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elimination of harmful heavy metals (Cd, Cr, and Pb) from sea lettuce Enteromorpha sp. was evaluated in filtered seawater over a pH range of 2.0-4.0 using citric, hydrochloric, and nitric acids. We also evaluated the quality of sea lettuce samples after release of their internal constituents int...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에서는 우리나라에서 소비자들이 많이 섭취하는 파래의 안전성을 확보하기 위하여 파래에 함유된 유해 중금속(Cd, Cr, Pb)을 효과적으로 제거하고 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파래에 인위적으로 유해 중금속을 축적시켰으며, 이들 유해 중금속의 제거를 위하여 질산, 염산 및 구연산 등의 산을 이용한 최적 제거 조건을 검토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해조류가 어떤 것에 효과가 있으며 무엇으로 주목받고 있는가? 바다에 서식하는 해조류는 Mg, Ca, I, Fe, Zn 등 인체에 필요한 필수 미량원소를 많이 함유하고 있으며, 해조류 종류에 따라서 인체에 유용한 생리활성을 나타내는 각종 유효성분도 많이 함유하고 있다. 특히, 성인병과 비만예방 등에 효과가 있다는 것이 많은 연구자에 의해서 보고되었고, 건강식품으로서도 주목을 받고 있다(Cho et al., 1995; Imet al.
해조류의 특징은? )는 2005년에 1,060톤이 생산되던 것이 10년이 지난 2015년에는 7,661톤이 생산되어 7배 이상 증가하였다(Statistics Korea, 2015). 바다에 서식하는 해조류는 Mg, Ca, I, Fe, Zn 등 인체에 필요한 필수 미량원소를 많이 함유하고 있으며, 해조류 종류에 따라서 인체에 유용한 생리활성을 나타내는 각종 유효성분도 많이 함유하고 있다. 특히, 성인병과 비만예방 등에 효과가 있다는 것이 많은 연구자에 의해서 보고되었고, 건강식품으로서도 주목을 받고 있다(Cho et al.
해조류의 중금속 오염이 위험한 이유는? 한편, 육상에서 바다로 유입되는 오염물질들은 희석, 확산, 분해 등의 과정을 통하여 감소되지만, 이와는 반대로 생물에 있어서는 생물농축 과정을 통하여 오히려 중금속 등의 오염 물질들이 농축하게 된다. 이에 연안 해역에서 서식하는 파래, 김, 미역 등의 해조류는 중금속 오염에 노출되기 쉽고, 중금속을 체내 축척하여 이를 섭취하는 사람에게 건강상 유해를 미칠 우려가 있다(Mok et al., 2005; Son et al.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2)

  1. Ahmady-Asbchin S, Andres Y, Gerente C and Le Cloirec P. 2009. Natural seaweed waste as sorbent for heavy metal removal from solution. Environ Technol 30, 755-762. http://dx.doi.org/10.1080/09593330902919401. 

  2. AOAC International. 2002. AOAC guidelines for single laboratory validation of chemical methods for dietary supplements and botanicals. Gaithersburg, MD, U.S.A. 

  3. Cho DM, Kim DS, Lee DS, Kim HR and Pyeun JH. 1995. Trace components and functional saccharides in seaweed. 1. Changes in proximate composition and trace element according to the harvest season and places. Bull Kor Fish Soc 28, 49-59. 

  4. Choi SN, Lee SU, Chung KH and Ko WB. 1998. A study of heavy metals contents of the seaweeds at various area in Korea. Korean J Soc Food Sci 14, 25-32. 

  5. EOS Ecology. 2012. Heavy metals in fish and shellfish, EOS Ecology, Christchurch, New Zealand. 

  6. FAO (Food and Agriculture Organization of the United Nations). 2014. Global Statistical Collections. Retrieved from http://www.fao.org/fishery/statistics/en on July 11, 2016. 

  7. Hwang YO, Kim MS, Park SG and Kim SJ. 2007. Contents of lead, mercury, and cadmium in seaweeds collected in coastal area of Korea. Analytic Sci Technol 20, 227-236. 

