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부착돌말영양지수(TDI)를 활용한 습지환경 평가
Wetland Habitat Assessement Utilizing TDI(Trophic Diatom Index) 원문보기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 and ecology, v.33 no.5, 2019년, pp.525 - 538  

김성기 (국립생태원 생태평가연구실) ,  최종윤 (국립생태원 생태평가연구실)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낙동강에 위치한 신규조성 습지의 현황 파악 및 관리 방안 마련을 위한 기초연구의 일환으로 부착규조류의 서식현황과 종다양성을 분석하고 부착돌말영양지수(TDI, Trophic Diatom Index)의 적용가능성을 평가하였다. 조사 기간 동안, 부착규조류는 총 38과 173종이 출현하였으며, 봄과 가을에 각각 156종, 154종으로 비슷한 종수를 나타냈다. 자기조직화지도(SOM)를 활용한 분석 결과, 부착규조류의 분포는 각 습지의 영양염류의 농도와 강우 등의 환경요인에 따라 영향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클러스터 1의 경우, 대부분 가을시기이며, 총인과 총질소 등의 영양염류의 농도와 부착규조류의 종수 및 풍부도가 낮음에도 불구하고, 부착돌말영양지수가 높은 지점들로 구성되었다. 이와 반대로, 클러스터 4는 봄시기의 지점들이며, 총질소가 높음에도 불구하고 부착돌말영양지수가 낮은 특징을 보였다. 신규조성 습지 대부분이 유입 유출구 기능이 원활하지 않은 점을 감안하면, 여름철에 증가된 유량은 가을철에 영양염류 값을 감소시키며, 탁도 증가로 인해 빛의 유입이 원활하지 않아 부착규조류의 종수와 풍부도가 낮아진다. 이와 반대로, 봄철에는 낮은 수위로 인해 부착규조류가 부착할 수 있는 기질표면이 부족하며, 호오탁성 종이 정착 및 발달하기에 이른 시기이기 때문에 부착돌말영양지수 값이 낮게 측정된다. 다양한 기존 연구에서, 부착돌말영양지수를 서식환경 및 수질 평가지표로 활용하고 있으나, 본 습지는 흐름이 적고 정체수역에 가깝기 때문에 대부분 영양염류 농도가 높아 부착돌말영양지수의 평가지표 가치성은 낮은 것으로 판단된다. 여름강우나 유입 유출 조절부의 기능이 부착규조류의 종다양성과 분포에 영향을 미치는 점을 종합적으로 감안한 지속적이고 주기적인 추가 조사가 필요하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habitat status and species diversity of benthic diatoms and estimate the applicability of TDI (Trophic Diatom Index) to obtain the basic data for the identification and management of created wetlands in the Nakdong River. We observed a total of 38 familie...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에서는 습지의 현황 파악 및 관리 방안 마련을 위한 기초자료 확보로서, 낙동강의 신규조성 습지에서 부착규조류의 군집 현황을 파악하고, TDI의 적용을 통해 습지의 환경 특성을 평가하였다. 낙동강 둔치에 위치한 신규조성 습지는 조성 이후 지속적인 토사 퇴적이나 습지 내 또는 주변에 미약한 식생 정착으로 나대지 발생 및 이로 인한 침식 발생 등으로 점차 변화하고 있는 실정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낙동강이란? 낙동강은 한반도의 남동부에 위치하고 있으며, 태백에서 부산까지 유로 구간으로 약 526km의 길이를 가진다. 국내에서 가장 큰 유역면적을 가진 강이지만(유역면적, 23,817km²), 본류와 지류에 설치한 다목적댐(안동, 임하, 합천, 남강, 영천, 밀양, 운문댐 등)과 하구둑으로 물의 흐름이 인위적으로 조절되는 특성을 가진다(Ha et al., 1998).
습지의 이탄층이 주는 효과는? 어류와 같은 포식자는 수생식물이 복잡하게 구성된 지역 내에서는 포식활동이 제한되기 때문에, 미소갑각류 등의 피식자의 생존과 개체군 증식에기여할 수 있다. 또한 습지의 이탄층은 토양 사이의 간격이 넓어 많은 물을 머금을 수 있어 홍수 등의 방지에 도움을 주며,습지식물은 마을오폐수나 오염물질 정화에 큰 효과를 가진다. 이러한 습지의 중요성으로 인해, 현재 160개국이 국제습지협약(Ramsar Convention on Wetlands)에 가입하여, 전 세계적으로 산포된 2018개의 습지를 보호·관리하고 있다.
TDI를 서식환경 및 수질 평가지표로 활용할 때, 습지에서 적용가능성이 매우 낮은 이유는? , 2005; Shen et al., 2008), 습지는 흐름이 적고 정체수역에 가깝기 때문에 대부분 영양염류 농도가 높다. 그래서 흐름이 지속적으로 유지되어 호청수성 종(Saproxenous taxa)이 출현하는 서식환경이 아니라면, 대부분 높은 TDI 값과 낮은 등급이 산출될 수밖에 없다(Della Bella et al., 2007).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8)

