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무선 센서 망에서 에너지 효율적인 페이스 라우팅을 활용한 분리된 다중 경로 방안
Disjointed Multipath using Energy Efficient Face Routing in Wireless Sensor Networks

정보과학회. 컴퓨팅의 실제 논문지 = KIISE transactions on computing practices, v.23 no.2, 2017년, pp.116 - 121  

조현종 (충남대학교 컴퓨터공학과) ,  김천용 (충남대학교 컴퓨터공학과) ,  김상대 (충남대학교 컴퓨터공학과) ,  오승민 ,  김상하 (충남대학교 컴퓨터공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무선 센서 네트워크에서 다중 경로는 저전력 센서의 특징으로 인해 에너지 효율적인 라우팅 방법들을 선호하였으며 라우팅 방법 중 이웃 노드들의 주변 정보를 통해 데이터를 전달하는 위치 기반 라우팅으로 다중 경로를 생성하였다. 하지만, 다중 경로가 라우팅 불가 지역에서 위치 기반 라우팅을 사용하면 경로들이 중복 사용되어 다중 경로의 디스조인트 특징을 유지하지 못한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다중 경로는 라우팅 불가 지역을 모델링하고 해당 지역을 우회하여 다중 경로의 디스조인트 특징을 보존하였다. 하지만 에너지 관점으로 보았을 때, 모델링과 같은 부가적인 작업은 노드의 에너지 소모를 증가시키며 센서 망의 수명을 단축시킨다. 본 논문에서는 라우팅 불가 지역에서 다중 경로의 디스조인트 특징을 보존하면서 에너지 효율적인 위치 기반 라우팅을 제안한다. 제안 방안은 노드의 에너지 소모를 줄이기 위해 모델링과 같은 부가적인 작업 없이 페이스 라우팅을 활용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n wireless sensor networks, the multipath prefers energy efficient routing method due to the characteristic of low-power sensor which uses geographic method to transmit data packet through information of the neighbor nodes. However, when multipath meets the routing fail area called hole area, path ...

주제어

참고문헌 (10)

  1. I. F. Akyildiz, et al., "A survey on sensor networks," IEEE Commun. Mag., Vol. 40, No. 8, pp. 102-114, Aug. 2002. 

  2. H. Karl and A. Willing, Protocol and architecture for wireless sensor networks, John Wiley & Sons, Inc., 2005. 

  3. S. Kim, C. Kim, H. Cho, and S.-H. Kim, "Continuous moving object tracking using query relaying in tree-based sensor network," J. KICS, Vol. 39B, No. 5, pp. 271-280, May 2014. 

  4. J. N. Al-Karaki and A. E. Kamal, "Routing techniques in wireless sensor networks: a survey," IEEE Wireless Communication, Vol. 11, No. 6, pp. 6-28, Dec. 2004. 

  5. K. Akkaya and M. Younis, "A survey on routing protocols for wireless sensor networks," Ad hoc networks, Vol. 3, No. 3, pp. 325-349, May 2005. 

  6. B. Karp and H. T. Kung, "GPSR: greedy perimeter stateless routing for wireless networks," ACM MobiCom '00, pp. 243-254, Aug. 2000. 

  7. H. Cho, S. Kim, C. Kim, and S.-H Kim, C. J. Hwang, "Energy-Efficient Face Routing Protocol Considering Radio Range in Wireless Sensor Networks," J. KICS, Vol. 40, No. 6, pp. 1058-1069, Jun. 2015. 

  8. Q. Fang, J. Gao, and L. J. Guibas, "Locating and bypassing routing holes in sensor networks," IEEE INFOCOM 2004, pp. 2458-2468, Mar. 2004. 

  9. S. Kim, S. Oh, H. Park, J. Lee, and S.-H. Kim, "Disjoint multipath scheme with hole detouring strategy in wireless sensor networks," IEEE VTC Fall 2011, Sep. 2011. 

  10. NS-3, Ns-3, [online] available:http://www.nsnam.org/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