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식품의 일상섭취량 추정을 위한 식품섭취빈도의 활용가능성 및 타당도 연구
Validation of Food Intake Frequency from Food Frequency Questionnaire for Use as a Covariate in a Model to Estimate Usual Food Intake 원문보기

Culinary science & hospitality research = 한국조리학회지, v.23 no.2 = no.85, 2017년, pp.64 - 73  

이자윤 (한국방송통신대학교 생활과학과 식품영양학전공) ,  김동우 (한국방송통신대학교 생활과학과 식품영양학전공)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에서는 국민건강영양조사의 식품섭취빈도 조사로부터 식품섭취빈도를 산출한 후 이를 24시간 회상법에서 조사된 식품별 섭취량과의 상관관계를 탐색하여 식품 수준의 일상 섭취량을 추정할 때 식품섭취빈도를 공변수의 형태로 활용할 수 있을지 타진해 보기 위해 수행되었다. 국민건강영양조사에서 식품섭취빈도 조사가 수행되기 시작한 2012년부터 2014년까지 총 3개년도의 자료를 사용하였으며, 24시간 회상법과 식품섭취빈도 조사 모두를 수행한 10,945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분석을 위해 식품섭취빈도 조사지에 수록된 112개 항목별로 24시간 회상법에서 산출된 식품별 섭취량을 재산출하였으며, 이 결과와 각 개인이 식품섭취빈도 조사법에서 응답한 섭취빈도 및 섭취분량 간의 스피어만 상관계수를 산출하였다. 상관계수를 분석한 결과, 24시간 회상법의 섭취량과 식품섭취빈도법의 섭취빈도 간에는 총 112개 식품 중 59개 식품(52.2%)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으며, 24시간 회상법의 섭취량과 섭취분량 간에는 102개 식품(90.3%)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곡류, 과일류, 난류, 두류, 생선류, 서류, 우유류, 육류, 음료류, 주류, 채소류, 해조류, 기타류의 13개 식품군으로 묶어 분석한 결과에서도 섭취빈도의 13개 군(100%)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상관관계를 보였으며, 생선류, 해조류, 기타류는 음의 상관을 보였고, 나머지 10개 항목은 양의 상관을 보였다. 본 연구를 통해 식품섭취빈도조사로부터 산출한 식품섭취빈도와 24시간 회상법 섭취량간의 일관된 상관관계를 확인할 수 있었으며, 이는 식품(군) 수준의 일상 섭취량을 추정할 때 식품섭취빈도를 중요한 공변수로 활용할 수 있는 근거가 된다고 하겠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Although 24-hour recalls (24HR) capture detailed information on a person's food intake, this method suffers from difficulties in adequately measuring the usual intake of foods that are not consumed daily by most.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whether frequency of Food Freque...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우리나라 국민건강영양조사의 식품섭취빈도조사로부터 식품섭취빈도 및 1회 평균섭취분량을 산출한 후, 이를 동 조사의 24시간 회상법에서 조사된 식품별 섭취량과의 상관관계를 탐색하여 식품 수준의 일상 섭취량을 추정할 때 식품섭취빈도를 공변수의 형태로 활용할 수 있을지 타진해 보기 위해 수행되었다.
  • 본 연구는 국민건강영양조사의 식품섭취빈도 조사로부터 식품섭취빈도를 산출한 후, 이와 24시간 회상법에서 조사된 식품별 섭취량과의 상관관계를 탐색하여 추후 식품 수준의 일상 섭취량을 추정할 때, 식품섭취빈도를 공변수의 형태로 활용할 수 있을지의 여부를 타진해 보기 위해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 국민건강영양조사에서 식품섭취빈도 조사가 수행되기 시작한 2012년부터 2014년까지 총 3개년도의 자료를 사용하여, 24시간 회상법과 식품섭취빈도 조사 모두를 수행한 10,945명을 섭취량 자료를 활용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24시간 회상법의 섭취량과 식품섭취빈도 조사법의 섭취빈도 간에 일정부분의 상관관계가 존재함을 국민건강영양조사 자료를 바탕으로 확인하였다. 이와 같이 일별 조사인 24시간 회상법의 한계점으로 지적되는 식품 또는 음식의 섭취확률 부재를 식품섭취빈도 조사 등의 타 조사 방법으로부터 얻을 수 있는 경우, 과연 이 섭취확률이 식품 또는 음식의 일상 섭취량을 얼마나 정확하고 효과적으로 추정해낼 수 있는지 추후 24시간 회상법과 식품섭취빈도조사법을 결합한 모형에 대한 추가적인 연구를 통해서 확인되어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가설 설정

