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낙동강 상류 수계인 내성천의 부착돌말 군집과 부착돌말지수를 이용한 생물학적 수질평가
The Epilithic Diatom Community and Biological Water Quality Assessment of Naeseongcheon Located at the Upper Region of Nakdong River 원문보기

생태와 환경 = Korean journal of ecology and environment, v.50 no.4, 2017년, pp.470 - 477  

최재신 (경북대학교 생물학과) ,  이재학 (경북대학교 생물학과) ,  김한순 (경북대학교 생물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낙동강 상류에 위치한 내성천과 지류들을 대상으로 총 15개의 지점에서 2016년 5월, 8월 및 10월의 총 3회에 걸쳐 이화학적 환경요인들과 부착돌말 군집의 특성을 분석하고, 생물학적 방법인 DAIpo와 TDI를 이용하여 수질을 평가하였다. 내성천 수계에서 출현한 부착돌말류는 2목 3아목 9과 35속 145종 16변종 2품종으로 구성된 총 163종이 출현하였다. Cocconeis placentula var. lineata는 모든 지점에서 출현하였으며, Achnanthes lanceolata, Nitzschia fonticola, Nitzschia inconspicua와 Reimeria sinuate는 내성천의 보편적인 분류군들로 조사되었다. Nitzschia inconspicua와 Achnanthes minutissima가 주요 우점종으로 출현하였다. CCA 분석 결과, 부착돌말 종조성은 전기전도도와 총질소에 가장 많이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DAIpo를 이용한 생물학적 수질평가 결과, 내성천의 DAIpo는 평균 62.38로 B등급이나, TDI로 평가한 결과, 내성천의 TDI는 평균 66.12로 C등급으로 나타났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aims of this study were to analyze the physico-chemical factors and the characteristics of epilithic diatom community from 15 sites of the Naeseongcheon and tributaries located in the upper region of the Nakdong river from May to October 2016. The biological water quality was assessed using DAIp...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에서는 낙동강의 상류 수역인 내성천과 그 지류들의 이화학적 환경요인을 조사하고, 부착돌말류의 종 분포 및 군집 특성을 분석하였다. 또한 이들을 이용한 생물학적 수질평가 방법인 DAIpo와 TDI로 내성천의 수질을 생물학적으로 평가하여 낙동강 수계의 주요 서식지 내 부착돌말류 다양성 조사를 통한 담수환경 정보 축적 및 담수 서식지 보전과 관리전략 수립을 위한 기초자료로 제공하고자 한다.
  • 본 연구에서는 낙동강의 상류 수역인 내성천과 그 지류들의 이화학적 환경요인을 조사하고, 부착돌말류의 종 분포 및 군집 특성을 분석하였다. 또한 이들을 이용한 생물학적 수질평가 방법인 DAIpo와 TDI로 내성천의 수질을 생물학적으로 평가하여 낙동강 수계의 주요 서식지 내 부착돌말류 다양성 조사를 통한 담수환경 정보 축적 및 담수 서식지 보전과 관리전략 수립을 위한 기초자료로 제공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영양염 이외에 수서생물의 생육에 중요한 요인이 되는 것은 무엇인가? 인간 활동에 의해 자연계에 방출되는 유해오염물질의 대부분은 최종적으로 수생태계로 유입되며, 영양염류를 포함한 이들 오염물질은 특정 수서생물의 먹이사슬을 통해 수생태계 전반에 걸쳐 영향을 미치게 된다. 영양염뿐만 아니라 서식처의 물리적 특성 또한 수서생물의 생육에 중요한 요인이 된다. 따라서 어떤 지역의 생물상의 특성은 그수계 전반의 환경을 대표하기 때문에 선진국뿐 아니라 최근 우리나라에서도 생물학적인 평가기법을 이용하여 수생 태계의 환경을 평가하고 있다 (Kim et al.
우리나라에서 DAIpo를 이용하여 수질을 평가한 이유는 무엇인가? , 2005)를 주로 이용하였다. 이는 DAIpo가 우리나라의 수환경과 분류학적 유사성이 높고, 생태군별 종의 동정이 세분되어 있어서 종 분류에 더 신뢰도가 높고 수질 등급을 구분하는 데 유리하기 때문이다(KME, 2007). 그러나 우리나라의 수생태계는 넓은 영양염 구배를 가질 뿐 아니라 돌말의 성장과 수질 악화에 영양염이 주원인이므로, 영양염을 기준으로 하는 TDI (Kelly and Whitton, 1995)도 최근에는 같이 이용하여 평가하고 있다 (Hwang et al.
수질 오염의 지표생물로 이용된 부착돌말의 특성은 무엇인가? 지표생물을 이용한 수질평가는 일차생산자인 조류로부터 저서 대형무척추동물 및 어류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생물을 이용해 왔다. 특히 부착돌말은 다양한 수계에서 생육하며, 환경 변화에 대한 반응이 빠르고, 다양한 환경요인들에 대해 생태적으로 민감한 많은 종들이 존재할 뿐 아니라, 기질에 부착하여 성장하므로 장기간의 수환경 변화를 반영할 수 있는 특성을 가지기 때문에 이들을 수질 오염의 지표생물로 이용하여 왔다 (Watanabe et al., 1986, 1990;Van dam et al.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1)

