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산지유역 기반의 토석류 취약성 분석을 통한 재해방지 계획수립 연구
Disaster Prevention Planning through Analysis of Debris Flow Vulnerability Based on Mountain Basin Features 원문보기

지질공학 = The journal of engineering geology, v.27 no.4, 2017년, pp.393 - 403  

김만일 (산림조합중앙회 산림공학연구소) ,  이문세 (산림조합중앙회 산림공학연구소) ,  홍관표 (산림조합중앙회 산림공학연구소)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최근 10년간(2005~2014) 산지재해 발생현황을 분석해 보면 산지재해 발생 총면적은 4,393 ha, 연평균 인명피해는 7명, 연평균 산지재해 복구비는 798억원으로 사회 경제적 피해가 발생하였다. 산지재해는 1차적으로 산지사면에서 산사태가 발생되어 2차적으로 계류를 따라 토석류로 이동 및 확산되면서 산지 하부지역의 시설지와 주거지에 피해를 발생시킨다. 이러한 산지재해의 발생원인은 자연적인 요인으로 태풍, 국지성 강우 등이 있으며, 인위적인 요인으로 산지 개발로 인한 산지지반의 훼손 등이 있다. 본 연구에서는 연구지역을 3개 유역으로 구획하고, 산지유역의 지형, 지질, 산림 특성을 고려하여 FLO-2D 분석 결과를 반영한 토석류 취약성 평가 방안을 제시하였다. 또한 잠재적 산지재해에 대한 조사, 분석, 평가 방안에 따라 산지사면 및 계류에 대한 취약성 분석을 통해 잠재적 산지재해의 발생 위험유역을 평가하였다. 이를 통해 산림유역 기반의 종합적인 재해방지시설 계획의 수립 방안을 제시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Mountain disasters in Korea have caused massive social and economic damage. During the period 2005-2014 there has been an annual average of 7 deaths and disaster recovery costs of 79.8 billion won in the country's 4393 ha of mountainous areas. The primary mountain disasters are landslides on mountai...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는 향후 산지유역 단위를 중심으로 재해방지시설 계획을 수립하는데 있어 현실적 여건을 충분히 반영하지 못하는 계획을 수립할 수 있는 단점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 제시하는 산지재해 저감을 목적으로 재해방지시설 계획수립의 방안은 적극 활용하되 판정표에서 제시하는 위험등급간의 차이를 줄이기 위한 연구를 수행할 계획이다.
  • 본 연구는 산지 내 대규모 시설지 조성으로 인한 잠재적 산지재해에 대한 조사, 분석, 평가 방안을 제시함으로써 산지 및 계류에 대한 취약성 분석을 통하여 취약지역 중심의 잠재적 산지재해 발생 위험유역을 평가하고 그에 따른 종합적인 재해방지대책을 마련하여 안전한 산지전용 계획수립에 활용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 본 연구에서는 산지를 중심으로 발생하는 산사태와 토석류 등 산지재해에 관한 취약성 평가의 방안 수립과 더불어 재해에 강한 산지관리의 일환으로 재해방지시설 계획수립의 절차를 제시하였다. 현재 “산지관리법”에서는 산지전용 내지 일시사용 인·허가를 위해서는 활용하고자 하는 산지 면적에 대해서만 개략적인 타당성조사가 수행되고 있으나, 산지 하부지역에 대한 산지재해 취약성 평가는 이루어지지 않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 산지·계류 위험성 분석은 산사태 위험지도, 토석류 예측지도, 지질도, 수치지형도 등 기존 자료를 토대로 유역범위설정 및 대상 유역 하부의 시설지 및 주거지 등의 공간적 위치를 파악하기 위하여 실시한다.
  • 산지·계류 취약성 평가 및 취약지 안정성 분석은 잠재적인 산지재해 위험지에 대한 정밀조사를 통해 산지사면의 안정성과 주계류를 기준으로 토석류의 발생 가능성 등을 분석하여 유역 하류부의 주거지와 시설지에서 발생될 수 있는 토석류의 피해확산 범위를 산정하기 위하여 수행한다.
  • 이상의 조사, 분석, 평가 결과를 토대로 각 유역별 토석류 피해확산 범위와 시설지 및 주거지의 위치정보를 토대로 잠재적 토석류의 위험성을 산정한다. 이러한 분석 결과를 토대로 잠재적 산지재해 위험유역에 대해서는 산지사면과 계류 구간을 중심으로 재해방지시설계획을 수립하여 산지재해로부터 안전한 산지 환경을 확보하기 위한 자료를 제공한다.
  • 특히, 대상지역의 계류에 대한 유출량 자료가 없을 경우에는 유용하게 사용된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각 유역별 주계류 상단부(case 1)와 현장조사에서 파악된 취약구간 내 소계류 상단부(case 2)를 기준으로 토석류가 시작하는 부분의 유출량을 산정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적용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산지재해 취약성 평가의 현 상황은? 산지재해 취약성 평가는 산지 내 시설지 조성에 따른 절토 및 성토사면의 인위적 형성과 더불어 산지유역 내 수계 변화 등으로 인해 하절기 태풍 내지 집중호우 등에 의해 산지재해 발생 가능성이 급격히 증가할 수 있으나, 법제도 상에서는 산지재해에 대한 조사·대응·복구·유지관리 등과 관련해서는 명확히 제시되어진 바가 없는 실정이다. 따라서, 잠재적 산지재해의 취약성을 평가하여 산지환경과 재해대응에 적극적으로 대처할 수 있는 방안의 수립 및 적용이 절실히 필요하다.
잠재적 위험 지에 대한 취약성 평가가 이루어져야 하며, 이를 토대로 재해방지시설 계획이 수립되어야만 하는 이유는? Fig. 3과 같이 산지 유역의 상단부에 인위적인 시설지가 조성될 경우, 인위적으로 성토사면 및 절토사면, 사면 보호 시설물 등이 함께 시공됨에 따라 향후 잠재적인 위험지 형태로 계류 상단부에 놓여져 있기 때문에 이들 잠재적 위험 지에 대한 취약성 평가가 이루어져야 하며, 이를 토대로 재해방지시설 계획이 수립되어야만 한다.
산지유역 단위의 개념을 적용하여 체계적으로 산지 재해의 잠재적 위험성을 기초조사를 통해 파악하고, 기발생 붕괴지, 토사유출지, 수목전도 및 지반변형 발생지 등 유역 내 취약구간에 대해서는 정밀조사를 통해 원인규명을 실시하는 이유는? 본 연구에서는 산지를 중심으로 발생하는 산사태와 토석류 등 산지재해에 관한 취약성 평가의 방안 수립과 더불어 재해에 강한 산지관리의 일환으로 재해방지시설 계획수립의 절차를 제시하였다. 현재 “산지관리법”에서는 산지전용 내지 일시사용 인·허가를 위해서는 활용하고자 하는 산지 면적에 대해서만 개략적인 타당성조사가 수행되고 있으나, 산지 하부지역에 대한 산지재해 취약성 평가는 이루어지지 않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7)