  • 본 연구에서는 Subar 등(2006)의 선행연구를 참고하여 국민건강영양조사 24시간 회상법에서의 섭취량과 식품섭취빈도 조사법에서의 섭취빈도간의 상관관계를 탐색하여 섭취빈도를 활용한 식품 수준의 일상 섭취량 추정이 가능한지를 타진하는 것을 연구모형으로 설정하였다. 이를 위해 식품섭취빈도 조사법에서 특정 식품의 섭취빈도가 높다고 응답한 사람들은 24시간 회상법에서도 해당 식품의 섭취량이 높을 것이라는 점을 첫 번째 가설로 설정하였으며, 식품섭취빈도 조사법에서 특정 식품의 1회 평균 섭취분량이 높은 사람일수록 24시간 회상법에서도 해당 식품의 섭취량을 높을 것이라는 점을 두 번째 가설로 설정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식이섭취수준은 어떻게 판단해야 하는가? , 2015). 식이섭취수준은 보통 일별 섭취량으로 표현되나, 섭취한 영양소는 체내에 저장되어 당일에 모두 사용되지 않을 뿐더러, 사람들의 섭취량은 날에 따른 차이가 크기 때문에(Dodd et al., 2006), 영양 상태를 정확히 알기 위해서는 일상 섭취량(Usual/habitual intake)을 파악하는 것이 중요하다(Institute of Medicine, 2000).
식이섭취조사의 목적은 무엇인가? 식이섭취조사의 주된 목적은 집단이나 개인의 섭취량을 측정하여 만성질병과의 관계를 규명하거나(Knekt et al., 2002; Hung et al., 2004), 식이섭취기준 등과의 비교를 통해 섭취수준의 적절성을 평가하는 것이다(Murphy & Poos, 2002; Rha et al., 2015).
식품섭취빈도조사법의 단점은 무엇인가? , 1998; Baek, Jang, & Lee, 2016). 하지만 식품목록이 제한되어 있으며, 우리나라와 같이 여러 식품이 혼재된 형태가 많은 경우, 대상자에게 인지적인 어려움으로 작용할 수 있다는 점이 단점으로 지적되곤 한다(Bingham et al., 2003, Kipins et al.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8)

  1. Bak, H., & Kim, H. (2015). A study of association diningout, nutritional intakes and health risk factors among Korean women using the data of Korean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KNHANES VI). The Korea Academic Society of Culinary, 21(5), 139-146. 

  2. Beaton, G. H., Milner, J., McGuire, V., & Little, J. A. (1983). Sources of variance in a 24-hour dietary recall data : Implications for nutrition study design and interpretation carbohydrate sources, vitamins and mineral. The American Journal of Clinical Nutrition, 37, 986-995. 

  3. Bingham, S. A., Luben, R., Welch, A., Wareham, N., Khaw, K. T., & Day, N. (2003). Are imprecise methods obscuring a relation between fat and breast cancer. Lancet, 362, 212-214. 

  4. Buckman, D. W., Tooze, J. A., Freedman, L., & Carroll, R. J. (2011). A new multivariate measurement error model with zero inflated dietary data, and its application to dietary assessment. Annals of Applied Statistics, 5(2B), 1456-1487. 

  5. Dodd, K. W., Guenther, P. M., Freedman, L. S., Subar, A. F., Kipnis, V., Midthune, D., Tooze, J. A., & Krebs-Smith, S. M. (2006). Statistical methods for estimating usual intake of nutrients and foods: A review of the theory. Journal of the American Dietetic Association, 106(10), 1640-1650. 

  6. Freedman, L. S., Schatzkin, A., Midthune, D., & Kipnis, V. (2011). Dealing with dietary measurement error in nutritional cohort studies. Journal of the National Cancer Institute, 103(14), 1086-1092. 

  7. Haubrock, J., Nothlings, U., Volatier, J. L., Dekkers, A., Ocke, M., Harttig, U., Illner, A. K., Knuppel, S., Andersen, L. F., & Boeing, H. (2011). Estimating usual food intake distributions by using the multiple source method in the EPIC-Potsdam calibration study. Journal of Nutrition, 141(5), 914-920. 

  8. Hung, H. C., Joshipura, K. J., Jiang, R., Hu, F. B., Hunter, D., Smith-Warner, S. A., Colditz, G. A., Rosner, B., Spiegelman, D., & Willett, W. C. (2004). Fruit and vegetable intake and risk of major chronic disease. Journal of the National Cancer Institute, 96(21), 1577-1584. 

  9. Institute of Medicine. (2011). Dietary Reference Intakes: Applications in Dietary Assessment. 

  10. Kim, D. W. (2013). Estimation of usual intakes of foods and nutrients in Korean adults. (Doctoral thesis). Seoul National University. 

