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보리 잎과 옥수수 수염의 혼합과 유산균 발효를 이용한 γ-aminobutyric acid 생산 증진
Enhancement of γ-aminobutyric Acid Production by Combination of Barley Leaf and Corn Silk and Its Fermentation with Lactic Acid Bacteria 원문보기

韓國有機農業學會誌 = Korean journal of organic agriculture, v.25 no.1, 2017년, pp.171 - 185  

김형주 (중원대학교 의생명과학과) ,  윤영걸 (중원대학교 의생명과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GABA는 glutamic acid decarboxylase에 의해서 L-glutamic acid가 탈탄산화되어 생합성된 비단백질 아미노산이다. GABA는 식물에서 스트레스에 대항한 대응반응으로 생성된다. 사람의 중추신경계에서는 주요 억제성 신경전달물질 중 하나로 항고혈압, 항당뇨 효능이 있다고 알려져 있다. 본 연구에서 우리는 보리 잎과 옥수수 수염을 유산균과 함께 발효함으로써 GABA 생성을 증진시키고자 하였다. 보리 잎과 옥수수 수염을 다양한 무게 비율로 조합하여 혼합하였고, $30^{\circ}C$에서 48시간 동안 배양기 안에서 L. plantarium과 함께 발효시켰다. 발효된 혼합물을 열수 추출한 후, thin layer chromatography와 GABase assay를 이용하여 GABA의 생산을 분석하였다. 우리는 9:1 혼합발효추출물이 다른 비율의 추출물 보다 GABA 함량이 높은 것을 확인하였는데 이것은 혼합과 발효기술이 보리 잎과 옥수수 수염 내 GABA 양 증진에 효과가 있음을 의미한다. 또한 몇 가지 생리활성을 분석한 결과 혼합발효추출물의 항산화 효능이 비발효 추출물에 비하여 증진되었고 세포독성은 나타나지 않음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보리 잎과 옥수수 수염의 조합과 이것을 유산균과 함께 발효시키는 방법이 고함량의 GABA와 증진된 생리 활성을 지닌 기능성 식품으로서의 개발 가능성이 있음을 의미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gamma}$-aminobutyric acid (GABA) is a non-proteinogenic amino acid biosynthesized through decarboxylation of L-glutamic acid by glutamic acid decarboxylase. GABA is believed to play a role in defense against stress in plants. In humans, it is known as one of the major inhibitory neurot...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사람의 중추신경계에서는 주요 억제성 신경전달물질 중 하나로 항고혈압, 항당뇨 효능이 있다고 알려져 있다. 본 연구에서 우리는 보리 잎과 옥수수 수염을 유산균과 함께 발효함으로써 GABA 생성을 증진시키고자 하였다. 보리 잎과 옥수수 수염을 다양한 무게 비율로 조합하여 혼합하였고, 30℃에서 48시간 동안 배양기 안에서 L.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GABA는 사람의 중추신경계에서는 어떤 효능을 보이는가? GABA는 식물에서 스트레스에 대항한 대응반응으로 생성된다. 사람의 중추신경계에서는 주요 억제성 신경전달물질 중 하나로 항고혈압, 항당뇨 효능이 있다고 알려져 있다. 본 연구에서 우리는 보리 잎과 옥수수 수염을 유산균과 함께 발효함으로써 GABA 생성을 증진시키고자 하였다.
GABA는 무엇인가? GABA는 glutamic acid decarboxylase에 의해서 L-glutamic acid가 탈탄산화되어 생합성된 비단백질 아미노산이다. GABA는 식물에서 스트레스에 대항한 대응반응으로 생성된다.
GABA의 효능은? , 2010). GABA는 인간과 동물의 중추신경계에서 억제성 신경전달물질로도 알려져 있으며 뇌 혈류를 개선하여 뇌기능을 촉진시키는 생리작용 및 혈압저하, 항 불안, 혈중 콜레스테롤 및 중성지방 증가 억제, 간 기능 대사 증진 등의 효능이 있다고 밝혀져 기능성 성분으로 각광받고 있다(Bae et al., 2009).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9)

  1. An, E. S. 2003. Chemical properties of corn silk and its bacteriocidal effects on food poisoning bacteria. Chonnam National University Master's thesis. 