  1. Alles, E., M. Norpel-Schempp and H. Lange-Bertalot. 1991. Zur Systematik und Okologie charakteristischer Eunotia-Arten (Bacillariophyceae) in elektroly-armen Bachoberlaufen. Nova Hedwigia 53: 171-213. 

  2. Cho, K.J. 2012. Freshwater diatoms V: Achnanthes et al. Algal Flora of Korea Vol. 3. No. 7. National Institute of Biological Resources, Ministry of Environment. 132pp. 

  3. Choi, J.S., H.S. Chae and H.S. Kim. 2015. Analysis of the Epilithic Diatom Community and Comparison of Water Quality in the Kumho River. Korean Journal of Ecology and Environment 48(2): 115-121. 

  4. Hendey, N.I. 1974. The permanganate method for cleaning freshly gathered diatoms. Microscopy 32: 423-426. 

  5. Hwang, S.J., N.Y. Kim, D.H. Won, K.K. An, J.K. Lee and C.S. Kim. 2006. Biological assessment of water quality by using epilithic diatoms in major river systems (Geum, Youngsan, Seomjin River). Korean Journal of Korean Society on Water Quality 22(5): 784-795. 

  6. Kelly, M.G. and B.A. Whitton. 1995. The trophic Diatom Index: a new index for monitoring eutrophication in rivers. Journal of Applied Phycology 7: 433-444. 

  7. Kim, H.N., H.K. Park, S.J. Park and O.M. Lee. 2012a. Biological water quality assessment of Joyang-river located at the upper region of North Han-river using DAIpo and TDI. Journal of Ecology and Environment 45(3): 289-301. 

  8. Kim, J.W., Y. Ree and O.M. Lee. 2012b. The epilithic diatom community and water quality assessment in Pyengchang river and inflow streams of Gangwon-do. Journal of Korean Society on Water Environment 28(4): 531-537. 

  9. Kim, Y.J. 2001. An Assessment of Organic Pollution using Attached Diatom Assemblages in the Shinchon Stream. Korean Journal of Limnology 34: 199-205. 

  10. Kim, Y.J. and O.M. Lee. 2010. Assessment of water quality in Namdae-stream, Yeongok-stream and Sacheon-stream using trophic status and epilithic diatom indices. Journal of Ecology and Environment 43(1): 117-128. 

  11. Kim, Y.J., K.A. Sin and O.M. Lee. 2009. Water quality asseaaed by DAIpo and TDI of Bokha stream and Dal stream in South-han river.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al Biology 27(4): 414-424. 

  12. Kim, Y.S., J.S. Choi, J.H. Kim, S.C. Kim, J.W. Park and H.S. Kim. 2008. The effects of effluent from a closed mine and treated sewage on epilithic diatom communities in a Korean stream. Nova Hedwigia 86: 507-524. 

  13. Korea Ministry of Environment 2007. Ecowater health research and assessment guidelines. 163pp. 

  14. Korea Ministry of Environment (KME) 2014. The Korean standard method of environmental pollutions for water quality. 1375pp. 

