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GM 유채에 도입된 β-glucosidase 1 (AtBG1)의 단회투여독성시험
Single-dose Oral Toxicity Study of β-glucosidase 1 (AtBG1) Protein Introduced into Genetically Modified Rapeseed (Brassica napus L.) 원문보기

생명과학회지 = Journal of life science, v.27 no.2 = no.202, 2017년, pp.194 - 201  

이순봉 (농업회사법인주식회사 에프앤피) ,  정광주 (농업회사법인주식회사 에프앤피) ,  장경민 (한국생명공학연구원 바이오평가센터) ,  김성건 (유원대학교 의생명과학과) ,  박정호 (한국생명공학연구원 바이오평가센터) ,  김신제 (농업회사법인주식회사 에프앤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유채는 십자화과로 분류되는 유지작물로써 전 세계적으로 재배되는 작물이다. 이전 연구결과에서 가뭄저항성을 증대시키는 것으로 보고된 애기장대의 ${\beta}$-glucosidase 1 (AtBG1) 유전자를 도입함으로써 가뭄저항성 형질전환 유채를 개발하였다. 새로 개발된 형질전환 작물들은 그 이용에 대한 안전성에 대하여 어떠한 정보도 제공되지 않기 때문에 작물의 안정성에 대한 증명이 필수적이다. 이러한 안정성 평가는 작물의 역사적 사용과 과학적 증거를 기초로 한다. 이번 연구에서는 AtBG1이 도입된 형질전환 유채의 급성투여독성시험을 통하여 암수 마우스 각각에서 한계투여 용량을 확인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를 위해 OECD의 급성독성의 권고안에 따라 AtBG1 단백질을 암수 각각 5마리의 ICR 마우스에 몸무게 1 kg 당 2,000 mg을 부형제에 녹여 강제구강투여 하였다. 투여일부터 14일 동안 운동성, 병리학적 이상, 몸무게를 측정하였고 마지막 14일에는 안락사 후에 부검을 통해 AtBG1 투여군과 비투여군의 차이를 확인하였다. 이상의 실험을 통하여 AtBG1 단백질이 운동성, 병리학적 이상, 몸무게 및 부검 결과에서 대조구와 실험구, 두 그룹간의 특이적인 차이를 보이지 않음을 확인하였다. 또한 AtBG1 단백질은 급성독성의 측면에서 안전한 물질로 판단되며, 한계허용치 용량이 2,000 mg을 상회함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이는 차후 AtBG1 도입 유채의 인체위해성 평가 자료로 사용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Rapeseed (Brassica napus L.) is an oil crop classified as Brassicaceae, and it is widely grown worldwide. To develop a drought-resistant rapeseed, the ${\beta}$-glucosidase 1 (AtBG1) gene was introduced into rapeseed because drought- and salt-resistance phenotypes were observed when the A...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문제 정의

