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이차곡선의 작도 활동에서 나타난 유추적 사고
Analogical Reasoning in Construction of Quadratic Curves 원문보기

數學敎育學硏究 = Journal of educational research in mathematics, v.27 no.1, 2017년, pp.51 - 67  

허남구 (대전송촌고등학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유추는 학생들의 문제 해결력, 귀납적 추론, 수학적 발견술, 창의성 신장에 도움을 줄 수 있는 수학 교육적으로 유용한 사고 방법이다. 학생들은 서로 다른 수학적 대상에 대해 유사성을 바탕으로 연결함으로써 두 대상 사이의 관계를 인식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예비수학교사들이 이심률의 정의에 따른 이차곡선작도 과정에서 드러난 사고의 특징을 유추의 관점에서 분석하였다. 그 결과, 바탕 문제에 관한 수학적 지식의 부재와 바탕 문제의 수학적 지식에 대응하는 목표 문제의 수학적 지식의 부재는 목표 문제의 해결에 도움되지 못하였다. 바탕 문제의 다양한 해결 방법은 목표 문제의 해결에 도움을 주었으며, 일부는 작도 문제의 해결에 있어 적절한 바탕 문제를 설정하고 대수적 방법을 통해 문제를 해결하였다. 마지막으로 잠재적 유사성에 근거한 유추는 새로운 풀이 방법을 발견하는데 도움을 주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Analogical reasoning is a mathematically useful way of thinking. By analogy reasoning, students can improve problem solving, inductive reasoning, heuristic methods and creativity.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analogical reasoning of preservice mathematics teachers while constructing q...

주제어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주어진 문제를 해결하려는 경향을 보이는 사례는? 사람들은 현실에서 새로운 문제를 접한다면 과거 동일한 문제에 부딪혔던 경험이나 유사한 문제에 부딪혔던 경험을 바탕으로 주어진 문제를 해결하려는 경향이 있다. 예컨대, 사람들은 전구를 교체해야 할 필요가 있는 상황에서 과거 같은 종류의 전구를 교체했던 경험이나 유사한 종류의 전구를 교체했던 경험을 회상하며 전구의 교체 방법을 찾기도 하고, 사회적인 문제가 발생할 경우에 역사적 자료를 바탕으로 유사한 사건이 일어난 경우를 살펴보기도 한다. 이러한 경향은 수학 문제를 해결하는 과정에서도 흔히 나타난다.
유추는 어떤 사고 방법인가? 유추는 학생들의 문제 해결력, 귀납적 추론, 수학적 발견술, 창의성 신장에 도움을 줄 수 있는 수학 교육적으로 유용한 사고 방법이다. 학생들은 서로 다른 수학적 대상에 대해 유사성을 바탕으로 연결함으로써 두 대상 사이의 관계를 인식할 수 있다.
새로운 문제를 사람들이 접하면 어떤 경향을 나타내는가? 사람들은 현실에서 새로운 문제를 접한다면 과거 동일한 문제에 부딪혔던 경험이나 유사한 문제에 부딪혔던 경험을 바탕으로 주어진 문제를 해결하려는 경향이 있다. 예컨대, 사람들은 전구를 교체해야 할 필요가 있는 상황에서 과거 같은 종류의 전구를 교체했던 경험이나 유사한 종류의 전구를 교체했던 경험을 회상하며 전구의 교체 방법을 찾기도 하고, 사회적인 문제가 발생할 경우에 역사적 자료를 바탕으로 유사한 사건이 일어난 경우를 살펴보기도 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8)

  1. 공선혜, 한인기(2008). 대수적 방법을 이용한 방접원에 관련된 삼각형의 작도 문제 해결 연구. 한국학교수학회논문집, 11(3), 399-420. 

  2. 교육부(2015). 2015개정교육과정 총론. 

  3. 류희찬, 제수연(2009). 역동적 기하 환경에서 파푸스의 분석법을 이용한 이차곡선의 작도활동에서 나타난 학생들의 수학적 발견과 정당화. 교원교육, 25(4), 168-189. 

  4. 양기열, 이의진(2011). 수학영재학생들의 유추를 통한 이차곡면의 탐구활동 분석. 영재교육연구, 21(2), 269-286. 

  5. 양성현, 강옥기(2011). GeoGebra를 활용한 역동적인 시각적 표상에 기반한 이차곡선 지도 방안. 학교수학, 13(3), 447-468. 

  6. 우정호(2002). 수학 학습-지도 원리와 방법. 서울대학교 출판부. 

  7. 이경화(2009a). 영재아들의 세 유형의 유추 문제 해결. 수학교육학연구, 19(1), 45-61. 

  8. 이경화(2009b). 수학적 지식의 구성에서 유추적 사고의 역할. 수학교육학연구, 19(3), 335-369. 

  9. 이승우, 우정호(2002). 학교수학에서의 유추와 은유. 수학교육학연구, 12(4), 523-542. 

