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감귤껍질을 첨가한 돈육 patty의 이화학적 품질특성
Physicochemical Quality Characteristics of Pork Patty with Tangerine (Citrus unshiu) Peel 원문보기

생명과학회지 = Journal of life science, v.27 no.2 = no.202, 2017년, pp.123 - 130  

최강원 (대구공업대학교 호텔외식조리계열) ,  이종욱 (영남대학교 생명과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감귤껍질을 첨가한 돈육 patty의 이화학적 품질특성을 조사하였다. 돈육 후지 68%, 등지방 20%, 소금 2%, 냉각수 10%를 배합한 대조군(T0), 냉각수 대신 감귤껍질분말 0.3% 분산액 10%를 배합한 T1, 0.7% 분산액 10%를 배합한 T2, 그리고 T3는 1.0% 분산액 10%를 첨가하여 네 종류의 돈육 patty를 제조하였다. 생육 및 가열육의 일반성분은 시료들 사이에 차이가 없었으며, 수율, 보수력, 수분보유율 및 지방보유율도 감귤껍질의 첨가가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기계적 조직감으로 측정한 경도, 탄성, 응집성, 검성씹힘성도 시료들 사이에서 유의성을 보이지 않았다. 총 폴리페놀 함량은 T3이, DPPH free radical 소거능은 T2와 T3이 가장 높았다(p<0.001). TBARS는 감귤껍질이 첨가됨에 따라 유의하게 감소하였으며, T2 및 T3가 T0 및 T1보다 유의하게 낮았다(p<0.001). VBN함량은 시료들 사이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pH는 T0에서 가장 높고, T3에서 가장 낮았다(p<0.001). 외부색도의 경우, L-value (명도)는 시료들 사이에 유의한 차이가 없었지만 a-value (적색도)와 b-value (황색도)는 T2 및 T3가 가장 높고, T0가 가장 낮았다(p<0.01). 내부색도는 L- 및 a-value의 경우, 시료들 사이에 차이가 없었고, b-value에서 T2 및 T3가 가장 높고, T0가 가장 낮게 나타났다(p<0.01). 관능특성 중 맛, 조직감, 다즙성 및 전체적인 기호성은 시료들 사이에 차이가 없었으나, 풍미는 T2 및 T3가 T0 및 T1보다 높았다(p<0.01). 이상의 결과에서, 돈육 patty에 감귤껍질을 첨가하면 항산화 활성, 적색도 유지, 풍미개선 등의 작용이 있는 것으로 확인되어 감귤껍질은 육제품의 기능성 소재로서 이용 가능성이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physicochemical quality characteristics of pork patty added with four different amount (T0:0%, T1:0.3%, T2:0.7%, T3:1.0%) of tangerine (Citrus unshiu) peel.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chemical composition, cooking yield, water holding capacity,...

Keyword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또한 부산물을 이용한 대부분의 연구들은 추출물을 이용하는 경우가 많지만 추출 후에는 다시 폐기물이 발생하기 때문에 부산물을 모두 이용하는 것은 특히 육제품에 부족한 섬유질의 공급과 폐기물 발생을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는 방법으로 판단된다. 본 연구에서는 폐기되는 부존자원의 효과적인 이용방법을 제시하고, 이를 이용한 기능성 육제품 제조를 위하여 감귤껍질을 돈육 patty 제조에 첨가하여 품질특성을 관찰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감귤은 분류군은 무엇인가? 감귤(Citrus unshiu)은 운향과(Rutaceae) 감귤속(Citrus)의 식물로서, 우리나라에서는 연간 70만톤이 생산되고 있으며 이는 과수 전체 생산량의 30%를 차지한다[29]. 과일 중 우리나라에서 가장 많이 생산되고 소비되는 감귤은 과거에는 대부분 생과로 소비되었지만 서구식 식생활로의 패턴변화와 식품산업 및 가공산업의 발달로 현재는 주스와 통조림 등의 가공제품으로의 소비가 증가하는 추세이다.
flavonoid류 중 hesperidin과 naringin은 어떤 효과를 나타내는가? 감귤껍질은 flavonoids, carotenoids, pectin, terpenes, organic acids, vitamins 등이 많이 함유되어 있으며[39, 41], flavonoid류 중 hesperidin과 naringin이 많이 함유되어 있다[23, 32]. 이들은 항산화, 항균, 항돌연변이, 항염증, 항바이러스 작용이 있고, 순환기계질병 예방, 모세혈관 강화 등의 효과가 있다[7, 8, 24]. 그리고 Yang 등[42]은 카로티노이드 및 플라보노이드 함량이 껍질부위가 과육부위보다 높으며 종류도 껍질부위에 다양하게 존재한다고 하였다.
감귤껍질은 어떤 성분을 함유하고 있는가? 그러나 감귤 가공과정에 부산물로 생성되는 껍질은 일부 한약재[27]나 사료[41] 등으로 사용되고 있지만 대부분 폐기물로 처리되고 있는 실정이다. 감귤껍질은 flavonoids, carotenoids, pectin, terpenes, organic acids, vitamins 등이 많이 함유되어 있으며[39, 41], flavonoid류 중 hesperidin과 naringin이 많이 함유되어 있다[23, 32]. 이들은 항산화, 항균, 항돌연변이, 항염증, 항바이러스 작용이 있고, 순환기계질병 예방, 모세혈관 강화 등의 효과가 있다[7, 8, 24].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2)

  1. Alleson-Carbonell, L., Fernandez-Lopez, J., Perez-Alvarez, J. A. and Kuri, V. 2005. Characteristics of beef burger as influenced by types of lemon albedo. Innovative Food Sci. Emerging Technol. 6, 247-255. 

