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소 단어 이상 선택하여야 합니다.
최대 10 단어까지만 선택 가능합니다.
다음과 같은 기능을 한번의 로그인으로 사용 할 수 있습니다.
NTIS 바로가기전기전자재료학회논문지 =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electronic material engineers, v.30 no.3, 2017년, pp.139 - 143
심경배 (성균관대학교 정보통신대학) , 박철민 (성균관대학교 에너지과학과) , 이준신 (성균관대학교 정보통신대학)
N-type crystalline silicon solar cells have high metal impurity tolerance and higher minority carrier lifetime that increases conversion efficiency. However, junction quality between the boron diffused layer and the n-type substrate is more important for increased efficiency. In this paper, the cur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핵심어 | 질문 |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
---|---|---|
N-type 태양전지의 장점은 무엇인가? | 그러나 N-type 태양전지의 경우 기판에 phosphorus 가 존재하기 때문에 B-O complex에 의한 LID 현상이 생기지 않을 뿐만 아니라 Fe에 의한 불안정성이 없어 높은 lifetime을 가지고 있다 [3]. 이처럼 우수한 웨이퍼 품질과 inactive doping의 차이에 의한 boron diffusion layer의 낮은 saturation current density (J0e )는 N-type 태양전지의 장점이다 [4]. 하지만 이러한 장점에도 불구하고 boron diffusion layer의 형성, passivation에 연관된 기술적 도전과 비용 때문에 P-type 실리콘 태양전지가 주류를 이루고 있으며 다양한 boron diffusion 기술들이 현재까지 조사 및 사용 되고 있지만 뚜렷하게 우위에 있는 기술은 나오고 있지 않은 상황이다 [5]. | |
N-type이 아닌 P-type 실리콘 태양전지가 주류를 이루고 있는 이유는 무엇인가? | 이처럼 우수한 웨이퍼 품질과 inactive doping의 차이에 의한 boron diffusion layer의 낮은 saturation current density (J0e )는 N-type 태양전지의 장점이다 [4]. 하지만 이러한 장점에도 불구하고 boron diffusion layer의 형성, passivation에 연관된 기술적 도전과 비용 때문에 P-type 실리콘 태양전지가 주류를 이루고 있으며 다양한 boron diffusion 기술들이 현재까지 조사 및 사용 되고 있지만 뚜렷하게 우위에 있는 기술은 나오고 있지 않은 상황이다 [5]. | |
P-type 결정질 실리콘 웨이퍼의 효율 저하는 무엇 때문에 일어나는가? | P-type 결정질 실리콘 웨이퍼를 이용하여 제작하는 태양전지는 현재까지도 태양광 발전 분야에서 높은 점유율을 차지하고 있다. 하지만 P-type 웨이퍼에 존재 하는 최대 1×1018개의 oxygen이 boron dopant와 결합하여 boron-oxygen complex를 형성하게 되고, 이는 light-induced degradation (LID)을 야기하게 되어 minority carrier life time (MCLT)의 감소와 더불어 모듈에서는 1~3%의 효율 감소를 보이며 태양전지 에서는 0.2~0.5% 효율을 저하시키는 원인이 된다 [1,2]. 그러나 N-type 태양전지의 경우 기판에 phosphorus 가 존재하기 때문에 B-O complex에 의한 LID 현상이 생기지 않을 뿐만 아니라 Fe에 의한 불안정성이 없어 높은 lifetime을 가지고 있다 [3]. |
A. U. Rehman and S. H. Lee, Scientific World J., 13 (2013).
K. Bothe, R. Sinton, and J. Schmidt, Progress in Photovoltaics, 13, 297 (2005). [DOI: https://doi.org/10.1002/pip.586]
D. L. Meier, V. Chandrasekaran, H. Preston Davis, A. M. Payne, X. Wang, V. Yelundur, J. E. O'Neill, Y. W Ok, F. Zimbardi, and A. Rohatgi, IEEE JOURNAL OF PHOTOVOLTAICS, 1, 123 (2011).
J. Sheng, W. Wang, S. Yuan, W. Cai, Y. Sheng, Y. Chen, J. Ding, N. Yuan, Z. Feng, and P. J. Verlinden, Sol. Energ. Mat. Sol. Cells, 152, 59 (2016). [DOI: https://doi.org/10.1016/j.solmat.2016.03.032]
K. Ryu, E. Cho, A. Rohatgi, and Y. Ok, PROGRESS IN PHOTOVOLTAICS, 24, 1109 (2016). [DOI: https://doi.org/10.1002/pip.2775]
M. A. Kessler, T. Ohrdes, B. Wolpensinger, R. Bock, and N. P. Harder, Proc. 34th IEEE Photovoltaic Specialists Conference (PVSC) (Philadelphia, USA, 2009) p. 001556.
B. Singha and C. S. Solanki, Semicond. Sci. Technol, 31, 10 (2016). [DOI: https://doi.org/10.1088/0268-1242/31/3/035009]
S. P. Phang, W. Liang, B. Wolpensinger, M. A. Kessler, and D. Macdonald, IEEE JOURNAL OF PHOTOVOLTAICS, 3, 261 (2013). [DOI: https://doi.org/10.1109/JPHOTOV.2012.2226332]
K. Ryu, C. J. Choi, H. M. Park, D. H. Kim, A. Rohatgi, and Y. W. Ok, Sol. Energ. Mat. Sol. Cells, 146, 58 (2016). [DOI: https://doi.org/10.1016/j.solmat.2015. 11.031]
J. Y. Cho, H.N.R. Shin, J. E. Lee, Y. S. Choi, J. C. Lee, H. Ph, T. J. Kim, M. I. Hwang, and E. C. Cho, Energy Procedia, 77, 279 (2015). [DOI: https://doi.org/10.1016/j.egypro.2015.07.039]
P. Rothhardt, C. Demberger, A. Wolf, and D. Biro, Energy Procedia, 38, 305 (2013). [DOI: https://doi.org/10.1016/j.egypro.2013.07.282]
N. Wehmeier, B. Lim, A. Merkle, A. Tempez, S. Legendre, H. Wagner, A. Nowack, T. Dullweber, and P. P. Altermatt, IEEE JOURNAL OF PHOTOVOLTAICS, 6, 119 (2016). [DOI: https://doi.org/10.1109/JPHOTOV.2015.2493364]
P. Negrini, A. Ravaglia, and S. Solmi, J. Electrochem, 125, 609 (1978). [DOI: https://doi.org/10.1149/1.2131510]
J. Engelhardt, A. Frey, L. Mahlstaedt, S. Gloger, G. Hahn, and B. Terheiden, Energy Procedia, 55, 235 (2014). [DOI: https://doi.org/10.1016/j.egypro.2014.08.050]
J. Schon, M. C. Schubert, W. Warta, H. Savin, and A. Haarahiltunen, Phys. Status Solidi A, 207, 2589 (2010). [DOI: https://doi.org/10.1002/pssa.201026333]
해당 논문의 주제분야에서 활용도가 높은 상위 5개 콘텐츠를 보여줍니다.
더보기 버튼을 클릭하시면 더 많은 관련자료를 살펴볼 수 있습니다.
*원문 PDF 파일 및 링크정보가 존재하지 않을 경우 KISTI DDS 시스템에서 제공하는 원문복사서비스를 사용할 수 있습니다.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