  10. 이승훈, 조완영(2013). 수학교사의 이차곡선에 관한 내용지식의 분석. 학교수학, 15(4), 995-1013. 

  11. 이종희(2003). 수학문장제 해결과 유추. 교과교육학연구, 7(2), 63-79. 

  12. 이종희, 김선희(2002). 인수분해 문제해결과 유추. 학교수학, 4(4), 581-599. 

  13. 장미라, 강순자(2010). 역사적 고찰을 통한 이차곡선의 지도방안. 수학교육 논문집, 24(3), 731-744. 

  14. 최남광, 류희찬(2014). 유추 사고과정 모델의 개발. 수학교육학연구, 24(2), 103-124. 

  15. 최변각, 이해신, 추병수, 문병권, 소영무, 이지은, 이정은, 조명아(2011). 지구과학 I. 서울: 천재교육. 

  16. 한인기(2001). 유추를 활용한 무게중심 탐구에 관한 연구. 중등교육연구, 13, 205-215. 

  17. 한인기, 김문섭(2007). 바탕문제를 활용한 정사면체와 정육면체의 절단면 작도에 대한 연구. 수학교육, 46(3), 303-314. 

  18. 한인기 & 에르든에프, P. M.(2005). 유추를 통한 수학탐구. 서울: 승산. 

  19. 허남구(2014). 기하학적 방법을 통한 이차곡선 접선의 작도에 관한 연구. 과학영재교육, 6(3), 125-133. 

  20. Aleksandrov, I. I. (2004). Sbornik Geometricheskin Zadach na postronenie. Moskva: URSS. 

  21. Alexander, P. A., White, C. S. & Daugherty, M. (1997). Analogical Reasoning and early mathematics learning. In English, L. D. (Ed), Mathematical reasoning: analogies, metaphors, and images. (pp. 117-147). Lawrence Erlbaum. Associates Publishers. 

  22. Chen, Z. (2002). Analogical Problem Solving: A Hierarchical Analysis of Procedural Similarity. Journal of Experimental Psychology, 28(1), 81-98. 

  23. English, L. D. (1997). Analogies, Metaphors, and Image: Vehicles for Mathematical Reasoning. In English, L. D.(Ed), Mathematical reasoning: analogies, metaphors, and images. (pp. 3-18). Lawrence Erlbaum. Associates Publishers. 

  24. English, L. D. (2004). Mathematical and Analogical Reasoning in Early Childhood. In English, L. D.(Ed), Mathematical and analogical reasoning of young learners. (pp. 1-22). Mahwah, NJ: Lawrence Erlbaum. 

  25. Gentner, D. (1989). The mechanism of analogical learning. In Vasniadou, S. & Ortony, A.(Eds.), Similarity and analogical reasoning. (pp. 199-241). New York : Cambridge University Press. 

  26. Gentner, D., Holyoak, K. J. & Kokinov, B. N. (2001). The analogical mind: perspective from cognitive science. MA: MIT Press. 

  27. Gentner, D. & Markman, A. B. (1997). Structure Mapping in Analogy and Similarity. American Psychologist, 52(1), 45-56. 

  28. Goswami, U. (2004). Commentary: Analogical Reasoning and Mathematical Development. In English, L. D.(Ed), Mathematical and analogical reasoning of young learners. (pp. 169-186). Mahwah, NJ: Lawrence Erlbaum. 

  29. Holyoak, K. J. & Thagard, P. (1995). Mental leaps: analogy in creative thought. MA: MIT Press. 

  30. Klauer, K.J. & Phye, G.D. (2008). Inductive Reasoning. A Training Approach. Review of Educational Research, 78, 85-123. 

  31. Lee, K. & Sriraman, B. (2011). Conjecturing via reconceived classical analogy. Educational Studies in Mathematics, 76, 123-140. 

  32. Novick, L. R. (1988). Analogical transfer, problem similarity, and expertise. Journal of Experimental Psychology; Learning, Memory, and Cognition, 17, 398-415. 

  33. Perepelkin, D. I. (1947). Geometricheskie postroeniya v srednei shkole. Moskva: IAPN. 

  34. Polya, G. (1954). Mathematics and plausible reasoning I: induction and analogy in mathematics. NJ: Princeton University Press. 

  35. Polya, G. (2008). 어떻게 문제를 풀 것인가. (우정호 역), 서울: 교우사. (영어 원작은 1957년 출판). 

  36. Schoenfeld, A. (1985). Mathematical problem solving. FL: Academic Press. INC. 

  37. Treffinger, D. J., Isaksen, S. G. & Stead-dorval, K. B. (2000). Creative problem solving : an introduction. TX: Prufrock Press. 

  38. Weisberg, R. W. (2006). Creativity: understanding innovation in problem solving, science, invention, and the arts. NJ: John Wiley & Sons. (김미선 역). 서울: 시그마프레스.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