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아세틸화 모노글리세라이드계 가소제 합성 및 PVC 가소성능에 관한 연구
Polyvinylchloride Plasticized with Acetylated Monoglycerides Derived from Plant Oil 원문보기

공업화학 = Applied chemistry for engineering, v.28 no.1, 2017년, pp.42 - 49  

이상준 (한국화학연구원, 융합화학연구본부, 바이오화학연구센터) ,  육정숙 (한국화학연구원, 융합화학연구본부, 바이오화학연구센터) ,  김아련 (한국화학연구원, 융합화학연구본부, 바이오화학연구센터) ,  정지선 (한국화학연구원, 융합화학연구본부, 바이오화학연구센터) ,  신지훈 (한국화학연구원, 융합화학연구본부, 바이오화학연구센터) ,  김영운 (한국화학연구원, 융합화학연구본부, 바이오화학연구센터)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프탈레이트계 PVC 가소제를 대체하기 위해 식물유 기반 아세틸화 모노글리세라이드(AMG)계 가소제를 합성하여 PVC에 대한 가소성능을 평가하였다. 코코넛 오일과 글리세롤로부터 전이 에스테르화 반응과 아세틸화 반응을 거쳐 AMG-CoCo를 합성하였고 글리세롤 모노올리에이트(GMO)로부터 아세틸화 반응을 통해 AMG-GMO를 그리고 추가적으로 에폭시화 반응을 거쳐 AMG-GMO-Epoxy 합성하고 그 구조들을 확인하였다. AMG계 가소제의 열안정성을 평가한 결과, AMG-CoCo < AMG-GMO < AMG-GMO-Epoxy 순으로 열분해 온도가 높았으며 모두 상용 가소제인 DOP의 열분해 온도보다 높았다. AMG계 가소제를 함유한 PVC의 경우, 인장 신율은 770~810%, 인장 강도는 약 19~22 MPa로 DOP로 가소화된 PVC보다 우수하였다. DMA 분석 결과, AMG-GMO-Epoxy와 PVC는 매우 우수한 섞임성을 보여주었고 AMG-GMO-Epoxy를 50 phr 함유한 PVC의 $T_g$$24^{\circ}C$까지 감소하였다. 물에 대한 가소제의 용출 실험 결과, AMG-GMO와 AMG-GMO-Epoxy를 50 phr 포함한 PVC 경우 무게 감소가 약 2%와 1%로 내용출성이 매우 우수함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AMG-GMO-Epoxy가 DOP를 대체할 PVC 가소제로 경쟁력이 있다고 할 수 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o replace phthalate plasticizer for PVC, acetylated monoglyceride (AMG) plasticizers were prepared from plant oil and their plasticization effects were also investigated. Transesterification of coconut oil by glycerol followed by acetylation with acetic anhydride gave AMG-CoCo (Coco : Coconut Oil)....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에서는 내분비계 교란물질인 프탈레이트 가소제를 대체하기 위하여 식물유 기반의 지방족 에스테르계 친환경 가소제를 합성하고 지방족 알킬기의 구조에 따른 가소 성능에 대해 연구하였다. 합성한 가소제의 분자량 및 알킬사슬의 작용기의 영향을 고찰하기 위해 상대적으로 알킬 사슬의 길이가 짧은 코코넛 오일과 알킬 사슬의 길이가 길고 작용기를 가진 글리세롤 모노올리에이트를 이용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프탈레이트계 가소제 사용시의 문제점은 무엇인가? 이처럼 유연성을 발휘하도록 첨가하는 물질인 가소제는 프탈레이트, 아디프산 에스테르, 세바식산 에스테르, 인산 에스테르, 트리멜레이트 에스테르, 에폭시화 가소제, 폴리머형 가소제 등 많은 종류가 알려졌지만 1930년부터 프탈레이트계 가소제(Figure 1)가 주로 사용되고 있다[1]. 그러나 프탈레이트계 가소제는 사용 중에 쉽게 용출되어 내분비계 교란물질이나 발암물질의 원인으로 지목 되고 있다. 최근에는 이와 같은 이유로 프탈레이트계 가소제의 사용이 EU 등을 중심으로 규제되고 있다.
식물유 기반 AMG계 친환경 가소제 3종에 대한 PVC의 가소 성능 및 용출 특성을 평가한 결과는 어떠한가? 1. 코코넛 오일 및 GMO를 활용하여 전이 에스테르화 반응, 아세틸화 반응 및 에폭시화 반응을 통하여 AMG-CoCo, AMG-GMO 및 AMG-GMO-Epoxy 3종의 가소제를 합성하였으며 열안정성을 분석한 결과 5% 중량손실 온도가 197~258 ℃로 DOP의 192 ℃보다 우수하였다. 2. 합성 AMG계 가소제를 함유한 PVC 필름을 성형한 결과, 필름의 상태가 균일하게 형성되었으며 합성 가소제와 PVC의 섞임성이 대체로 문제가 없는 것으로 판단되었다. 3. AMG계 가소제를 50 phr 함유한 PVC 필름의 가소 성능을 평가한 결과, 인장 신율은 770~810%의 값을 나타내었는데 이 값은 상용 가소제인 DOP를 50 phr 함유한 PVC 필름의 인장 신율(700%)보다 우수하였다. 4. 합성 AMG계 가소제의 물에 대한 용출 실험 결과, AMG-GMO와 AMG-GMO-Epoxy를 함유한 PVC 필름의 용출량이 1~2%를 나타내어 DOP 가소제 함유 PVC 필름의 용출량 13%보다 매우 우수한 내용출 특성을 나타내었다. 5. 이상의 결과를 보면 식물유 기반 AMG계 친환경 가소제, 특히 AMG-GMO-Epoxy는 기존의 상용 가소제인 DOP를 대체할 PVC 가소제로 충분한 경쟁력을 갖추었다고 하겠다.
가소제의 사용목적은 무엇인가? PVC (poly vinyl chloride)와 같이 가공하기가 어려운 딱딱한 플라스틱 등에 유연성을 부여함으로써 가공성을 높이는 첨가제로 가소제가 사용되고 있다. 이처럼 유연성을 발휘하도록 첨가하는 물질인 가소제는 프탈레이트, 아디프산 에스테르, 세바식산 에스테르, 인산 에스테르, 트리멜레이트 에스테르, 에폭시화 가소제, 폴리머형 가소제 등 많은 종류가 알려졌지만 1930년부터 프탈레이트계 가소제(Figure 1)가 주로 사용되고 있다[1].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9)

