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암모니아 입하 및 저장시설에서의 위험도 관리
Risk Management for Ammonia Unloading and Storage Tank Facility 원문보기

한국가스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gas, v.21 no.5, 2017년, pp.95 - 103  

정윤서 (인천대학교 안전공학과) ,  우인성 (인천대학교 안전공학과) ,  임종우 (인천대학교 안전공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제조산업 현장에서는 수많은 유해위험물질이 사용, 처리 및 생산되고 있으며, 암모니아를 취급하는 시설에서 많은 누출, 화재 폭발사고가 보고되고 있다. 유해위험시설에서의 위험관리 및 사고예방을 위하여 공정안전관리(PSM), 가스안전관리(SMS), 장외영향평가(ORA) 제도 등 다양한 안전환경관리 프로그램이 국내 산업현장에 적용되고 있고 학계에서도 위험성평가 관련 연구가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암모니아 입하 및 저장 시설을 대상으로 정량적 위험성평가가 수행되었는데 사고 시나리오에 대한 피해영향범위 산정에는 장외영향평가용 KORA 프로그램, 사고 빈도 분석에는 LOPA PFD 활용 방식을 적용하였다. 평가 결과 추정된 위험도를 완화하고 지속적인 위험을 관리하는 방안으로 누출 감지 및 비상 차단, 물 분무 및 증기 희석 설비, 방류벽 및 트렌치, 누출 비산 방호 등 공정 안전설계 하드웨어 개선부분과 위험관리기준 효과적 적용, LOPA 보완적용, 보조 피해영향범위 산정 프로그램 활용, 위험도기반 공정안전관리제도 적용, 공정위험성 재평가 및 이행성 관리 등 프로그램 및 제도 운용 측면에서의 방안이 제시되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A lot of hazardous materials have been used for product processing and utility plant. Many accidents including toxic release, fire and explosions occur in the ammonia related facility and plant. Various safety and environment management program including PSM, SMS, ORA etc. are being implemented for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위험관리기준 (Risk Criteria) 적용, 위험도 산정, 개선방안 수립 및 실행에 관한 연구를 암모니아를 취급하는 설비를 대상으로 수행하였지만, 다양한 유해위험물질을 취급/저장하는 유사 시설을 보유한 제조 사업장에서 유해위험물질 관련한 사고의 위험을 최소화하는데 도움이 되는 관점에서 검토 연구를 수행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암모니아는 어떤 물질인가? 암모니아는 산업안전보건법상 유해위험물질, 고압가스안전관리법상 가연성 가스, 독성 가스, 화학물질관리법상 사고대비물질, 유해화학물질로 규정된 법적 관리대상 물질이다. (이하 상기 물질을 유해위험물질로 통칭함) 암모니아는 냉각설비 계통에 냉매로 사용될 뿐 아니라 연소 설비의 배출가스 중 NOx 성분 제거를 위한 환원제 등 다양한 분야에서 많이 사용되고 있으나 인화성에 따른 화재 폭발의 위험과 인체 독성의 영향이 있기 때문에 취급 (이송, 입하, 출하) 및 저장에 주의하여야 한다.
인화 위험이 크다고 여겨지지 않았지만, 산업현장에서 암모니아 폭발 사고가 다수 발생하는 이유는? 한국산업표준에서 암모니아는 상온에서 기체 상태로 개방된 공간에서 누출될 경우 공기보다 가벼워 빠르게 확산되기 때문에 폭발 분위기 생성을 무시하고 있다. [6] 또한 폭발 범위가 15 ~ 28% 로 폭발하한이 상당히 높아 인화 위험이 크다고 여겨지지 않았으나, 산업 현장의 실제 조건은 누출된 가스 물질이 밀폐계에 존재하거나 대기 중이지만 주변 장애물 및 대기 영향에 따라 밀폐계와 유사한 조건이 되어 폭발사고가 다수 발생되고 있다. [1]
암모니아의 특징은 무엇인가? 암모니아는 산업안전보건법상 유해위험물질, 고압가스안전관리법상 가연성 가스, 독성 가스, 화학물질관리법상 사고대비물질, 유해화학물질로 규정된 법적 관리대상 물질이다. (이하 상기 물질을 유해위험물질로 통칭함) 암모니아는 냉각설비 계통에 냉매로 사용될 뿐 아니라 연소 설비의 배출가스 중 NOx 성분 제거를 위한 환원제 등 다양한 분야에서 많이 사용되고 있으나 인화성에 따른 화재 폭발의 위험과 인체 독성의 영향이 있기 때문에 취급 (이송, 입하, 출하) 및 저장에 주의하여야 한다. 제조 산업계의 이송 설비, 입출하 및 저장시설에서의 다양한 유해위험물질 누출, 화재 폭발에 대한 사고가 보고 되고 있고, 2012 년 구미 불산 누출사고의 여파로 국내에서 유해위험물질의 위험관리 관련한 법규가 한층 강화되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2)

  1. Park S W, Jung S H, "Recommended Evacuation Distance for Offsite Risk Assessment of Ammonia Release Scenario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Safety, 31(3), 156-161, (2016) 

  2. Pae M S, "Consequence Analysis and Safety Measures on Ammonia Release from Tank Container", Chungbuk National University Master Degree Thesis. 5-6, (2016) 

  3. NCIS CSC System 'Accident Information' (2017) (http://csc.me.go.kr) 

  4. Kim J H, Jung S H, "Off-site Consequence Modeling for Evacuation Distances against Accidental Hydrogen Fluoride(HF) Release Scenarios", Korean Chemical Engineering Research, 54(4), 582-585, (2016) 

  5. Lee D H, Park K S, Kim T O, Shin D M, Shin S Y, 'Offsite Risk Assessment on Flammable Hazard Site', Korean Journal of Hazardous Materials, 3(1), 52-58, (2015) 

  6. KS C IEC 60079-10-1 : Explosive atmospheres - Part 10-1 Classification of areas - Explosive gas atmospheres. (2012) 

  7. KOSHA Guide P-92-2012, Technical Guidelines for Release Source Modeling. (2012) 

  8. API RP 581 : Risk Based Inspection Base Resource Document. (2000) 

  9. CCPS of AIChE, "Guidelines for Developing Quantitative Safety Risk Criteria", Wiley, (2009) 

  10. CCPS of AIChE, "Layer of Protection Analysis - Simplified Process Risk Assessment", (2001) 

  11. CCPS of AIChE, "Guidelines for Enabling Conditions and Conditional Modifier in LOPA" , Wiley, (2014) 

  12. CCPS of AIChE, "Guidelines for Risk Based Process Safety", Wiley, (2007)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