood profiles and nutrient intake in overweight or obese children and adolescents. Korean J Community Nutr 2012; 17(5): 530-542. 

  5. Styne DM. Childhood and adolescent obesity. Prevalence and significance. Pediatr Clin North Am 2001; 48(4): 823-854. 

  6. Lee HH, Choi SK, Seo JS. Obesity index and related factors among elementary school students visiting pediatric department of general hospital. J Korean Diet Assoc 2012; 18(2): 186-199. 

  7. Lee SK, Kim MK. Relationship of sodium intake with obesity among Korean children and adolescents: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Br J Nutr 2016; 115(5): 834-841. 

  8. Yoon YS, Oh SW. Sodium density and obesity; the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2007-2010. Eur J Clin Nutr 2013; 67(2): 141-146. 

  9. Lee M, Kim MK, Kim SM, Park H, Park CG, Park HK. Gender-based differences on the association between salt-sensitive genes and obesity in Korean children aged between 8 and 9 years. PLoS One 2015; 10(3): e0120111. 

  10. Lee J, Lee H, Kim K, Park JH, Kim S, Oh J. A higher salt intake leads to a lower rate of adequate blood pressure control. J Korean Med Sci 2014; 29 Suppl 2: S103-S108. 

  11. Intersalt: an international study of electrolyte excretion and blood pressure. Results for 24 hour urinary sodium and potassium excretion. Intersalt Cooperative Research Group. BMJ 1988; 297(6644): 319-328. 

  12. Libuda L, Kersting M, Alexy U. Consumption of dietary salt measured by urinary sodium excretion and its association with body weight status in healthy children and adolescents. Public Health Nutr 2012; 15(3): 433-441. 

  13. Hoffmann IS, Cubeddu LX. Salt and the metabolic syndrome. Nutr Metab Cardiovasc Dis 2009; 19(2): 123-128. 

  14. World Health Organization. Guideline. Sodium intake for adults and children. Geneva: World Health Organization; 2012. 

  15. Lewington S, Clarke R, Qizilbash N, Peto R, Collins R; Prospective Studies Collaboration. Age-specific relevance of usual blood pressure to vascular mortality: a meta-analysis of individual data for one million adults in 61 prospective studies. Lancet 2002; 360(9349): 1903-1913. 

  16. He FJ, MacGregor GA. Salt reduction lowers cardiovascular risk: meta-analysis of outcome trials. Lancet 2011; 378(9789): 380-382. 

  17. Brater DC. Pharmacology of diuretics. Am J Med Sci 2000; 319(1): 38-50. 

  18. Fava C, Montagnana M, Rosberg L, Burri P, Almgren P, Jonsson A, Wanby P, Lippi G, Minuz P, Hulthen LU, Aurell M, Melander O. Subjects heterozygous for genetic loss of function of the thiazide-sensitive cotransporter have reduced blood pressure. Hum Mol Genet 2008; 17(3): 413-418. 

  19. Melander O, Orho-Melander M, Bengtsson K, Lindblad U, Rastam L, Groop L, Hulthen UL. Genetic variants of thiazide-sensitive NaCl-cotransporter in Gitelman's syndrome and primary hypertension. Hypertension 2000; 36(3): 389-394. 

  20. Knoers NV, Levtchenko EN. Gitelman syndrome. Orphanet J Rare Dis 2008; 3(1): 22. 

  21. Hoorn EJ, Ellison DH. WNK kinases and the kidney. Exp Cell Res 2012; 318(9): 1020-1026. 

  22. Mercier-Zuber A, O'Shaughnessy KM. Role of SPAK and OSR1 signalling in the regulation of NaCl cotransporters. Curr Opin Nephrol Hypertens 2011; 20(5): 534-540. 

  23. McCormick JA, Mutig K, Nelson JH, Saritas T, Hoorn EJ, Yang CL, Rogers S, Curry J, Delpire E, Bachmann S, Ellison DH. A SPAK isoform switch modulates renal salt transport and blood pressure. Cell Metab 2011; 14(3): 352-364. 

  24. Castaneda-Bueno M, Gamba G. Mechanisms of sodium-chloride cotransporter modulation by angiotensin II. Curr Opin Nephrol Hypertens 2012; 21(5): 516-522. 

  25. Arroyo JP, Lagnaz D, Ronzaud C, Vazquez N, Ko BS, Moddes L, Ruffieux-Daidie D, Hausel P, Koesters R, Yang B, Stokes JB, Hoover RS, Gamba G, Staub O. Nedd4-2 modulates renal Na+-Cl-cotransporter via the aldosterone-SGK1-Nedd4-2 pathway. J Am Soc Nephrol 2011; 22(9): 1707-1719. 

  26. Moon JS, Lee SY, Nam CM, Choi JM, Choe BK, Seo JW, Oh K, Jang MJ, Hwang SS, Yoo MH, Kim YT, Lee CG. 2007 Korean National Growth Charts: review of developmental process and an outlook. Korean J Pediatr 2008; 51(1): 1-25. 

  27. Friedewald WT, Levy RI, Fredrickson DS. Estimation of the concentration of low-density lipoprotein cholesterol in plasma, without use of the preparative ultracentrifuge. Clin Chem 1972; 18(6): 499-502. 