  1. M. Rahman and C. S. Brazel, The plasticizer market: An assessment of traditional plasticizers and research trends to meet new challenges, Prog. Polym. Sci., 29, 1223-1248 (2004). 

  2. J. R. Pena, M. Hidalgo, and C. Mijangos, Plastification of poly(vinyl chloride) by polymer blending, J. Appl. Polym. Sci., 75, 1303-1312 (2000). 

  3. L. G. Krauskopf, How about alternatives to phthalate plasticizers?, J. Vinyl Addit. Technol., 9, 159-171 (2003). 

  4. Y. Tsumura, S. Ishimitsu, A. Kaihara, K. Yoshii II, Y. Nakamura, and Y. Tonogai, Di(2-ethylhexyl) phthalate contamination of retail packed lunches caused by PVC gloves used in the preparation of foods. Food Addit. Contam., 18, 569-579 (2001). 

  5. A. Stuart, M. M. McCallum, D. Fan, D. J. LeCaptain, C. Y. Lee, and D. K. Mohanty, Poly(vinyl chloride) plasticized with succinate esters: synthesis and characterization, Polym. Bull., 65, 589-598 (2010). 

  6. P. Karmalm, T. Hjertberg, A. Jansson, and R. Dahl, Thermal stability of poly (vinyl chloride) with epoxidised soybean oil as primary plasticizer. Polym. Degrad. Stab., 94, 2275-2281 (2009). 

  7. H. Baltacioglu and D. Balkose, Effect of zinc stearate and/or epoxidized soybean oil on gelation and thermal stability of PVC-DOP plastigels, J. Appl. Polym. Sci., 74, 2488-2498 (1999). 

  8. M. A. Semsarzadeh, M. Mehrabzadeh, and S. S. Arabshahi. Dynamic mechanical behavior of the dioctyl phthalate plasticized polyvinyl chloride-epoxidized soya bean oil, Eur. Polym. J., 38, 351-358 (2002). 

  9. P. Jia, M. Zhang, L. Hu, G. Feng, C. Bo, and Y. Zhou, Synthesis and application of environmental castor oil based polyol ester plasticizers for poly(vinyl chloride), ACS Sustain. Chem. Eng., 3, 2187-2193 (2015). 

  10. M. P. Scott, M. Rahman, and C. S. Brazel, Application of ionic liquids as low-volatility plasticizers for PMMA, Eur. Polym. J., 39, 1947-1953 (2003). 

