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유전체 다중층을 이용한 국소 표면 플라즈몬 공명 센서의 감도 향상에 관한 연구
Estimation of Sensitivity Enhancements on Localized Surface Plasmon Resonance Sensor Using Dielectric Multilayer 원문보기

한국광학회지 = Korean journal of optics and photonics, v.28 no.1, 2017년, pp.28 - 32  

안희상 (부산대학교 인지메카트로닉스공학과) ,  강태영 (부산대학교 인지메카트로닉스공학과) ,  오진우 (부산대학교 나노에너지공학과) ,  김규정 (부산대학교 인지메카트로닉스공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논문에서는 LSPR 센서에 적용하기 위한 제한된 높이 100 nm에서 $TiO_2$, $SiO_2$의 다중층을 이용한 LSPR 센서를 디자인을 제안했다. LSPR 센서의 구조는 유전체 층과 나노 구조가 있는 금속층으로 디자인 하였다. 금속층은 금 박막 40 nm와 높이 40 nm, 주기 600 nm, 선폭 300 nm인 나노와이어 구조체를 올려놓은 구조로 디자인하였다. 유전체 층의 높이를 100nm로 제한하고, $TiO_2$, $SiO_2$가 반복되는 구조로 하여 반복층의 개수를 1~4개로 변경하면서 비교 분석하였다. 파장 가변형 SPR을 디자인하기 위해 각도를 75도로 고정하고 파장을 변화시켜 FEM방식으로 계산하였다. 결과로 굴절율이 고정되어 있을 때 다중층의 개수가 증가할수록 공명 파장이 짧아지는 현상을 확인 하였고, 파장의 변화에 더 민감하게 변화하는 것을 측정하였다. 다만, 다중층의 개수가 3개층 이상이 되면 변화하지 않는 것을 확인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n this research, we designed an LSPR sensor based on a thin-film multilayer comprising $TiO_2$ and $SiO_2$. The thickness of the overall substrate layer of the suggested multilayer LSPR sensor is limited to 100 nm, and the number of repeating $TiO_2$ and $SiO_2...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에 본 연구에서는, LRSPR구조를 기반으로 프리즘, 웨이브 가이드 결합(Waveguide-Coupled, WC)층 및 금속 박막으로 구성된 SPR 센서를 구상하였고, 시뮬레이션을 통해 파장 가변형 모드의 SPR을 분석하려고 한다. 그리고 다중층 LRSPR에 LSPR을 접목한 센서의 민감도를 비교하였고, LRSPR의반사스펙트럼을 완벽하게 드러내기 위해 다중층 장거리 LSPR(Multilayer long range localized surface plasmon resonance)센서에서 WC의 개수가 반사스펙트럼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 특성 변화를 시뮬레이션을 통해 측정하였다.

가설 설정

  • 입사된 광의 각도는 75°로 고정하였으며, 300~900 nm로 가시 광영역과 근적외선 영역의 파장이 조사되었다. 금속 주변에 형성된 유전물질은 1.33~1.36의 굴절률을 가지며 굴절률의 변화에 따른 입사된 광의 파장대역 중 공명 파장의 변화를 시뮬레이션으로 분석할 것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표면 플라즈몬 공명 현상은 어디에 응용되는가? 표면 플라즈몬 공명(Surface plasmon resonance, SPR)은 귀금속과 유전체 사이의 계면에서 표면 플라즈몬 파와 입사된 광에 의해 유도되는 자유전자의 집단적인 진동을 말한다[1-4]. 이 SPR 현상은 외부 유전 환경에 반응하여 공명되는 파장이나 각도가 변화하게 되고 이를 이용하여 센서나 이미지 등에 응용되고 있다. 대표적인 응용방법으로는 SPR 센서로 SPR센서는 복합시료에서의 농도, 특이성, 그리고 생체분분자간의 상호작용 측정을 포함하여 화학 및 생물학적 감지에 사용된다.
표면 플라즈몬 공명이란? 표면 플라즈몬 공명(Surface plasmon resonance, SPR)은 귀금속과 유전체 사이의 계면에서 표면 플라즈몬 파와 입사된 광에 의해 유도되는 자유전자의 집단적인 진동을 말한다[1-4]. 이 SPR 현상은 외부 유전 환경에 반응하여 공명되는 파장이나 각도가 변화하게 되고 이를 이용하여 센서나 이미지 등에 응용되고 있다.
SPR센서는 어디에 이용되는가? 이 SPR 현상은 외부 유전 환경에 반응하여 공명되는 파장이나 각도가 변화하게 되고 이를 이용하여 센서나 이미지 등에 응용되고 있다. 대표적인 응용방법으로는 SPR 센서로 SPR센서는 복합시료에서의 농도, 특이성, 그리고 생체분분자간의 상호작용 측정을 포함하여 화학 및 생물학적 감지에 사용된다.[5-8]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9)

  1. J. Homola,, S. S. Yee, and G. Gauglitz, "Suface plasmon resonance sensors: review," Sens. Actuators B, 54, 3-15 (1999). 