  15. Krammer, K. and H. Lange-Bertalot, 1986. Bacillariophyceae. Teil 1. Naviculaceae. Susswasserflora von Mitteleuropa. Band 2/1. Gustav Fisher Verlag, Jena. 876pp. 

  16. Krammer, K. and H. Lange-Bertalot, 1988. Bacillariophyceae. Teil 2. Bacillariaceae, Epithemiaceae, Surirellaceae. Susswasserflora von Mitteleuropa. Band 2/2. Gustav Fisher Verlag, Jena. 596pp. 

  17. Krammer, K. and H. Lange-Bertalot, 1991. Bacillariophyceae 4. Teil: Achnanthaceae, Kritische Erganzungen zu Navicula (Lineolatae) und Gomphonema Gesamtliteraturverzeichnis Teil 1-4. In: Ettl H. et al., Suesswasserflora von Mitteleuropa. VEB Gustav Fisher Verlag, Jena. 2: 1-437 pp. 88 pls., 2048 figs. 

  18. Lee, J.H. 1998. Epilithic diatoms in the Naktong river and its value of the diatom assemblage index of organic water pollution (DAIpo). Korean Journal of Limnology 31(1): 38-44. 

  19. Lowe, R.L. and Y. Pan. 1996. Benthic algal communities as biological indicators. In: Algal Ecology: Freshwater Benthic Ecosystems (Eds.: R.J. Stevenson, M.L. Bothwell and R.L. Lowe). AcademicPress, San Diego. pp. 705-739. 

  20. Park, J.W., J.S. Choi and M.G. Kim. 2004. Variation of epilithic diatom community and an assessment of water quality by DAIpo in the middle reaches of the Nakdong river. Korean Journal of Ecology and Environment 37(1): 70-77. 

  21. Patrick, R. and C.W. Reimer. 1966. The Diatoms of the United States exclusive of Alaska and Hawaii. Vol. 1. Monographs of Academy of Natural Sciences of Philadelphia. 13(1): 1-688 pp. 

  22. Park, S.Y., J.S. Choi, J.H. Kim and H.S. Kim. 2017. Morphology and physico-ecology of two rare freshwater epilithic diatoms: Hydrosera whampoensis and Pleurosira laevis. Nova Hedwigia 105 Heft(1-2): 152-166. 

  23. Park, Y.J., J.S. Choi and H.S. Kim. 2014. Water quality assessment of the Sinchun stream based on epilithic diatom communities. Journal of Environmental Biology 35(6): 1053-1059. 

  24. Peszek, L., T. Noga, J. Stanek-Tarkowska, A. Pajaczek, N. Kochman-Kedziora and M. Pieniazek. 2015. The effect of anthropogenic change in the structure of diatoms and water quality of the Zolynianka and Jagielnia streams. Journal of Ecological Engineering 16(2): 33-51. 

  25. Prygiel, J. and M. Coste. 1993. The assessment of water quality in the Artois - Picardie water basin (France) by the use of diatom indices. Hydrobiology 269/270: 343-349. 

  26. Simonsen, R. 1979. The Diatom system; Ideas on phyloheny. Bacillaria 2: 9-71. 

  27. Stevenson, R.J. and Y. Pan. 1999. Assessing ecological conditions in riversand streams with diatoms. p. 11-40. In: The Diatoms: Applications to the Environmental and Earth Sciences (Stoermer, E.F. and J.P. Smol eds.). Cambridge University Press, Cambridge, UK. 

  28. Van Dam, H., A. Mertens and J. Sinkeldam. 1994. A coded checklist and ecological indicator values of freshwater diatoms from The Netherlands. Netherlands Journal of Aquatic Ecology 28: 117-133. 

  29. Watanabe, T., K. Asai and A. Houki. 1990. Numerical simulation of organic pollution in flowing water. Hazardous waste Containment and Treatment 4: 251-281. 

  30. Watanabe, T., K. Asai, A. Houki, S. Tanaka and T. Hizuka. 1986. Saprophilous and eurysaprobic diatom taxa to organic water pollution and diatom assemblage index (DAIpo). Diatom 2: 23-73. 

  31. Watanabe, T., T. Ohtsuka, A. Tuji and A. Houki. 2005. Picture book and ecology of the freshwater diatoms. Uchida rokakuho, Tokyo. 666pp.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