  11. M. P. Scott, C. S. Brazel, M. G. Benton, J. W. Mays, J. D. Holbrey, and R. D. Rogers, Application of ionic liquids as plasticizers for poly(methyl methacrylate), Chem. Commun., 102, 1370-1371 (2002). 

  12. B. Yin and M. Hakkarainen, Oligomeric isosorbide esters as alternative renewable resource plasticizers for PVC, J. Appl. Polym. Sci., 119, 2400-2407 (2011). 

  13. L. V. Labrecque, R. A. Kumar, V. Dave, R. A. Gross, and S. P. McCarthy, Citrate esters as plasticizers for poly(lactic acid), J. Appl. Polym. Sci., 66, 1507-1513 (1997). 

  14. N. Gil, I. Negulescu, and M. Saska, Evaluation of the effects of biobased plasticizers on the thermal and mechanical properties of poly(vinyl chloride), J. Appl. Polym. Sci., 102, 1366-1373 (2006). 

  15. S.-J. Kang, S.-J. Bae, D.-E. Jin, and J. Kim, Development of an eco-friendly plasticizer using crude glycol derived from the biodiesel process, J. Korean Soc. Occup. Environ. Hyg., 24, 365-370 (2014). 

  16. J. Choi and S.-Y. Kwak, Hyperbranched poly( ${\varepsilon}$ -caprolactone) as a nonmigrating alternative plasticizer for phthalates in flexible PVC, Environ. Sci. Technol., 41, 3763-3768 (2007). 

  17. S. Lee, K.-H. Ko, J. Shin, N.-K. Kim, Y.-W. Kim, and J.-S. Kim, Effects of the addition of dimer acid alkyl esters on the properties of ethyl cellulose, Carbohydr. Polym., 121, 284-294 (2015). 

  18. M. Tarvainen, R. Sutinen, S. Peltonen, P. Tiihonen, and P. Paronen, Starch acetate-A novel film-forming polymer for pharmaceutical coatings. J. Pharm. Sci., 91, 282-289 (2002). 

  19. V. B. Borugadda and V. V Goud, Epoxidation of castor oil fatty acid methyl esters (COFAME) as a lubricant base stock using heterogeneous ion-exchange resin(IR-120) as a catalyst, Energy Procedia, 54, 75-84 (2014). 

  20. W. H. Park, R. W. Lenz, and S. Goodwin, Epoxidation of bacterial polyesters with unsaturated side chains. I. Production and epoxidation of polyesters from 10-undecenoic acid, Macromolecules, 31, 1480-1486 (1998). 

  21. P. K. Gamage, A. S. Farid, and L. Karunanayake, Kinetics of degradation of PVC-containing novel neem oil as stabilizer, J. Appl. Polym. Sci., 112, 2151-2165 (2009). 

  22. F. E. Okieimen, Studies in the utilization of epoxidised vegetable oils as thermal stabilizer for polyvinyl chloride, Ind. Crops Prod., 15, 71-75 (2002). 

  23. D. Martinz and J. Quadros, Compounding PVC with renewable materials, Plast. Rubber Compos., 37, 459-464 (2008). 

  24. N. Kinjo and T. Nakagawa, Antiplasticization in the slightly plasticized poly(vinyl chloride), Polym. J., 4, 143-153 (1973). 

  25. M. B. Benaniba and V. Massardier-Nageotte, Evaluation effects of biobased plasticizer on the thermal, mechanical, dynamical mechanical properties, and permanence of plasticized PVC. J. Appl. Polym. Sci., 118, 3499-3508 (2010). 

  26. J. W. Barlow and D. R. Paul, Polymer alloys, Annu. Rev. Mater. Sci., 11, 299-319 (1981). 

  27. N. Gil, M. Saska and I. Negulescu, Evaluation of the effects of biobased plasticizers on the thermal and mechanical properties of poly(vinyl chloride). J. Appl. Polym. Sci., 102, 1366-1373 (2006). 

  28. N. Lardjane and N. Belhaneche-Bensemra, Migration of additives in simulated landfills and soil burial degradation of plasticized PVC, J. Appl. Polym. Sci., 111, 525-531 (2009). 

  29. J. Kastner, D. G. Cooper, M. Maric, P. Dodd, and V. Yargeau, Aqueous leaching of di-2-ethylhexyl phthalate and "green" plasticizers from poly(vinyl chloride), Sci. Total Environ., 432, 357-364 (2012).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