  1. Al-Kenzawi, M.A.(2009) Seasonal Changes of nutrient concentrations in water of some locations in Southern Iraqi marshes, after restoration. Baghdad Science Journal 6(4): 711-718. 

  2. Atazadeh, I., M. Sharifi and M.G. Kelly(2007) Evaluation of the trophic diatom Index for assessing water quality in River Gharasou, western Iran. Hydrobiologia 589(1): 165-173. 

  3. Bellinger, B.J., C. Cocquyt and C.M. O'Reilly(2006) Benthic diatoms as indicators of eutrophication in tropical streams. Hydrobiologia 573: 75-87. 

  4. Bere, T. and J.G. Tundisi(2010) Epipsammic diatoms in streams influenced by urban pollution, Sao Carlos, SP, Brazil. Brazilian Journal of Biology 70(4): 920-930. 

  5. Brown, S.D. and A.P. Austin(1973) Diatom succession and interaction in littoral periphyton and plankton. Hydrobiologia 43(3-4): 333-356. 

  6. Byun, J.H., J.H. Joo, B.H. Kim and M.S. Han(2015) Application possibility of naphthoquinone derivative nq 4-6 for mitigation of winter diatom bloom. Ecology and Resilient infrastructure 2(3): 224-236.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7. Choi, J.S., H.S. Chae and H.S. Kim(2015) Analysis of the epilithic diatom community and comparison of water quality in the Kumho River. Korean Journal of Ecology and Environment 48(2): 115-121.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8. Choi, J.S., J.H. Lee and H.S. Kim(2017) The epilithic diatom community and biological water quality assessment of Naeseongcheon located at the upper region of Nakdong River. Korean Journal of Ecology and Environment 50(4): 470-477.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9. Choi, J.Y., K.S. Jeong, E.K. Lee, K.R. Choi and G.J. Joo(2014) Utilization of fish gut analysis to elucidation of microcrustacean species composition (cladoceran and copepoda) in a shallow and vegetated lake (Jangcheok Lake, South Korea). Journal of Ecology and Environment 37(3): 147-153. 

  10. Choi, J.Y., K.S. Jeong, H.W. Kim, K.H. Chang and G.J. Joo(2011) Inter-annual variability of a zooplankton community: the importance of summer concentrated rainfall in a regulated river ecosystem. Journal of Ecology and Environment 34(1): 49-58. 

  11. Choi, J.Y., S.K. Kim, D.H. Kim and G.J. Joo(2016) Role of aquatic macrophytes as refuge of zooplankton on physical distribution (Summer Rainfall) in shallow wetlands. Korean Journal of Ecology and Environment 49(4): 308-319.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2. Delgado, C., I. Pardo, and I. Garcia(2010) A multimetric diatom index to assess the ecological status of coastal Galician rivers (NW Spain). Hydrobiologia 644(1): 371-384. 