  2. An, M. K., J. B. Ahn, S. H. Lee, and K. G. Lee. 2010. Analysis of ${\gamma}$ -aminobutyric acid (GABA) content in germinated pigmented rice. Korean J. Food Sci. 42: 632-636. 

  3. Bae, M. O., H. J. Kim, Y. S. Cha, M. K. Lee, and S. H. Oh. 2009. Effects of kimchi lactic acid bacteria Lactobacillus sp. OPK2-59 with high GABA producing capacity on liver function improvement. J. Korean Soc. Food Sci. Nutr. 38: 1499-1505. 

  4. Bondet, V., W. Brand-williamas, and C. Berset. 1997. Kinetics and mechanisms of antioxidant activity using the DPPH? free radical method. Lebensm.-Wiss. u.-Technol. 30: 609-615. 

  5. Chang, J. S., B. S. Lee, Y. G. Kim. 1992. Changes in ${\gamma}$ -aminobutyric acid (GABA) and the main constituents by a treated conditions and of anaerobically treated green tea leaves. Korean J. Food Sci. Technol. 24: 315-319. 

  6. Cho, E. J., C. H. Hwang, and M. O. Yang. 2007. Changes in free amino acids and sensory evaluation of fermented tea (Camellia sinensis var. sinensis) according to the degree of fermentation. J. East Asian Soc. Dietary Life 17: 911-918. 

  7. Cho, S. C., D. H. Kim, C. S. Park, J. H. Koh, Y. R. Pyun, and M. C. Kook. 2012. Production of GABA-rich tomato paste by Lactobacillus sp. Fermentation. Korean J. Food Nutr. 25: 26-31. 

  8. De Vuyst, L., and F. Leroy. 2007. Bacteriocins from lactic acid bacteria: production, purification, and food applications. J. Mol. Microbiol. Biotechnol. 13: 194-199. 

  9. Di Cagno, R., F. Mazzacane, C. G. Rizzello, M. De Angelis, G. Giuliani, M. Meloni, B. De Servi, and M. Gobbetti. 2010. Synthesis of ${\gamma}$ -aminobutyric acid (GABA) by Lactobacillus plantarum DSM19463: functional grape must beverage and dermatological applications. Appl. Microbiol. Biotechnol. 86: 731-741. 

  10. Dung Pham, V., S. Somasundaram, S. H. Lee, S. J. Park, and S. H. Hong. 2016. Efficient production of ${\gamma}$ -aminobutyric acid using Escherichia coli by co-localization of glutamate synthase, glutamate decarboxylase, and GABA transporter. J. Ind. Microbiol. Biotechnol. 43: 79-86. 

  11. Hudec, J., L'. Kobida, M. Canigova, M. Lacko-Bartosova, O. Lozek, P. Chlebo, J. Mrazova, L. Ducsay, and J. Bystricka. 2015. Production of ${\gamma}$ -aminobutyric acid by microorganisms from different food sources. J. Sci. Food Agric. 95: 1190-1198. 

  12. Jeon, G. U., M. Y. Lee, J. Yoon, S. Jang, M. Jung, H. S. Jeong, and J. Lee. 2010. Effects of heat treatment and selected medicinal plant extracts on GABA content after germination. J. Korean Soc. Food Sci. Nutr. 39: 154-158. 

  13. Kim, D. C., D. W. Kim, S. D. Lee, and M. J. In. 2006. Preparation of barley leaf powder tea and its quality characteristics. J. Korean Soc. Food Sci. Nutr. 35: 734-737. 

  14. Kim, E. A., S. Y. Mann, S. I. Kim, G. Y. Lee, D. Y. Hwang, H. J. Son, C. Y. Lee, and D. S. Kim. 2013. Isolation and identification of soycurd forming lactic acid bacteria which produce GABA from kimchi. Korean J. Food Preserv. 20: 705-711. 

