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하천차수에 따른 피라미와 참갈겨니 개체군의 생태지표 특성 비교
Comparison on Ecological Index Characteristics between Zacco platypus and Zacco koreanus by Stream order in Korea 원문보기

생태와 환경 = Korean journal of ecology and environment, v.50 no.4, 2017년, pp.403 - 410  

이승현 (국립환경과학원 유역생태연구팀) ,  정현기 (국립환경과학원 유역생태연구팀) ,  신현선 (농촌진흥청 연구정책국 기후변화팀) ,  신유나 (국립환경과학원 유역생태연구팀) ,  이수웅 (국립환경과학원 유역생태연구팀) ,  이재관 (국립환경과학원 물환경연구부)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2008년부터 2016년까지 1차부터 7차까지 총 12,873지점을 대상으로 하천차수별 어류분포를 조사하였다. 하천차수에 따른 피라미와 참갈겨니 개체군의 분포 양상에서 차이를 보였으며, 상관관계 분석 결과 두 개체군간 잠재적인 경쟁관계 가능성을 확인하였다. 두 개체군과 다른 공서 어류의 생태특성은 하천차수의 구배에 따라 중간종, 민감종, 내성종, 육식종, 초식종, 잡식종 등 뚜렷한 구배가 나타나는 반면, 충식종의 경우 뚜렷한 구배가 나타나지 않았다. 어류의 생태특성에 따르면, 피라미의 경우 중간종이면서 잡식종, 참갈겨니의 경우 민감종이면서 충식종으로 구분이 되는데, 두 개체군은 내성도 길드의 중간종과 민감종, 섭식 특성 길드의 잡식종과 충식종에서 유사한 상관관계의 변화를 보였지만, 두 개체군은 생태특성에 따른 각 기능군과 서로 다른 상관성의 차이를 보였다. 어류평가지수는 하천차수의 증가에 따라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으며, 상관관계 분석 결과 두 개체군은 하천차수별 상관성의 차이를 보였지만, 1차에서 4차까지 유사한 상관관계의 변화를 보였으며, 5차부터 7차까지 차이를 보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We collected fishes at the 12,873 sites in stream order (1~7) from 2008 to 2016. In the results, two populations(Zacco platypus and Zacco koreanus) represented distributional differences in the stream order gradient, and correlation analysis showed that the two populations had a potential competitiv...

Keyword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국내 하천 수계에서 출현하는 피라미와 참갈겨니 개체군을 대상으로 하천차수에 따라 비교함으로써 향후 하천차수별 어류 생태특성에 따른 개체군 분포 양상연구에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수행되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어류를 이용한 하천생태계의 오염 정도 분석 방법은? , 2005). 어류를 이용한 하천생태계의 오염 정도는 이화학적 요인과의 상호관계뿐 아니라 생물학적 요인으로서 어류 개체군의 관계 분석 (Beyer, 1987; Bolger and Connoly, 1989)을 통해 평가되어 왔으며 특히 지표종으로서 피라미속(Genus Zacco) 어류를 통해 연구되어 왔다 (Anderson and Neumann, 1996; Hur et al., 2009; Hur and Seo, 2011; Ko et al.
국내에서 어류를 이용한 생물학적 평가를 사용한 사례는? ,2006). 국내의 경우, 2000년대부터 IBI 모델을 기반으로 국내 하천의 특성에 맞게 수정 및 보완된 어류평가지수(Fish Assessment Index)로 사용해 왔다. 지수에 이용되는 어류의 생태특성에 따라 내성도 길드(Tolerance guild)는 민감종(Sensitive species), 중간종(Intermediate species), 내성종(Tolerant species)으로 구분되며, 섭식 특성 길드(Trophic guild)는 육식종 (Canivores), 초식종 (Herbivores), 충식종(Insectivores), 잡식종 (Omnivores)으로 구분되는데 (OhioEPA, 1987), 이러한 생물학적 평가지수의 도입은 어류의 분포 양상 및 서식환경의 교란에 의한 결과를 정량화된 분석이 가능하게 함에 따라 어류의 분포 특성을 파악하는데 용이하게 이용되어 왔다(Karr, 1981; Yoder and Smith,1999).
어류의 역할은? 담수 생태계의 상위 포식자인 어류는 수체 내 생물학적 구조와 기능을 조절하는 중요한 생물군으로(An et al.,2001; An and Kim, 2005; Gal et al., 2012), 서식하는 어류의 분포 특성으로 인해 수질오염 및 서식처 교란 등 수환경 변화에 따라 수환경 평가지표로 널리 이용되어 왔다(Jones et al., 2005).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1)

  1. An, G.K. and J.H. Kim. 2005. A diagnosis of ecological health using physical habitat assessment and multimetric fish model in Daejeon Stream. Korean Society of Limnology 38(3): 361-371. 