  • 국내에서는 2008년 1월 1일부터「LMO 법률」과 유전자재조합 농산물 · 축산물 · 수산물 및 미생물은 「식품위생법」제 18 조의 법적근거에 따라 “유전자재조합 농산물 · 미생물 안전성평가 심사”를 거쳐야 한다. 본 연구에서는 애기장대의 β-glucosidase 1 (AtBG1) 유전자가 형질전환된 GM 유채에 대한 인체 위해성 평가 중 단회경구투여 독성시험 실시하였고 암·수 ICR 마우스를 이용하여 OECD 테스트 가이드라인[6, 7]과 식품의약품안전처 고시 제2015-82호[4]에 따라서 AtBG1 단백질을 단회 경구 투여하여, AtBG1 단백질이 독성으로 작용할 가능성을 평가하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유채는 무엇인가? 유채는 십자화과로 분류되는 유지작물로써 전 세계적으로 재배되는 작물이다. 이전 연구결과에서 가뭄저항성을 증대시키는 것으로 보고된 애기장대의 ${\beta}$-glucosidase 1 (AtBG1) 유전자를 도입함으로써 가뭄저항성 형질전환 유채를 개발하였다.
새로 개발된 형질전환 작물에 대한 안정성 증명은 무엇을 토대로 하는가? 새로 개발된 형질전환 작물들은 그 이용에 대한 안전성에 대하여 어떠한 정보도 제공되지 않기 때문에 작물의 안정성에 대한 증명이 필수적이다. 이러한 안정성 평가는 작물의 역사적 사용과 과학적 증거를 기초로 한다. 이번 연구에서는 AtBG1이 도입된 형질전환 유채의 급성투여독성시험을 통하여 암수 마우스 각각에서 한계투여 용량을 확인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AtBG1 유전자의 기능은 무엇인가? 유채는 십자화과로 분류되는 유지작물로써 전 세계적으로 재배되는 작물이다. 이전 연구결과에서 가뭄저항성을 증대시키는 것으로 보고된 애기장대의 ${\beta}$-glucosidase 1 (AtBG1) 유전자를 도입함으로써 가뭄저항성 형질전환 유채를 개발하였다. 새로 개발된 형질전환 작물들은 그 이용에 대한 안전성에 대하여 어떠한 정보도 제공되지 않기 때문에 작물의 안정성에 대한 증명이 필수적이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0)

  1. Bouchet, A. S., Laperche, A., Bissuel-Belaygue, C., Baron, C., Morice, J., Rousseau-Gueutin, M., Dheu, J. E., George, P., Pinochet, X., Foubert, T., Maes, O., Dugue, D., Guinot, F. and Nesi, N. 2016. Genetic basis of nitrogen use efficiency and yield stability across environments in winter rapeseed. BMC Genet. 17, 131. 

  2. Han, Y. J., Cho, K. C., Hwang, O. J., Choi, Y. S., Shin, A. Y., Hwang, I. and Kim, J. I. 2012. Overexpression of an Arabidopsis beta-glucosidase gene enhances drought resistance with dwarf phenotype in creeping bentgrass. Plant Cell Rep. 31, 1677-1686. 

  3. Hunter, J. and Duff, G. 2016. GM crops-lessons from medicine. Science 353, 1187. 

  4. KFDA 2015. Partial amendment official announcement about toxicity test for Drug. 

  5. Lee, K. H., Piao, H. L., Kim, H. Y., Choi, S. M., Jiang, F., Hartung, W., Hwang, I., Kwak, J. M., Lee, I. J. and Hwang, I. 2006. Activation of glucosidase via stress-induced polymerization rapidly increases active pools of abscisic acid. Cell 126, 1109-1120. 

  6. OECD 2001. OECD Guideline for Testing of Chemicals. Acute Oral Toxicity-Acute Toxic Class. Test guideline 423. 

  7. OECD Publishing, P. 2002. Test No. 420: Acute Oral Toxicity - Fixed Dose Procedure, OECD Guidelines for the Testing of Chemicals, Section 4. 

  8. Pandolfo, C. E., Presotto, A., Carbonell, F. T., Ureta, S., Poverene, M. and Cantamutto, M. 2016. Transgenic glyphosate-resistant oilseed rape (Brassica napus) as an invasive weed in Argentina: detection, characterization, and control alternatives. Environ. Sci. Pollut Res. Int. 23, 24081-24091. 

  9. Schmutzer, T., Samans, B., Dyrszka, E., Ulpinnis, C., Weise, S., Stengel, D., Colmsee, C., Lespinasse, D., Micic, Z., Abel, S., Duchscherer, P., Breuer, F., Abbadi, A., Leckband, G., Snowdon, R. and Scholz, U. 2015. Species-wide genome sequence and nucleotide polymorphisms from the model allopolyploid plant Brassica napus. Sci. Data. 2, 150072. 

  10. Weselake, R. J., Taylor, D. C., Rahman, M. H., Shah, S., Laroche, A., McVetty, P. B. and Harwood, J. L. 2009. Increasing the flow of carbon into seed oil. Biotechnol. Adv. 27, 866-878.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