  2. Bampidis, V. A. and Robinson, P. H. 2006. Citrus by-products as ruminant feeds. Anim. Feed Technol. 128, 175-217. 

  3. Bekhit, A. E. D., Geesink, G. H., Ilian, M. A., Morton, J. D. and Bickerstaffe, R. 2003. The effects of natural antioxidants on oxidative processes and metmyoglobin reducing activity in beef patties. J. Food Chem. 81, 175-187. 

  4. Blois, M. S. 1958. Antioxidant determination by the use of a stable free radical. Nature 26, 1199-1200. 

  5. Brettonnet, A., Hewavitarana, A., Dejong, S. and Lanari, M. C. 2010. Phenolic acids composition and antioxidant activity of canola extracts in cooked beef, chicken and pork. J. Food Chem. 121, 927-933. 

  6. Buege, A. J. and Aust, S. D. 1978. Microsomal lipid peroxidation, pp. 302-310. In Gleischer S. and Parker L. (ed.), Methods in Enzymology. Academic Press Inc: New York, USA. 

  7. Burton, G. W. and Ingold, K. U. 1985. ${\beta}$ -Carotene: unusual type of lipid antioxidant. Science 224, 569-572. 

  8. Cha, J. Y. and Cho, Y. S. 2001. Biofunctional activities of citrus flavonoids. J. Kor. Soc. Agric. Chem. Biotechnol. 44, 122-128. 

  9. Choi, G. W. and Lee, J. W. 2016. Effect of grape skin physicochmical and sensory characteristics of ground pork meat. Kor. J. Food Cook Sci. 32, 290-298. 

  10. Choi, Y. J., Park, K. S. and Jung, I. C. 2015. Quality characteristics of ground pork meat containing hot water extract from dandelion (Taraxacum officinale). J. East Asian Soc. Dietary Life 25, 651-659. 

  11. Cross, H. R., Berry, B. W. and Well, L, H. 1980. Effects of fat level and source on the chemical, sensory and cooking properties of ground beef patties. J. Food Sci. 45, 791-793. 

  12. Devatkal, S. K., Narsaiah, K. and Borah, A. 2010. Anti-oxidant effect of extracts of kinnow rind, pomegranate rind and seed powders in cooked goat meat patties. Meat Sci. 85, 155-159. 

  13. Egbert, W. R., Huffman, D. L., Chen, C. M. and Dylewski, D. P. 1991. Development of low-fat ground beef. Food Technol. 45, 64-73. 

  14. El-Magoli, S. B., Laroia, S. and Hansen, P. T. M. 1996. Flavour and texture characteristics of low fat ground beef patties formulated with whey protein concentrate. Meat Sci. 42, 179-193. 

  15. Folin, O. and Denis, W. 1912. On phosphotungstic-phosphomolybdic compounds as color regents. J. Biol Chem. 12, 239-243. 

  16. Govindarajan, S. and Snyder, H. E. 1973. Fresh meat color. Crit. Rev. Food Sci. Nutr. 4, 117-140. 

  17. Hand, L. W., Hollingsworth, C. A., Calkins, C. R. and Mandigo, R. W. 1987. Effects of preblending, reduced fat band salt levels on frankfurter characteristics. J. Food Sci. 52, 1149-1151. 

  18. Hensley, J. L. and Hand, L. W. 1995. Formation and chopping temperature effects on beef frankfurters. J. Food Sci. 60, 55-57. 

  19. Hoffman, K., Hamm, R. and Bluchel, E. 1982. Neues uber die best immung der wasserbindung des fleisches mit hilfe der filterpapierpress methode. Fleischwirtschaft 62, 87-93. 

  20. Huang, B., He, J. S., Ban, X. Q., Zeng, H., Yao, X. C. and Wang, Y. W. 2011. Antioxidant activity of bovine and porcine meat treated with extracts from edible lotus (Nelumbo nucifera) rhizome knot and leaf. Meat Sci. 87, 46-53. 

  21. Hwang, J. H., Park, K. Y., Oh, Y. S. and Lim, S. B. 2013. Phenolic compound content and antioxidant activity of citrus peels. J. Kor. Soc. Food Sci. Nutr. 42, 153-160. 

  22. Joo, S. Y. and Choi, H. Y. 2014. Effect of chestnut inner shell power on antioxidant activities and quality characteristics of pork patties. J. Kor. Soc. Food Sci. Nutr. 43, 698-704. 