  13. Della Bella, V., C. Puccinelli, S. Marcheggiani and L. Mancini(2007) Benthic diatom communities and their relationship to water chemistry in wetlands of central Italy. In Annales de Limnologie-International Journal of Limnology 43(2): 89-99. 

  14. Greenaway, A.M. and D.A. Gordon-Smith(2006) The effects of rainfall on the distribution of inorganic nitrogen and phosphorus in Discovery Bay, Jamaica. Limnology and Oceanography 51(5): 2206-2220. 

  15. Ha, K., E.A. Cho, H.W. Kim and G.J. Joo(1999) Microcystis bloom formation in the lower Nakdong River, South Korea: importance of hydrodynamics and nutrient loading. Marine and Freshwater Research 50: 89-94. 

  16. Ha, K., H.W. Kim and G.J. Joo(1998) The phytoplankton succession in the lower part of hypertrophic Nakdong River (Mulgum), South Korea. In Phytoplankton and Trophic Gradients (pp. 217-227). Springer, Dordrecht. 

  17. Im, R.Y., J.Y. Kim, J.Y. Choi, Y. Do and G.J. Joo(2015) Changes of river morphology in the mid-lower part of Nakdong River basin after the 4 large river project, South Korea. Korean Journal of Ecology and Environment 48(3): 188-194.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8. Jeong, K.S., D.K. Kim and G.J. Joo(2007) Delayed influence of dam storage and discharge on the determination of seasonal proliferations of Microcystis aeruginosa and Stephanodiscus hantzschii in a regulated river system of the lower Nakdong River (South Korea). Water Research 41(6): 1269-1279. 

  19. Jones, J.I., J.O. Young, G.M. Haynes, B. Moss, J.W. Eaton and K.J. Hardwick(1999) Do submerged aquatic plants influence their periphyton to enhance the growth and reproduction of invertebrate mutualists? Oecologia 120: 463-474. 

  20. Kelly, M.G. and B.A. Whitton(1995) The trophic Diatom Index: a new index for monitoring eutrophication in rivers. Journal of Applied Phycology 7: 433-444. 

  21. Kelly, M.G.(1998) Use of the trophic diatom index to monitor eutrophication in rivers. Water research 32(1): 236-242. 

  22. Kim, J.W., B.E. Lee, J.G. Kim, S.H. Oh, J.W. Jung, M.J. Lee and H.S. Kim(2017) Functional assessment of Gangcheon replacement wetland using modified HGM. Journal of Wetlands Research 19(3): 318-326.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23. Kim, Y.J.(2001) An assessment of organic pollution using attached diatom assemblages in the Shinchon stream. Korean Journal of limnology 34(3): 199-205.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24. Kim, Y.S., J.S. Choi, J.H. Kim, S.C. Kim, J.W. Park and H.S. Kim(2008) The effects of effluent from a closed mine and treated sewage on epilithic diatom communities in a Korean stream. Nova Hedwigia 86: 507-524. 

  25. Kohonen, T., J. Hynninen, J. Kangas and J. Laaksonen(1996) Sompak: The self-organizing map program package. Report A31, Helsinki University of Technology, Laboratory of Computer and Information Science. 

  26. Lee, J.H.(1998) Epilithic diatoms in the Naktong River and its value of the diatom assemblage index of organic water pollution (DAIpo). Korean Journal of Limnology 31(1): 38-44.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27. McCormick, P.V. and R.J. Stevenson(1998) Periphyton as a tool for ecological assessment and management in the Florida everglades. Journal of Phycology 34: 726-733. 

  28. Munafo, M., G. Cecchi, F. Baiocco and L. Mancini(2005) River pollution from non-point sources: a new simplified method of assessment. Journal of Environmental Management 77(2): 93-98. 

  29. Munn, M.D., R.W. Black and S.J. Gruber(2002) Response of benthic algae to environmental gradients in an agriculturally dominated landscape. Journal of the North American Benthological Society 21(2): 221-237. 