  8. Im YG, Choi JS and Kim DS. 2006. Mineral contents of edible seaweeds collected from Gijang and Wando in Korea. J Kor Fish Soc 39, 16-22. 

  9. Kim JH, Mok JS and Park HY. 2005. Trace metal contents in seaweeds from Korean coastal area. J Korean Soc Food Sci Nutr 34, 1041-1051. 

  10. Kim SY, Sidharthan M, Yoo YH, Lim CY, Jin HJ, Yoo JS and Shin HW. 2003. Accumulation of heavy metals in Korean marine seaweeds. Algae 18, 349-354. http://dx.doi.org/10.4490/algae.2003.18.4.349. 

  11. KMFDS (Korea Ministry of Food and Drug Safety). 2016. Korea food code. Retrieved from http://fse.foodnara.go.kr/residue/RS/jsp/menu_02_01_01.jsp on July 11, 2016. 

  12. Mithra1 R, Sivaramakrishnan1 S, Santhanam P, Dinesh Kumar S and Nandakumar R. 2012. Investigation on nutrients and heavy metal removal efficacy of seaweeds, Caulerpa taxifolia and Kappaphycus alvarezii for wastewater remediation. J Algal Biomass Utln 3, 21-27. 

  13. Mok JS, Kwon JY, Son KT, Choi WS, Kim PH, Lee TS and Kim JH. 2015a. Distribution of heavy metals in internal organs and tissues of Korean molluscan shellfish and potential risk to human health. J Envron Biol 36, 1161-1167. 

  14. Mok JS, Park HY and Kim JH. 2005. Trace metal contents of major edible seaweeds and their safety evaluation. J Kor Soc Food Sci Nutr 34, 1464-1470. 

  15. Mok JS, Son KT, Lee TS, Lee KJ, Jung YJ and Kim JH. 2016. Removal effect of hazardous heavy metals (Cd, Cr, Pb) in laver (Porphyra sp.) by acid treatment. Korean J Fish Aquat Sci 49, 556-563. http://dx.doi.org/10.5657/KFAS.2016.0556. 

  16. Mok JS, Yoo HD, Kim PH, Yoon HD, Park YC, Lee TS, Kwon JY, Son KT, Lee HJ, Ha KS, Shim KB, Jo MR and Kim JH. 2014. Bioaccumulation of heavy metals in mussels in the Changseon area, Korea, and assessment of potential risk to human health. Fish Aquat Sci 17, 1-6. http://dx.doi.org/10.5657/FAS.2014.0001. 

  17. Mok JS, Yoo HD, Kim PH, Yoon HD, Park YC, Lee TS, Kwon JY, Son KT, Lee HJ, Ha KS, Shim KB and Kim JH. 2015b. Bioaccumulation of heavy metals in oysters from the southern coast of Korea: Assessment of potential risk to human health. Bull Environ Contam Toxicol 94, 749-755. http://dx.doi.org/10.1007/s00128-015-1534-4. 

  18. Sohn JW. 2009. A study on Korean seaweed foods by literature review. Korean J Food Nutr 1, 75-85. 

  19. Son KT, Kwon JY, Jo MR, Choi WS, Kang SR, Ha NY, Shin JW, Park KBW and Kim JH. 2012. Heavy metals (Hg, Pb, Cd) content and risk assessment of commercial dried laver Porphyra sp. Korean J Fish Aquat Sci 45, 454-459. http://dx.doi.org/10.5657/KFAS.2012.0454. 

  20. Statistics Korea. 2015. Korean statistical information service (KOSIS). Retrieved from http://kosis.kr on July 11, 2016. 

  21. Steel RGD and Torrie JH. 1980. Principle and procedure of statistics; a biometrical approach (2nd ed.). MacGraw-Hill Book Company, New York, U.S.A. 

  22. Suzuki Y, Kametani T and Maruyama T. 2005. Removal of heavy metals from aqueous solution by nonliving Ulva seaweed as biosorbent. Water Res 39, 1803-1808. http://dx.doi.org/10.1016/j.watres.2005.02.020.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