  1. Choi, D. Y. and Paik, J. C., 2012, Characteristics of runout distance of debris flows in Korea,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ivil Engineering, 32(3B), 193-201. 

  2. FLO-2D Software, INC., 2009, FLO-2D reference manual. 

  3. Hwang, H. G., Lee, S. W., Kim, G. H., Choi, B. K., and Yune, C. Y., 2013, Analysis of slope hazard-triggering rainfall and geological characteristics in 2011 and 2012,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Hazard Mitigation, 13(6), 179-189. 

  4. KIGAM, 1976, Explanatory text of the geological map of Gusandong sheet (Scale 1:50,000), 51p. 

  5. Jang, C. B., Choi, Y. N., and Yoo, N. J., 2017, Journal of the Korean Geo-Environmental Society, 18(1), 13-21. 

  6. Kim, M. -I., Lee, M. -S., Chang, B. -S., Bang, D. -S., and Lee, J. -G., 2011, Countermeasure and pending issue of facility standards for dealing with debris flow hazards, The Korean Society of Engineering Geology conference, 87-92. 

  7. Kim, M. -I., Lee, S. -W., and Kim, B. -S., 2017, Slope stability assessment induced by variation in mountain topography and rainfall infiltration, The Journal of Engineering Geology, 27(2), 125-132. 

  8. Korea Forest Service, 2015a, Comprehensive measures to prevent landslide in 2015. 

  9. Korea Forest Service, 2015b, Investigate landslide areas and Guidance on management of landslide vulnerable areas, 28p. 

  10. Korea Forest Service, 2013, Integrated management plan of landslide occurrence risk area, 119p. 

  11. Korea Forest Service, 2012, Field manual of landslide prevention and countermeasure, 104p. 

  12. Kuichling, E., 1889, The relation between the rainfall and runoff from small urban area, Transaction of ASCE, 101, pp.143-183. 

  13. Lee, C. W., Woo, C. S., and Kim, D. Y., 2014, Standard procedures for investigation of potential debris flows torrent and area in Japan,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orest Engineering, 12(1), 1-25. 

  14. Lee, H. J., Tak, W. J., and Jun, K. W., 2015, Simulation of debris flow using RAMMS model, Crisis and Emergency Management : Theory and Practice, 11(2), 177-187. 

  15. Papathoma-Khle, M., 2016, Vulnerability curves vs. vulnerability indicators: application of an indicator-based methodology for debris-flow hazards, Natural Hazards and Earth System Sciences, 16, 1771-1790. 

  16. Takahashi, T., 2014, Debris flow, 2nd edition, - Mechanics, Prediction and Countermeasures, CRC Press, 572p. 

  17. Won, S. Y., Lee, S. W., Paik, J. C., Yune, C.-Y., and Kim, G. H., 2016, Analysis of erosion in debris flow experiment using terrestrial LiDAR,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Surveying, Geodesy, Photogrammetry and Cartography, 34(3), 309-317.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