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한국 고대 붉은 간토기의 적색 안료 및 교착제에 대한 과학적 분석
Study on Scientific Analysis about Red Pigment And Binder - The Korean Ancient Red Pottery - 원문보기

보존과학회지 = Journal of conservation science, v.37 no.5, 2021년, pp.606 - 616  

이의천 (한국전통문화대학교 문화유산전문대학원 문화재수리기술학과) ,  박정혜 (한국전통문화대학교 문화유산전문대학원 문화재수리기술학과) ,  이제현 (국립김해박물관 학예연구실) ,  김수철 (한국전통문화대학교 기술과학대학 문화재보존과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에서는 한국 고대 붉은 간토기 중 국립김해박물관 소장품인 적색마연완 붉은 간토기(신석기시대), 단도마연 붉은 간토기(청동기시대), 적색마연가지문 붉은 간토기(청동기시대)에 사용된 적색 안료와 교착제를 확인하여 고대 붉은 간토기에 사용된 적색 안료와 교착제의 종류에 대한 자료를 구축하고자 하였다. 과학적 분석 결과, 붉은 간토기 3점 모두 소지층과 적색의 표면층으로 구분되었으며, 적색의 표면층에서는 적색 안료 입자와 광물의 결정이 보였다. SEM-EDS, Raman 분석을 통해 적색 안료는 산화철(Fe2O3)을 주 발색원으로 하는 토양성 안료 중 석간주로 추정하였으며, FTIR-ATR을 통해 Urushiol polymer의 특징에 의한 성분 피크가 검출되었다. GC/MS 분석 결과, 적색층에서 옻칠의 방향구조에 기인하는 성분인 Benzenemethanol-2-propenyl, 4-heptyl phenol, 1-Tetradecanol, Heptafluorobutyroxytridecane 성분이 검출되었다. 따라서 국립김해박물관 소장품인 붉은 간토기 3점의 적색 안료는 석간주(Fe2O3)를, 교착제로는 옻칠을 사용하여 제작된 토기인 것으로 판단되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From the collection of the National Kimhae Museum, qualitative analyses using microscopic observation, SEM-EDS, Raman spectroscopy, FT-IR-ATR spectroscopy, and GC-MS were conducted on three burnished red potteries-Jeoksaekmaoyeonwa burnished red pottery (Neolithic age red pottery), Dandomaoyeonwan b...

주제어

참고문헌 (16)

  1. Ahn, C.B., 1982, Changes in Prehistoric Culture in Gaya (with Busan and Yeongnam), Hanguk Kogo-Hakbo, 12. 

  2. Ahn, J.H., 2003, Appearance of Red Smoke Pottery and Songguk-ri Pottery, General Book of the Korean Archaeological Society, 2. 

  3. Cho, N.C., Kim, S.C., Kim, W.H. and Shin, Y.S., 2010, A study on the bonding materials used for the great jar of the proto-three kingdoms period from daechuri site Pyeongtaek, 26(4), 371-376.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4. Choi, J.W. and Kim, S.C., 2018, Analysis of lacquer and CNSL using infrared spectrometer and pyrolysis-gc/ms. Korean Wood Sci., 46(1), 001-009.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5. Choi, M.Y., Shin, S.J. and LEE, D.Y., 1998, A Scientific Analysis of Hongdo Island in the South Han River Basin - The Method of Production of Red Gantiles in the Bronze Age, The National Assembly of Korea, 82, 1-45. 

  6. Choi, S.C., Kim, S.D., Lee, Y.H., Ko, Y.H. and Ham, S.W., 2011, Studies on analysis of Joseon lacquer layer,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onservation Science for Cultural Heritage, 27(4), 371-380.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7. Chung, Y.J., Kim, J.E., and Yu, J.A., 2017, Study on qualitative analysis for lacquer mixed with some additives by Pyrolysis-Gas chromatography/mass spectrometry,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onservation Science for Cultural Heritage, 33(1), 51-59. (in Korea with English abstract) 

  8. Maya, K., Takeshi, M., Toru, T., Shinya, S. and Setsuo I., 2014, Review on the Archaeological Studies on Red Pigment in Japan, Korea Cultural Heritage Association, 21(4), 103-121.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9. Jang, S.Y., 2020, Resarch on Manufacturing Technology of Red-Burnished Pottery Excavated from Samdeok-ri, Goseong, Korea, National Research Institute of Cultural Heritage, 53(4), 170-187.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0. Jeong, J.W., 1980, During the Neolithic Period, the site of the Seven Characters-South Coastal Scraps against the Dandoma Smoke Earthenware was the center of the Joseon Dynasty, History of Busan, 4. Journal of Conservation Science, 33(1), 051-059.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1. Gimhae National Museum Special Exhibition, 2019, The color and light of ancient artifacts ottchil lacquer, 212-221.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2. Kim, S.C., 2007, Analysis and conservation of lacquer wares from archaeological sites in Korea, Chungbuk National University, Cheongju. 

  13. Lee, Y.J., Park, J.H. and Lee, K.M., 2015, Infrared emissivity of major minerals measured by FT-IR, Atmosphere, Korean Meteorological Society, 25(4), 601-610. 

  14. Park, J.S. and Ahn, S.A., 2018, Analysis of dried Asian lacquer by pyrolysis/GC/MS, Analytical Science & Technology, 31(2), 078-087.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5. Sin, K.S. and Oh, M.M., 2010, The production and restoration of Bronze Age polished pottery through experimental archaeology, Korea Cultural Heritage Association, 8(2), 035-080.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6. Yang, P.S., 2014, A study on repair and restoration cases of ceramics, Ph.D. dissertation, Gongju National University, Gongju.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