  30. Muzzaffar, S.B. and F.A. Ahmed(2007) The effects of the flood cycle on the diversity and composition of the phytoplankton community of seasonally flooded Ramsar wetland in Bangladesh. Wetlands Ecology and Management 15: 81-93. 

  31. NIER(2006) Development research of water environment evaluation method(III). 

  32. NIER(2010) Final report of survey and evaluation of aquatic ecosystem health in Korea. The ministry of Environment/National Institute on Environmental Research, Korea. 

  33. NIER(2011) Final report of survey and evaluation of aquatic ecosystem health in Korea. The ministry of Environment/National Institute on Environmental Research, Korea. 

  34. Park, J.W., J.S. Choi and M.G. Kim(2004) Variation of epilithic diatom community and an assessment of water quality by DAIpo in the middle reaches of the Nakdong River. Korean Journal of Ecology and Environment 37(1): 70-77.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35. Park, S.B., S.K. Lee, K.H. Chang, K.S. Jeong and G.J. Joo(2002) The impact of monsoon rainfall (Changma) on the changes of water quality in the lower Nakdong River (Mulgeum). Korean Journal of Ecology and Environment 35(3): 160-171.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36. Park, Y.J., J.S. Choi and H.S. Kim(2014) Water quality assessment of the Sinchun stream based on epilithic diatom communities. Journal of Environmental Biology 35(6): 1053-1059. 

  37. Peszek, L., T. Noga, J. Stanek-Tarkowska, A. Pajaczek, N. Kochman-Kedziora and M. Pieniazek(2015) The effect of anthropogenic change in the structure of diatoms and water quality of the Zolynianka and Jagielnia streams. Journal of Ecological Engineering 16(2): 33-51. 

  38. Reynolds, C.S.(1993) Scales of disturbance and their role in plankton ecology. Hydrobiologia 249: 157-171. 

  39. Saunders, J.F. and W.M. Lewis(1988) Zooplankton abundance and transport in a tropical white-water river. Hydrobiologia 162(2): 147-155. 

  40. Shen, Z., Q. Hong, H. Yu and R. Liu(2008) Parameter uncertainty analysis of the non-point source pollution in the Daning River watershed of the Three Gorges Reservoir Region, China. Science of the total Environment 405(1-3): 195-205. 

  41. Sommer, U.(1995) An experimental test of the intermediate disturbance hypothesis using cultures of marine phytoplankton. Limnology and Oceanography 40: 1271-1277. 

  42. Stevenson, R.J., C.G. Peterson, D.B. Kirschtel, C.C. King and N.C. Tuchman(1991) Density-dependent growth, ecological strategies, and effects of nutrients and shading on benthic diatom succession in streams 1. Journal of Phycology 27(1): 59-69. 

  43. Sutton-Grier, A.E. and J.P. Megonigal(2011) Plant species traits regulate methane production in freshwater wetland soils. Soil Biology & Biochemistry 43: 413-420. 

  44. Van Donk, E. and W.J. van de Bund(2002) Impact of submerged macrophytes including charophytes on phyto- and zooplankton communities: allelopathy versus other mechanisms. Aquatic Botany 72: 261-274. 

  45. Watanabe, T.(1986) Saprophilous and eurysaprobic diatom taxa to organic water pollution and diatom assemblage index (DAIpo). Diatom 2: 23-73. 

  46. Watanabe, T., K. Asai and A. Houki(1990) Numerical simulation of organic pollution in flowing waters. Encyclopedia Environmental Control Technology 4: 251-281. 

  47. Wu, J.T.(1999) A generic index of diatom assemblages as bioindicator of pollution in the Keelung River of Taiwan. Hydrobiologia, 397: 79-87. 

  48. Zhu, G.B., S.Y. Wang, X.J. Feng, G.N. Fan, M.S.M. Jetten and C.Q. Yin(2011) Anammox bacterial abundance, biodiversity and activity in a constructed wetland. Environmental Science & Technology 45: 9951-9958.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