  2. An, K.G., D.H. Yeom and S.K. Lee. 2001. Rapid Biomassessments of Kap stream using the index of biological integrity. Korean Society of Environmental Biology 19(4): 261-269. 

  3. Anderson, R.O. and R.M. Neumann. 1996. Length, Weight, and Associated Structural Indices. pp. 447-482. In: Fisheries Techniques(Murphy, B.R. and D.W. Willis, eds.). American Fisheries Society, Betheda, Maryland, USA. 

  4. Barbour, M.T., J. Gerritsen, B.D. Snyder and J.B. Stribling. 1999. Rapid Bioassessment Protocols for Use in Streams and Wadeable Rivers: Periphyton, Benthic Macroinvertebrates and Fish, 2nd Edition. EPA 841-B-99-002. U.S. Environmental Protection Agency. Office of Water. Washington D.C. 

  5. Beyer, J.E. 1987. On length-weight relationships computing the mean weight of the fish of a given length class. Fishbyte 5(1): 11-13. 

  6. Bolger, T. and P.L. Connoly. 1989. The selection indices for the measurement and analysis of fish condition. Journal of Fish Biology. 30: 171-182. 

  7. Byeon, H.K. 2013. The Fish Fauna Changes and Characteristics populations of Zacco koreanus in Cheonggye Stream after the Rehabilitation, Korea. Korean Society of Environment and Ecology 27(6): 695-703. 

  8. Chae, B.S. and H.N. Yoon. 2010. Habitat Segregation between NE and NS Type of Zacco koreanus (Cyprinidae). Korean Journal of Ichthyology 22(1): 49-55. 

  9. Choi, S.Y., J.H. Han, J.W. Choi and K.G. An. 2017. Trophic gradients of two minnow species with similar eco-type and their relations to water chemistry and multimetric biological integrity. Journal of Asia-Pacific Biodiversity 10(3): 371-378. 

  10. Gal, J.K., M.S. Kim, Y.J. Lee, J. Seo and K.H. Shin. 2012. Foodweb of Aquatic Ecosystem within the Tamjin River through the Determination of Carbon and Nitrogen Stable Isotope Ratios. Korean Society of Limnology 45: 242-251. 

  11. Gorman, O.T. and J.R. Karr. 1978. Habitat structure and stream fish communities. Ecology 59: 507-515. 

  12. Hong, Y.P. 1991. A study on distribution and population dynamics of pale chub (Zacco platypus) and dark chub (Zacco temminckii) in Han River watershed. PhD thesis. Daejeon. Korea: Chungnam National University. 

  13. Hur, J.W., S.Y. Park, S.U. Kang and J.K. Kim. 2009. Physical Habitat Assessment of Pale Chub (Zacco platypus) to Stream Orders in the Geum River Basin. Korean Society of Environmental Biology 27(4): 397-405. 

  14. Hur, J.W. and J.W. Seo. 2011. Investigation on physical Habitat Condition of Korean Chub (Zacco koreanus) in Typical Streams of the Han River. Environmental Impact Assessment 20(2): 206-214. 

  15. Jones, J.P.G., F.B. Andriahajania and N.J. Hockley. 2005. A multidisciplinary approach to assessing the sustainability of freshwater crayfish harvesting in Madagascar. Conservation Biology 19: 1863-1871. 

  16. Karr, J.R. 1981. Assessment of Biotic Integrity using Fish Communities. Fisheries 6: 21-27. 

  17. Karr, J.R. and D.R. Dudley. 1981. Ecological perspective on water quality goals. Environmental Management 5(1): 55-68. 

  18. Karr, J.R. and E.W. Chu. 1999. Restoring life in running waters: better biological monitoring Island Press. Covelo. California. USA. 206pp. 

  19. Kim, C.H., W.O. Lee, K.E. Hong, C.H. Lee and J.H. Kim. 2006. Ichthylofauna and Fish Community structure in Namdae Stream, Yangyang, Korea. Korean Journal of Ichthyology 18(2): 112-118. 

  20. Kim, I.S. 1997. Illustrated encyclopedia of fauna & flora of Korean Vol. 37 Freshwater Fishes. Ministry of Education, p. 518. 

  21. Kim, I.S. and J.Y. Park. 2002. Freshwater fishes of Korea. Kyohak Press Co., Seoul, p. 465. 

  22. Kim, I.S., M.K. Oh and K. Hosoya. 2005. A new Species of cyprinid fish, Zacco koreanus with redescription of Z. temminckii (Cyprinidae) from Korea. Korean Journal of Ichthyology 17(1): 1-7. 