  11. Kipnis, V., Subar, A. F., Midthune, D., Freedman, L. S., Ballard-Barbash, R., & Troiano, R. P. (2003). Structure of dietary measurement error: Result of the open biomarker study. American Journal of Epidemiology, 158, 14-21. 

  12. Knekt, P., Kumpulainen, J., Jarvinen, R., Rissanen, H., Heliovaara, M., Reunanen, A., Hakulinen, T., & Aromaa, A. (2002), Flavonoid intake and risk of chronic diseases. The American Journal of Clinical Nutrition, 76(3), 560-568. 

  13. Lee, S. Y., Ju, D. L., Paik, H. Y., Shin, C. S., & Lee, H. K. (1998). Assessment of dietary intake obtained by 24-hour recall method in adults living in Yeonchon area(2) : Assessment based on food group intake. The Korean Nutrition Society, 31(3), 343-353. 

  14. Murphy, S. P., & Poos, M. I. (2002). Dietary reference intakes: Summary of applications in dietary assessment. Public Health Nutrition, 5(6A), 843-849. 

  15. Oh, S., Lee, H., & Paik, H Y. (1996). Comparison of the levels of nutrient intakes by different dietary methods and days of dietary studies among young females in Korea. The Korean Nutrition Society, 29(9), 1021-1027. 

  16. Palaniappan, U., Cue, R. I., Payette, H., & Gray-Donald, K. (2003). Implications of day-to-day variability on measurements of usual food and nutrient intakes. Journal of Nutrition, 133(1), 232-235. 

  17. Pietinen, P., Hartman, A. M., Haapa, E., Rasanen, L., Haapakoski, J., Palmgren, J., Albanes, D., Virtamo, J., & Huttunen, J. K. (1988). Reproducibility and validity of dietary assessment instruments. American Journal of Epidemiology, 128, 667-676. 

  18. Rha, Y. A., Kang, M. J., Lee, S. H., & Kim, J. Y. (2015). Nutrition intake according to food and exercise habits in female college students of Yang-Ju si. The Korea Academic Society of Culinary, 21(4), 284-293. 

  19. Schatzkin, A., Kipnis, V., Caroll, R. J., Midthune, D., Subar, A. F., & Bingham, S. (2003). A comparison of a food frequency questionnaire with a 24-hour recall for use in an epidemiological cohort study: Result from biomakerbased observing protein and energy nutrition(open) study. International Journal of Epidemiology, 32, 1054-1062. 

  20. Baek, S., Jang, S., & Lee, Y. (2016). A study on the recognition and intake frequency of Pohang's local foods. The Korea Academic Society of Culinary, 22(5), 214-230. 

  21. Sempos, C. T., & Johnson, N. E. (1985). Effect of intraindividual and interindividual variation in repeated dietary records. American Journal of Epidemiology, 121, 120-130. 

  22. Smith, C., & Fila, S. (2006). Comparison of the kid's block food frequency questionnaire to the 24-hour recall in urban native American youth. American Journal of Human Biology, 18, 706-709. 

  23. Souverein, O. W., Dekkers, A. L., Geelen, A., Haubrock, J., de Vries, J. H., Ocke, M. C., Harttig, U., Boeing, H., & van 't Veer, P. (2011). Comparing four methods to estimate usual intake distributions. European Journal of Clinical Nutrition, 65(Suppl 1), S92-101. 

  24. Subar, A. F., Dodd, K. W., Guenther, P. M., Kipnis, V., Midthune, D., McDowell, M., Tooze, J. A., Freedman & L. S., & Krebs-Smith, S. M. (2006). The food propensity questionnaire: Concept, development, and validation for use as a covariate in a model to estimate usual food intake. Journal of the American Dietetic Association, 106(10), 1556-1563. 

  25. Tooze, J. A., Midthune, D., Dodd, K. W., Freedman, L. S., Krebs-Smith, S. M., Subar, A. F., Guenther, P. M., Carroll, R. J., & Kipnis, V. (2006). A new statistical method for estimating the usual intake of episodically consumed foods with application to their distribution. Journal of the American Dietetic Association, 106(10), 1575-1587. 

  26. Yun, S. H., Shim, J. S., Kweon, S. H., & Oh, K. W. (2013). Development of food frequency questionnaire for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The Korean Journal of Nutrition, 46(2), 186-196. 

  27. Zhang, S., Midthune, D., Guenther, P. M., Krebs-Smith, S. M., Kipnis, V., Dodd, K. W., Buckman, D. W., Tooze, J. A., Freedman, L., & Carroll, R. J. (2011). A new multivariate measurement error model with zero-inflated dietary data, and its application to dietary assessment. Ann Appl Stat, 5(2B), 1456-87. 

  28. Zulkifli, S. N., & Yu, S. M. (1992). The food frequency method for dietary assessment. Journal of the American Dietetic Association, 92, 681-685.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