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일부 성인의 구강건강문해력과 구강보건행태
A Study on Oral Health Literacy and Oral Health Behavior among Adults 원문보기

한국학교ㆍ지역보건교육학회지 = The Journal of Korean Society for School & Community Health Education, v.18 no.3, 2017년, pp.69 - 82  

김선일 (강릉원주대학교 치과대학 예방치학교실 및 구강과학연구소) ,  박현경 (동의대학교 대학원 보건의과학과) ,  남지영 (경북대학교 대학원 보건학과) ,  고수연 (영남대학교 대학원 보건학과) ,  김혜진 (동의대학교 대학원 보건의과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Objectives: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general characteristics and oral health behavior, oral health knowledge, and oral health literacy for adult workers. Methods: This study chose some adult workers located D City by convenience sampling method, and accepted t...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성인 근로자를 대상으로 구간건강에 대한 문해력을 평가하기 위해 진행하였으며 언어적 구강건강문해력, 기능적 구강건강문해력을 조사하였다. 본 연구를 통하여 성인의 구강건강문해력 향상과 구강보건지식 및 구강건강행태 변화를 위한 구강보건교육에 필요한 기초자료로 활용하고자 한다.
  • 본 연구는 D시에 소재하고 있는 성인 근로자를 대상으로 일반적인 특성과 구강건강행태, 구강보건지식, 구강건강문해력과의 관련성을 알아보기 위해 수행하였다.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성인 근로자를 대상으로 구간건강에 대한 문해력을 평가하기 위해 진행하였으며 언어적 구강건강문해력, 기능적 구강건강문해력을 조사하였다. 본 연구를 통하여 성인의 구강건강문해력 향상과 구강보건지식 및 구강건강행태 변화를 위한 구강보건교육에 필요한 기초자료로 활용하고자 한다.
  • 또한 본 연구에서 사용한 구강건강문해력의 언어적 구강건강문해력과 기능적 구강건강문해력의 측정도구의 문항이 한정적으로 제공되어 구강보건진료의 다양한 항목을 반영시키지 못했기 때문에 결과가 일부 왜곡될 가능성을 가지고 있다. 이러한 한계점에도 불구하고, 본 연구는 성인근로자의 구강건강에 영향을 미치는 구강건강행태에 대해 구강건강지식과 함께 구강건강문해력의 필요성을 제기하였으며, 연관성을 규명하고자 하였다. 따라서 앞으로 성인근로자의 구강질환 예방과 증진을 위한 구강건강문해력 향상을 통해 정책적인 중재 전략이 필요하리라 생각된다.
  • 그러나 국내의 구강건강문해력과 관련된 연구는 노인과 다문화가정을 대상으로 제한적 연구가 진행되었을 뿐 미비한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성인의 구강건강증진에 영향을 미치는 언어적 구강건강문해력과 기능적 구강건강문해력을 조사하여 구강건강문해력과 구강보건지식 및 구강건강행태와의 연관성을 규명해보고자 하였다.

가설 설정

  • 구강보건 행태에 따른 구강보건지식과 구강건강문해력 수준에서 정기 검진에 따른 구강보건지식도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하였고, 구강보건교육 경험 유무와 치과 진료 및 구강보건교육의 이해 여부, 치과치료의 결정 주체에서는 구강보건지식과 구강건강문해력 중 언어적 구강건강문해력은 유의하였다. 구강보건 행태에 따른 기능적 구강건강문해력은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구강건강 문해력이란 무엇인가? 건강을 증진시키기 위한 방법 중 하나인 건강정보 문해력(Health Literacy)은 ‘개인이 의료와 관련된 적절한 결정을 스스로 내리는데 필요한 기본적인 건강 정보와 건강 서비스를 제대로 얻고, 처리하고, 이해하는 능력’을 의미한다(홍인화와 은영, 2012). 또한 구강건강 문해력(Verbal Oral Health Literacy)이란 현대 사회에서 구강건강관리에 필요한 지식을 습득함으로써 건강한 구강 상태를 유지하여 윤택한 삶을 영위할 수 있도록 하는 최소한의 능력을 의미한다(이해진 등, 2015). Bridges 등(2013)은 구강건강문해력의 정의가 일반적인 건강문해력 정의와 일치한다고 하였고, 이와 더불어 최근 국내에서도 구강건강문해력을 파악하기 위한 연구가 활발하게 이루어고있다.
성인근로자의 구강건강증진을 위해 개선해야할 점은 무엇인가? 또한 성인의 구강건강 위험 지표인 잘못된 구강건강신념은 구강보건지식에서 비롯되며, 언어적 구강건강문해력과의 연관성을 보고하고 있다(Parker 등, 2010) 이는 국내의 연구를 통해서도 구강건강문해력과 구강보건지식의 관계에서 양의 상관성이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류다영, 2013). 따라서 성인근로자의 구강건강증진을 위해 효과적인 구강건강문해력 증진을 반영한 맞춤형 계속구강건강관리의 구강보건교육이 시급한 것으로 사료된다.
구강건강 문해력이 낮을 경우 발생할 수 있는 문제점은 무엇인가? 양질의 치과 진료 및 구강 건강을 위해 효과적인 소통이 기본이며, 개인의 구강건강을 향상시키기 위해 구강건강 정보를 이해하고 서비스를 받는 것이 중요하다 하였다(Horowitz & Kleinman, 2008). 주현정 등(2015)의 연구를 통해 환자의 구강관련 용어에 대한 이해수준이 낮아 치과 진료시 치료의 결정에 의사소통이 원활하지 못하여 제대로된 치료에 있어 선택의 제한이나 판단이 어려운 것으로 보고하고 있으며, 자가 구강건강관리에 있어서도 꾸준한 예방적 관리가 이루어지지 않았다. 그러므로 구강건강관련 행태에 영향을 주는 용어들에 대한 정보 전달이 적절히 이루어지고 맞춤형 구강보건교육이 이루어진다면 구강 관련 용어들에 대한 이해와 더불어 치과 치료 여부에 대한 결정을 본인 스스로 내릴 수 있을 것이라 사료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3)