  23. Kawaii, S., Tomono, Y., Katase, E., Ogawa, K. and Yano, M. 1999. Quantization of flavonoid constituents in citrus fruits. J. Agric. Food Chem. 47, 3565-3571. 

  24. Kim, E. J., Jung, J. I., Lee, H. S., Kang, I. J., Khachik, F. and Youn, J. H. 2003. Effect of carotenoids on the growth of HT-29 human colon cancer cells. J. Kor. Soc. Food Sci. Nutr. 32, 428-436. 

  25. Kim, M. H., Joo, S. Y. and Choi, H. Y. 2015. The effect of aronia powder (Aronia melanocarpa) on antioxidant activity and quality characteristics of pork patties. Kor. J. Food Cook Sci. 31, 82-90. 

  26. Korea Food & Drug Administration (KFDA). 2009. Fode Code. Munyoungsa, Seoul, pp. 212-251. 

  27. Lee, H. T. 2014. Prokinetic activity of ethanolic extracts from dried Citrus unshiu peels in mice. J. Life Sci. 24, 260-265. 

  28. Lee, K. S., Kim, J. N. and Jung, I. C. 2013.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ground pork with lotus leaf extract during refrigerated storage. J. East Asian Soc. Dietary Life 23, 477-486. 

  29. Liu, M. N., Huffman, D. L. and Egbert, W. R. 1991. Replacement of beef fat with partially hydrogenated plant oil in lean ground beef patties. J. Food Sci. 56, 861-862. 

  30. Ministry of agriculture, food and rural affairs. 2015. Major statistics of agriculture. pp. 1-557. 

  31. Moon, Y. H., Kim, Y. K., Koh, C. W., Hyon, J. S. and Jung, I. C. 2001. Effect of aging period, cooking time and temperature on the textural and sensory characteristics of boiled pork loin. J. Kor. Soc. Food Sci. Nutr. 30, 471-476. 

  32. Mouly, P. P., Gaydou, E. M. and Auffray, A. 1998. Simultaneous separation of flavanone glycosides and polymethoxylated flavones in citrus juices using chromatography. J. Chromatography 800, 171-179. 

  33. Park, G. H., Lee, S. H., Kim, H. Y., Jeong, H. S., Kim, E. Y., Yun, Y. W., Nam, S. Y. and Lee, B. J. 2011. Comparison in antioxidant effects of four citrus fruits. J. Fd. Hyg. Safety 26, 355-360. 

  34. Park, K. S., Park, H. S., Choi, Y. J., Moon, Y. H., Lee, K. S., Kim, M. J. and Jung, I. C. 2011. Quality changes of pork patty containing lotus (Nelumbo nucifera) leaf and root powder during refrigerated storage. J. Life Sci. 21, 1732-1739. 

  35. Rodriguez-Carpena, J. G., Morcuende, D. and Estevez, M. 2011. Avocado by-products as inhibitors of color deterioration and lipid and protein oxidation in raw porcine patties subjected to chilled storage. Meat Sci. 89, 166-173. 

  36. Raharjo, S. and Sofos, J. N. 1993. Methodology for measuring malonaldehyde as a product of lipid peroxidation in muscle tissue: A review. Meat Sci. 35, 145-169. 

  37. Steenblock, R. L., Sebranek, J. G., Olson, D. G. and Love, J. A. 2001. The effects of oat fiber on the properties of light bologna and fat free frankfurters. J. Food Sci. 66, 1409-1415. 

  38. Troutt, E. S., Hunt, M. C., Johnson, D. E., Claus, J. R., Kastner, C. L., Kropf, D. H. and Stroda, S. 1992. Chemical, physical and sensory characterization of ground beef containing 5 to 30 percent fat. J. Food Sci. 57, 25-29. 

  39. Vanamala, J., Reddivari, L., Yoo, K. S., Pike, L. M. and Patil, B. S. 2006. Variation in the content of bioactive flavonoids in different brands of orange and grapefruit juices. J. Food Compost. Anal. 19, 157-166. 

  40. Watanabe, K. and Sato, Y. 1974. Meat flavor. Japan J. Zootech. Sci. 45, 113-128. 

  41. Yang, S. J., Koh, S. M., Yang, T. I., Jung, I. C. and Moon, Y. H. 2006. Feeding effect of citrus by product on the quality of cross-bred black pig in Jeju Island. J. Kor. Soc. Food Sci. Nutr. 35, 897-902. 

  42. Yang, Y. T., Kim, M. S., Hyun, K. H., Kim, Y. C. and Koh, J. S. 2008. Chemical constituents and flavonoids in citrus pressed cake. Kor. J. Food Preserv. 15, 94-98. 

저자의 다른 논문 :

활용도 분석정보

상세보기
다운로드
내보내기

활용도 Top5 논문

해당 논문의 주제분야에서 활용도가 높은 상위 5개 콘텐츠를 보여줍니다.
더보기 버튼을 클릭하시면 더 많은 관련자료를 살펴볼 수 있습니다.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