  2. K. Kim, Y. Oh, K. Ma, E. Sim, and D. Kim, "Plasmon-enhanced total-internal-reflection fluorescence by momentum-mismatched surface nanostructures," Opt. Lett., 34, 3905-3907 (2009). 

  3. J.-r. Choi., S. Lee, and K. Kim, "Plasmon based super resolution imaging for single molecular detection: Breaking the diffraction limit," Biomed Eng. Lett., 4, 231-238( 2014). 

  4. K. Kim, S. J. Yoon, and D. Kim, "Nanowire-based enhancement of localized surface plasmon resonance for highly sensitive detection: a theoretical study," Opt. Express, 14, 12419-12431 (2006). 

  5. J. Homola, "Present and future of surface plasmon resonance biosensors," Anal. Bioanal. Chem., 377, 528-539(2003). 

  6. R. Slavik and J. Homola, "Ultrahigh resolution long range surface plasmon-based sensor," Sens. Actuators B, 123, 10-12 (2007). 

  7. S. A. Kim, K. M. Byun, K. Kim, S. M. Jang, K. Ma, Y. Oh, D. Kim, S. G. Kim, M. L. Shuler, and S. J. Kim, "Surface-enhanced localized surface plasmon resonance biosensing of avian influenza DNA hybridization using subwavelength metallic nanoarrays," Nanotechnology, 21, 355503 (2010). 

  8. E. D. Gaspera and A. Martucci, "Sol-gel thin film for plasmonic gas sensors," Sensors, 15, 16910-16928 (2015). 

  9. S. Moon, D. J. Kim, K. Kim, D. Kim, H. Lee, K. Lee, and S. Haam, "Surface-enhanced plasmon resonance detection of nanoparticle-conjugated DNA hybridization," Appl. Opt., 49, 484-491 (2010). 

  10. K. Kim, D. J. Kim, S. Moon, D. Kim, and K. M. Byun, "Localized surface plasmon resonance detection of layered biointeractions on metallic subwavelength nanogratings," Nanotechnology, 20, 315501 (2009) 

  11. K. Ma, D. J. Kim, K. Kim, S. Moon, and D. Kim, "Targetlocalized nanograting-based surface plasmon resonance detection toward label-free molecular biosensing," IEEE J. Quant. Electron., 16, 1004-1014 (2010). 

  12. W. Lee, K. Kim, and D. Kim, "Electromagnetic Near-Field Nanoantennas for Subdiffraction-Limited Surface Plasmon- Enhanced Light Microscopy," IEEE J. Qunatum Electron., 18, 1684-1691 (2012). 

  13. Y. Yuan and Y. Dai, "A Revised LRSPR Sensor with Sharp Reflection Spectrum," Sensors, 14, 16664-16671 (2014) 

  14. R. Slavik and J. Homola, "Ultrahigh resolution long range surface plasmon-based sensor," Sens. Actuators B., 123, 10-12 (2007). 

  15. G. G. Nenningera, P. Tobi?kab, J. Homola, and S.S. Yeea, "Long-range surface plasmons for high-resolution surface plasmon resonance sensors," Sens. Actuators B., 74, 1-3 (2001). 

  16. J. C. Quail, J. G. Rako, and H. J. Simon, "Long-range surface-plasmon modes in silver and aluminum films," Opt. Lett., 8, 377-379 (1983). 

  17. A. W. Wark, H. J. Lee, and R. M. Corn, "Long-range surface plasmon resonance imaging for bioaffinity sensors," Anal. Chem., 77, 3904-3907(2005). 

  18. B. Min, E. Ostby, V. Sorger, E. U.-Avila, L. Yang, X. Zhang, and K. Vahala, "High-Q surface plasmon polariton whispering gallery microcavity," Nature, 457, 455-458 (2009). 

  19. J. H. Jang, S. J. Cho, and J. H. Kim, "Lumped Parameter Modeling and Analysis of Electromagnetic Linear Actuator," J. of the KSMPE, 15, 18-24 (2016).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