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알킬렌디아미노알킬-비스-포스폰산과 비스-디메틸아미노메틸 포스핀산으로 처리된 중질섬유판의 연소가스 발생
Combustion Gas-emission of Medium Density Fibreboard (MDF) Treated with Alkylenediaminialkyl-bis-phosphonic Acids and Bis-(dimethylaminomethyl) Phosphinic Acid 원문보기

공업화학 = Applied chemistry for engineering, v.28 no.1, 2017년, pp.112 - 117  

박명호 (강원대학교 기계공학과) ,  정영진 (강원대학교 소방방재공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이 연구에서는 피페라지노메틸-비스-포스폰산(PIPEABP), 메틸피페라지노메틸-비스-포스폰산(MPIPEABP), N,N-디메틸렌디아미노메틸-비스-포스폰산(MDEDAP) 그리고 비스-디메틸아미노메틸 포스핀산(DMDAP)의 화학 첨가제로 처리된 중질섬유판(MDF)의 연소가스 발생을 시험하였다. 15 wt%의 인-질소산류 첨가제 수용액으로 중질섬유판에 붓으로 3회 칠하여 실온에서 건조시킨 후, 콘칼로리미터(Conecalorimeter, ISO 5660-1, 2)를 이용하여 연소가스의 발생을 시험하였다. 그 결과, 인-질소산류 첨가제로 처리한 시험편의 최대연기발생률($SPR_{peak}$)은 무처리 시험편에 비교하여 18.5~41.5%로 낮게 나타내었다. 그러나 인-질소산류 첨가제로 처리한 시험편에 대한 최대일산화탄소 생성($CO_{peak}$), (6.7~24.2)%은 공시험편보다 높게 나타났다. 또한 최대이산화탄소 발생($CO_{2peak}$), (4.2~24.4)%은 공시험편보다 낮게 나타났다. 반면에 $O_2$의 최대결핍률은 사람에게 치명적일 수 있는 수준인 15%보다 훨씬 높으므로 그로 인한 위험성은 피할 수 있었다. 결론적으로 MDF에 인-질소산류로 처리한 시험편은 부분적으로 연소성이 억제되었다. 그러나 일산화탄소의 감소에는 부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demonstrated the emission of combustion gases of medium density fibreboard (MDF)s coated with piperazinomethyl-bis-phosphonic acid (PIPEABP), methylpiperazinomethyl-bis-phosphonic acid (MPIPEABP), N,N-dimethylethylenediaminomethyl-bis-phosphonic acid (MDEDAP), or bis-(dimethylaminomethyl)...

Keyword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현재 MDF의 사용에 따른 난연성이 중요시되고 있으므로 친환경적인 첨가형 난연제의 사용에 따른 다양한 연구가 필수적으로 요구된다. 본 연구에서는 MDF의 효과적인 활용에 대한 화재 위험성을 개선하기 위하여 기 보고된 Scheme 1[8], 2[9]의 piperazinomethyl-bis-phosphonic acid (PIPEABP) 1, methylpiperazinomethyl-bis-phosphonic acid (MPIPEABP) 2, N,N-dimethylethylenediaminomethyl-bis-phosphonic acid (MDEDAP) 3, bis-(dimethylaminomethyl) phosphinic acid (DMDAP) 4의 인-질소산 첨가제를 택하였다. 인화합물은 연소 시 열분해되어 H3PO4를 생성 하여 탈수탄화 작용에 의하여 고체 숯을 생성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이산화탄소 농도가 7% 미만일 때, 농도에 따른 영향은 어떠한가? 이산화탄소(CO2)는 CO처럼 화재 시 발생하며, King의 연구[4]에 따르면, 약 3~6%의 CO2는 호흡장애의 정도가 점점 증가하고, 약 5~6%의 CO2는 호흡장애의 정도가 심각해지면서 두통과 구토를 수반 하며 호흡실패 및 증상불편감 증세가 나타나고, 또 6% 정도의 CO2에서 사람들은 20 min 이상 견디기 힘들게 된다. 대략 7~10%의 CO2는 현기증, 졸림, 의식상실의 심각한 호흡상태에서 복합적으로 나타난다.
중질섬유판의 문제점은 무엇인가? 다양한 목질재료 중 중질섬유판(medium density fibreboard, MDF) 은 가볍고 작업성이 수월하다. 그러나 이들은 화재에 취약하며, 화재에 의한 희생자 중에서 약 75~80%는 직접적인 화염노출에 의한 것이 아니라 연기, 유독가스 등의 흡입과, 또는 산소 결핍에 의한 것이다[1]. 화재 시 발생하는 유독가스에 대한 연구는 관련대상 물질에 따라 매우 다양하게 이루어져 왔으며, 특히 일산화탄소는 서서히 퍼지는 유독한 가스로서 인체 내의 헤모글로빈과의 강한 결합으로 적은 양으로도 매우 치명적인 것으로 보고하였다[1].
일산화탄소의 인채내 영향은 무엇인가? 일산화탄소(CO)는 화재발생 시에는 항상 존재하며 사람에게 노출 시 정신상태의 혼란을 일으키고 의식을 잃게 하는 치명적인 가스로 알려져 있다. Ernst와 Zibrak[2]는 CO가 carboxyhemoglobin (COHb)을 형성함으로써 hypoxia (저산소증)를 일으키고 oxyhemoglobin의 해리를 일으킨다고 보고하였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6)

  1. R. H. White and M. A. Dietenberger, Fire safety of wood construction. In: R. J. Ross (ed.), Wood Handbook: Wood as an Engineering Material, Ch. 18, USDA (2010). 