  23. Kim, S.Y. and K.G. An. 2015. Nutrient regime, N : P ratios and suspended solids as key factors influencing fish tolerance, trophic compositions, and stream ecosystem health. Korean Journal of Ecology and Environment 38(4): 505-515. 

  24. Ko, D.G., J.H. Han and K.G. An. 2012. Length-Weight Relations and Condition Factor (K) of Zacco platypus Along Trophic Gradients in Reservoir Ecosystems. Korean Society of Limnology 45(2): 174-189. 

  25. Lee, S.H., H.G. Lee, S.J. Park, S.H. Lee and J.K. Choi. 2014. Distribution Characteristics of Fish Community to Stream Order in Namhan River Watershed. Korean Society of Limnology 47(1S): 100-115. 

  26. Lee, S.J. and K.G. An. 2016. Distributions of Endangered Fish Species and Their Relations to Chemical Water Quality-Ecological Stream Health in Geum-River Watershed. Korean Society of Environment and Ecology 30(6): 986-995. 

  27. Lee, S.J., H.S. Park and K.G. An. 2017. Preliminary Environmental Impact Assessments on Fish Compositions and the Ecological Health of Jeokbyeok River on the Road Construction of Muju-Geumsan Region. Environmental Impact Assessment 26(1): 27-43. 

  28. Matthews, W. 1986. Fish faunal "break" and stream order in the eastern and central United States. Environmental Biology of Fishes 17:81-92. 

  29. Ministry of Environment. 2011. Stream/River Ecosystem Survey and Health Assessment. National Institute of Environmental Research. pp. 333. 

  30. Moon, W.K., D.Y. Bae, J.W. Seo and K.G. An. 2012. Fish distribution and compositions along with altitude and longitudinal distance from the river mouth in the Tamjin River Basin, Korea. Journal of Korean Society on Water Environment 28(4): 512-522. 

  31. Moon, W.K., J.H. Han and K.G. An. 2010. Fish fauna and community analysis in Heuck Stream Watershed. Korean Society of Limnology 43(1): 69-81. 

  32. Nelson, J.S. 2006. Fishes of The World. 4th ed. New Jersey: John Wiley and Sons Inc. pp. 397-398. 

  33. Ohio, E.P.A. 1987. Biological criteria for the protection of aquatic life: VolumeI, II, III. Ohio EPA Division of Water Quality Monitoring and Assessment, Surface Water Section. Columbus. 

  34. Platts, W.S. 1979. Relationships among stream order, fish populations, and aquatic geomorphology in an Idaho River drainage. Fisheries 4(2): 5-9. 

  35. Steedman, R.J. 1998. Modification and assessment of an index of biotic integrity to quantify stream quality in southern Ontario. Canadian Journal of Fisheries and Aquatic Science 45: 492-501. 

  36. Stevens, C., G. Scrimgeour, W. Tonn, C. Paszkowski, M. Sullivan and S. Millar. 2006. Developing and testing of a fished-based index of biological integrity to quantify the health of grassland streams in Alberta. Technical report produced by Alberta Conservation Association, Edmonton Alberta, Canada. 50pp. 

  37. Strahler, A.N. 1957. Quantitative analysis of watershed geomorphology. Transactions of the American Geophysical Union 38(6): 913-920. 

  38. US EPA. 1991. Technical support document for water quality-based toxic control. EPA 505-2-90-001. US EPA, Office of Water. Washington D.C. USA. 

  39. Vieira, T.B. and F.L. Tejerina-Garro. 2014. Assessment of fish assemblages in streams of different orders in the Upper Parana River basin, Central Brazil. Iheringia Serie Zoologia 104(2): 175-183. 

  40. Winemiller, K.O., A.A. Agostinho and E.P. Caramaschi. 2008. Fish Ecology in tropical streams. pp. 107-146. In: Tropical stream ecology (Dudgeon, D., ed.). Amsterdam, Elsevier. 

  41. Yoder, C.O. and M.A. Smith. 1999. Using fish assemblages in a state biological assessment and criteria program: essential concepts and considerations. Assessing the Sustainability and Biological Integrity of Water Resources Using Fish Communities. p. 17-56. 

저자의 다른 논문 :

활용도 분석정보

상세보기
다운로드
내보내기

활용도 Top5 논문

해당 논문의 주제분야에서 활용도가 높은 상위 5개 콘텐츠를 보여줍니다.
더보기 버튼을 클릭하시면 더 많은 관련자료를 살펴볼 수 있습니다.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