  28. Matthews DR, Hosker JP, Rudenski AS, Naylor BA, Treacher DF, Turner RC. Homeostasis model assessment: insulin resistance and beta-cell function from fasting plasma glucose and insulin concentrations in man. Diabetologia 1985; 28(7): 412-419. 

  29. Willett WC, Howe GR, Kushi LH. Adjustment for total energy intake in epidemiologic studies. Am J Clin Nutr 1997; 65(4 Suppl): 1220S-1228S. 

  30. Magnussen CG, Thomson R, Cleland VJ, Ukoumunne OC, Dwyer T, Venn A. Factors affecting the stability of blood lipid and lipoprotein levels from youth to adulthood: evidence from the Childhood Determinants of Adult Health Study. Arch Pediatr Adolesc Med 2011; 165(1): 68-76. 

  31. Cesa CC, Sbruzzi G, Ribeiro RA, Barbiero SM, de Oliveira Petkowicz R, Eibel B, Machado NB, Marques R, Tortato G, dos Santos TJ, Leiria C, Schaan BD, Pellanda LC. Physical activity and cardiovascular risk factors in children: meta-analysis of randomized clinical trials. Prev Med 2014; 69: 54-62. 

  32. Marcovecchio ML, Mohn A, Chiarelli F. Obesity and insulin resistance in children. J Pediatr Gastroenterol Nutr 2010; 51 Suppl 3: S149-S150. 

  33. Bahrami E, Mirmoghtadaee P, Ardalan G, Zarkesh-Esfahani H, Tajaddini MH, Haghjooy-Javanmard S, Najafi H, Kelishadi R. Insulin and leptin levels in overweight and normal-weight Iranian adolescents: the CASPIAN-III study. J Res Med Sci 2014; 19(5): 387-390. 

  34. Del Mar Bibiloni M, Maffeis C, Llompart I, Pons A, Tur JA. Dietary factors associated with subclinical inflammation among girls. Eur J Clin Nutr 2013; 67(12): 1264-1270. 

  35. Garcia OP, Ronquillo D, Caamano Mdel C, Camacho M, Long KZ, Rosado JL. Zinc, vitamin A, and vitamin C status are associated with leptin concentrations and obesity in Mexican women: results from a cross-sectional study. Nutr Metab (Lond) 2012; 9(1): 59. 

  36. Wang YL, Qi Y, Bai JN, Qi ZM, Li JR, Zhao HY, Wang YF, Lu CZ, Xiao Y, Jia N, Wang B, Niu WQ. Tag polymorphisms of solute carrier family 12 member 3 gene modify the risk of hypertension in northeastern Han Chinese. J Hum Hypertens 2014; 28(8): 504-509. 

  37. Gopinath B, Flood VM, Burlutsky G, Louie JC, Baur LA, Mitchell P. Dairy food consumption, blood pressure and retinal microcirculation in adolescents. Nutr Metab Cardiovasc Dis 2014; 24(11): 1221-1227. 

  38. Yuan WL, Kakinami L, Gray-Donald K, Czernichow S, Lambert M, Paradis G. Influence of dairy product consumption on children's blood pressure: results from the QUALITY cohort. J Acad Nutr Diet 2013; 113(7): 936-941. 

  39. Yang SJ, Kim S, Park H, Kim SM, Choi KM, Lim Y, Lee M. Sex-dependent association between angiotensin-converting enzyme insertion/deletion polymorphism and obesity in relation to sodium intake in children. Nutrition 2013; 29(3): 525-530. 

  40. Enquobahrie DA, Feldman HA, Hoelscher DH, Steffen LM, Webber LS, Zive MM, Rimm EB, Stampfer MJ, Osganian SK. Serum homocysteine and folate concentrations among a US cohort of adolescents before and after folic acid fortification. Public Health Nutr 2012; 15(10): 1818-1826. 

  41. Hoey L, McNulty H, Askin N, Dunne A, Ward M, Pentieva K, Strain J, Molloy AM, Flynn CA, Scott JM. Effect of a voluntary food fortification policy on folate, related B vitamin status, and homocysteine in healthy adults. Am J Clin Nutr 2007; 86(5): 1405-1413. 

  42. Gallistl S, Sudi K, Mangge H, Erwa W, Borkenstein M. Insulin is an independent correlate of plasma homocysteine levels in obese children and adolescents. Diabetes Care 2000; 23(9): 1348-1352. 

  43. Ullegaddi R, Powers HJ, Gariballa SE. B-group vitamin supplementation mitigates oxidative damage after acute ischaemic stroke. Clin Sci (Lond) 2004; 107(5): 477-484. 

  44. Folsom AR, Desvarieux M, Nieto FJ, Boland LL, Ballantyne CM, Chambless LE. B vitamin status and inflammatory markers. Atherosclerosis 2003; 169(1): 169-174. 

  45. Voutilainen S, Virtanen JK, Rissanen TH, Alfthan G, Laukkanen J, Nyyssonen K, Mursu J, Valkonen VP, Tuomainen TP, Kaplan GA, Salonen JT. Serum folate and homocysteine and the incidence of acute coronary events: the Kuopio Ischaemic Heart Disease Risk Factor Study. Am J Clin Nutr 2004; 80(2): 317-323.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