  2. A. Ernst and J. D. Zibrak, Carbon monoxide poisoning, N. Engl. J. Med., 339, 1603-1608 (1998). 

  3. R. Von Berg, Toxicology update, J. Appl. Toxicol., 19, 379-386 (1999). 

  4. B. G. King, High Concentration-short time exposures and toxicity, J. Ind. Hyg. Toxicol., 31, 365-375 (1949). 

  5. U. C. Luft, Aviation Physiology: The Effects of Altitude in Handbook of Physiology, 1099-1145, American Physiology Society, Washington DC, USA (1965). 

  6. V. Babrauskas, Development of the cone calorimeter - a bench-scale heat release rate apparatus based on oxygen consumption. In: S. J. Grayson and D. A. Smith (eds.) New Technology to Reduce Fire Losses and Costs, pp. 78-87, Elsevier Appied Science Publisher, London, UK (1986). 

  7. M. M. Hirschler, Fire performance of organic polymers, thermal decomposition, and chemical composition, ACS Symp. Ser., 797, 293-306 (2001). 

  8. Y. Chung and E. Jin, Synthesis of alkylenediaminoalkyl-bis-phosphonic acid derivatives, J. Korean Oil Chem. Soc., 30, 1-8 (2013). 

  9. Y. Chung and E. Jin, Synthesis of dialkylaminoalkyl phosphonic acid and bis-(dialkylaminoalkyl)-phosphinic acid derivatives, Appl. Chem. Eng., 23, 383-387 (2012). 

  10. O. Grexa, E. Horvathova, O. Besinova, and P. Lehocky, Falme retardant treated plyood, Polym. Degrad. Stab., 64, 529-533 (1999). 

  11. S. Liodakis, D. Vorisis, and I. P. Agiovlasitis, Testing the retardancy effect of various inorganic chemicals on smoldering combustion of Pinus halepensisneedles, Thermochim. Acta, 444, 157-165 (2006). 

  12. F. Samyn, S. Bourbigot, S. Duquesne, and R. Delobel, Effect of zinc borate on the thermal degradation of ammonium polyphosphate, Thermochim. Acta, 456, 134-144 (2007). 

  13. M. Park and Y. Chung, Combustive properties of Pinus Rigida plates painted with alkylenediaminoalkyl-bis-phosphonic acid ( $M^{2+}$ ), Fire Sci. Eng., 27, 28-34 (2014). 

  14. ISO 5660-1, Reaction to fire tests - Heat release, smoke production and mass loss rate. Part 1: Heat release rate (cone calorimeter method), Geneva (2002). 

  15. ISO 5660-2, Reaction to fire tests - Heat release, smoke production and mass loss rate. Part 2: Smoke production rate (dynamic measurement), Geneva (2002). 

  16. R. Bergman, Drying and control of moisture content and dimensional changes, In: R. J. Ross (ed.), Wood Handbook-Wood as an Engineering Material, Ch. 13, USDA (2010). 

  17. V. Babrauskas, SFPE Handbook of Fire Protection Engineering, 4th Ed., National Fire Protection Association, Massatusetts, U.S.A. (2008). 

  18. M. J. Spearpoint and G. J. Quintiere, Predicting the burning of wood using an integral model, Combust. Flame, 123, 308-325 (2000). 

  19. S. Ishihara, Smoke and toxic gases produced during fire, Wood Res. Tech. Notes, 16, 49-62 (1981). 

  20. M. M. Hirscher, Reduction of smoke formation from and flammability of thermoplastic polymers by metal oxides, Polymer, 25, 405-411 (1984). 

  21. J. Zhang, D. D. Jiang, and C. A. Wilkie, Thermal and flame properties of polyethylene and polypropylene nanocomposites based on an oligomerically-modified clay, Polym. Degrad. Stab., 91, 298-304 (2006). 

  22. G. Kimmerle, Aspects and methodology for the evaluation of toxicological parameters during fire exposure, J. Combust. Toxicol., 1, 4-51 (1974). 

  23. A. P. Mourituz, Z. Mathys, and A. G. Gibson, Heat release of polymer composites in fire, Compos. A, 38, 1040-1054 (2005). 

  24. OHSA, Carbon Monoxide Fact Sheet, U.S. Department of Labor, Occupational Safety and Health Administration (2002). 

  25. OHSA, Carbon Dioxide, Toxicological Review of Selected Chemicals. OSHA's Comments from January 19, 1989. Final Rule on Air Contaminants Project (2005). 

  26. MSHA, Carbon Monoxide, MSHA's Occupational Illness and Injury Prevention Program Health Topic, U.S. Department of Labor (2015).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