  1. 김경원. 20대의 구강건강정보 이해능력과 관련 요인. 대한치과위생학회지 2016;18(2):85-91. 

  2. 김영남, 권호근, 정원균, 조영식, 최연희. 한국 성인의 주관적 구강건강인식과 객관적 구강건강상태와의 관련성. 대한구강보건학회지 2005; 29(3):250-260. 

  3. 류다영. 한국아동보호자의 구강건강문해력 측정 도구 개발. 강릉원주대학교 2013. 

  4. 이미라, 한경순, 한수진, 최준선. 주관적으로 인지한 구강건강상태가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PRECEDE 모형 적용. 보건교육건강증진학회지 2011;28(1):23-35. 

  5. 송정록, 임차영, 이흥수. 노동자의 구강병으로 인한 노동손실과 주관적 구강건강인식의 관계. 대한구강보건학회지 2017;41(2):80-89. 

  6. 이봄이, 김연희. 성인의 구강건강정보이해능력 과 구강건강행동 간의 관련성. 보건과 사회과학 2014;37(1):87-102. 

  7. 이태화, 강수진. 한국 노인의 건강 문해실태와 영향 요인:인구사회학적 특성을 중심으로. 한국노년학회 2008;28(4):847-863. 

  8. 이해진, 홍진실, 김주연, 장기완. 한국형 구강건강문해력 평가 도구 개발을 위한 예비연구. 대한구강보건학회지 2015;39(4):237-244. 

  9. 정세환. 국민건강영양조사 제3기(2005) 심층분석: 건강면접 및 보건의식부문. 서울: 질병관리본부, 한국보건사회연구원 2007:157-179. 

  10. 주현정, 오효원, 김지연, 이흥수. 성인의 구강건강문해력 및 관련 요인에 대한 연구: 언어적 구강건강문해력. 대한구강보건학회 2012; 36(2):87-95. 

  11. 주현정, 이흥수, 오효원. 구강건강문해력과 구강보건행태의 연관성. 대한구강보건학회지 2015;39(3):187-195. 

  12. 홍인화, 은영. 입원 환자의 건강정보문해력에 관한 연구. 성인간호학회지 2012;24(5):477-488. 

  13. 황태윤. 건강정보이해능력: 의학과 공중보건학적 함의. 아카데미프레스 2010. 

  14. Bridges SM, Parthasarathy DS, Au TK, Wong HM, Yiu CK, McGrath CP. Development of functional oral health literacy assessment instruments: application of literacy and cognitive theories. J Public Health Dent 2013;74:110-119 

  15. Horowitz AM. Kleinman DV. Oral health literacy: the new imperative to better oral health. Dent Clin North Am 2008;52(2):333-44, vi. doi: 10.1016/j.cden. 2007.12.001. 

  16. Jamieson LM, Divaris K, Parker EJ, Lee JY. Oral health literacy comparisons between Indigenous Australians and American Indians. Community Dent Health 2013;30:52-57. 

  17. Lee JY, Rozier RG, Lee SY, Bender D, Ruiz RE. Development of a Word Recognition Instrument to Test Health Literacy in Dentistry:The REALD-30-A Brief Communication. J Public Health Dent 2007;67(2):94-98. 

  18. Majid Ezzati. Future life expectancy in 35 industrialised countries: projections with a Bayesian model ensemble. Imperial College London, 2017 

  19. Parker EJ, Jamieson LM. Associations between indigenous Australian oral health literacy and self-reported oral health outcomes. BMC Oral Health 2010;10:1-8. 

  20. Parker RM, Baker DW, Williams MV, Nurss JR. The test of functional health literacy in adults: a new instrument for measuring patients’’ literacy skills. J Gen Intern Med 1995;10:537-541 

  21. Richman JA, Lee JY, Rozier RG, Gong DA, Pahel BT, Vann WF Jr.Evaluation of a Word Recognition Instrument to Test Health Literacy in Dentistry: The REALD-99. J Public Health Dent 2007;67(2):99-104. 

  22. Sabbahi, D. A., Lawrence, H. P., Limeback, H., Rootman, I. Development and evaluation of an oral health literacy instrument for adults. Community Dentistry and Oral Epidemiology 2009;37(5):451-462. 

  23. Tam A, Yue O, Atchison KA, Richards JK, Holtzman JS. The association of patients’ oral health literacy and dental school communication tools: a pilot study. J Dent Educ 2015;79:530-538.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