  15. Kim, K. T., H. M. Seog, S. S. Kim, H. D. Hong, Y. T. Lee, and J. G. Kim. 1995. Chemical composition of barley leaves from different varieties. Agr. Chem. Biotechnol. 38: 431-434. 

  16. Kim, S. L., M. J. Kim, Y. Y. Lee, G. H. Jung, B. Y. Son, J. S. Lee, Y. U. Kwon, and Y. I. Park. 2014. Isolation and identification of flavonoids from corn silk. Korean J. Crop Sci. 59: 435-444. 

  17. Kim, S. L., C. H. Park, E. H. Kim, H. S. Hur, and Y. K. Son. 2000. Physicochemical characteristics of corn silk. Korean J. Crop Sci. 45: 392-399. 

  18. Ku, K. M., S. K. Kim, and Y. H. Kang. 2009. Antioxidant activity and functional components of corn silk (Zea may L.). Korean J. Plant Res. 22: 323-329. 

  19. Lee, G. Y., S. I. Kim, M. G. Jung, J. H. Seong, Y. G. Lee, H. S. Kim, H. S. Chung, B. W. Lee, and D. S. Kim. 2014. Characteristics of chungkookjang that enhance the flavor and GABA content in a mixed culture of Bacillus subtilis MC31 and Lactobacillus sakei 383. J. Life Sci. 24: 1102-1109. 

  20. Lee, M. G., G. P. Choe, I. H. Lyu, G. Y. Lee, C. Y. Yu, and H. Y. Lee. 2004. Enhanced immune activity and cytotoxicity of Artemisia capillaris Thunb. extracts against human cell lines. Korean J. Medicinal Crop Sci. 12: 36-42. 

  21. Lee, S. H. 2015. Development of mulberry-leaf tea containing ${\gamma}$ -aminobutyric acid (GABA) by anaerobic treatments. Korean J. Food Sci. Technol. 47: 652-657. 

  22. Min, O. J., B. R. Sharma, C. M. Park, and D. Y. Rhyu. 2011. Effect of Myadis stigma water extract on adipogenesis and blood glucose in 3T3-L1 adipocytes and db/db mice. Korean J. Pharmacogn. 42: 201-208. 

  23. Ohn, J. and J. H. Kim. 2012. Intake pattern and needs assessment for the development of web-contents on health functional foods according to age of adults. Korean J. Community Nutr. 17: 26-37. 

  24. Park, H. S., W. K. Kim, H. P. Kim, and Y. G. Yoon. 2015. The efficacy of lowering blood glucose levels using the extracts of fermented bitter melon in the diabetic mice. J. Appl. Biol. Chem. 58: 259-265. 

  25. Qui, T., H. Li, and Y. Cao. 2010. Pre-staining thin layer chromatography method for amino acid detection. African J. Biotechnol. 9: 8679-7681. 

  26. Tsukatani, T., T. Higuchi, and K. Matsumoto. 2005. Enzyme-based microtiter plate assay for ${\gamma}$ -aminobutyric acid: Application to the screening of ${\gamma}$ -aminobutyric acid-producing lactic acid bacteria. Anal. Chim. Acta 540: 293-297. 

  27. Yang, H. J., E. H. Kim, J. O. Park, J. E. Kim, and S. N. Park. 2009. Antioxidative activity and component analysis of fermented Melissa officinalis extracts. J. Soc. Cosmet. Scientists Korea 35: 47-55. 

  28. Yoo, H. J., S. H. Lee, D. S. Lee, and H. B. Kim. 2002. Antioxidant activity of fermented barley, wormwood, sea tangle, and soybean. Korean J. Microbiol. 38: 230-233. 

  29. Zhang, G. and A. W. Bown. 1997. The rapid determination of ${\gamma}$ -aminobutyric acid. Phytochem. 44: 1007-1009.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