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성인들의 구강보건과 건강.삶의 질의 관련성 연구 - 영남지역 일부 주민들을 대상으로 -
Research about Relationship between the Quality of life, Oral Health and Total Health of adults 원문보기

保健敎育健康增進學會誌 = Korean journal of health education and promotion, v.25 no.2, 2008년, pp.31 - 46  

김지화 (포항1대학 치위생과) ,  민경진 (계명대학교 공중보건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increase adults' quality of life by improving oral health. Total 572 people participated in this study in Young-Nam area. Survey research method was used to measure various tools of participants' general index, subjective view of oral health status, oral health kno...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 연구는 영남지역 성인을 대상으로 구강보건과 전신건강, 삶의 질에 미치는 요인들을 파악하고 구강보건이 전신건강과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 구강건강을 증진하여 건강과 삶의 질을 향상하고자 실시하였다.
  • 따라서, 주관적인 조사도구인 주관적 구강보건 영향지수(OHIP-14; Oral Health Impact Profile-14)와 주관적 전신건강지수(THI; Todai Health Index)를 사용하여, 구강보건지식, 구강 보건실천, 식생활행태가 구강건강에 미치는 영향과, 주관적 구강건강이 주관적 전신건강에 미치는 영향, 주관적 전신건강이 삶의 질(QOL; Quality of Life)에 미치는 영향을 밝히는 연구는 구강보건교육프로그램을 개발하는데 도움이 될 것이라 생각된다. 이 연구는, 지역사회 성인구강보건사업의 필요성과 구강보건교육을 위한 교육과정과 교육방법 등 구강건강증진을 위한 프로그램 개발에 필요한 기초 자료를 제시 하고자 한다.
  • 이 연구에서는 구강보건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조사 분석하여 구강보건이 전신건강과 삶의 질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고, 구강질환 예방과 구강보건 향상을 위한 프로그램을 개발하는데 필요한 기초자료를 제공함으로써 지역사회주민의 건강증진과 삶의 질을 높이는데 목적을 두었다.
  • 이 연구에서는 영남지역 성인을 대상으로 구강 보건영향지수(OHIP-14)와 전신건강상태(THI) 를 이용하여 삶의 질(QOL)과의 관련성을 알아보았다. 결과는 구강보건지식, 식생활행태의 독립변수들이 구강보건영향지수와 전신건강,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고 있었으며 구강보건상태가 좋으면 전신건강과 삶의 질도 높다는 결과를 보여주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전통적 건강수준의 개념은 어디에 중점을 두었는가? 전통적 건강수준의 개념은 질병의 중증도와 생존율, 건강상태의 객관적 평가에 중점을 두었 으나 근래에는 신체적, 정신적, 사회적인 면의 기능과 환자의 주관적 인식에 근거한 개념으로 변화하고 있다.
우리나라의 구강질환의 유병율이 모든 연령에 걸쳐 매우 높게 나타나는 이유는 무엇인가? 치아우식증이나 치주질환에 대한 일반의 관심이 높아지고 있지만 식생활 양식의 변화로 우리나라의 구강질환의 유병율은 모든 연령에 걸쳐 매우 높게 나타나고 있다. OECD 국가들 대부분이 감소추세를 보이고 있는 반면 우리나라는 오히려 영구치 우식 경험자율이 매년 증가 되고 있다(보건복지부 2007).
구강보건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조사 분석한 결과는 어떠한가? 1. 구강보건지식은 구강보건실천(0.442)과 식생활형태(0.343)에 식생활행태는 OHIP-14(0.187)에, OHIP-14는 THI(0.564)에, THI는 QOL(0.380)에 정(+, positive)의 영향을 보여 주었으나 구강보건실천은 OHIP -14(0.056)에 미미한 영향을 주었다. 2. QOL에 미치는 간접효과는 OHIP-14 (0.214), 식생활행태(0.040), 구강보건지식 (0.019), 구강보건실천(0.012)순으로 영향을 주었으며, THI(0.308)는 QOL에 직접적으로 가장 큰 영향을 주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7)

  1. 강명신. 1994. 구강보건인식, 태도, 행동 및 지식도가 치태 관련 질환 발생에 미치는 영향. 석사학위 논문, 연세대학교 대학원 

  2. 권현숙 외 9인. 2003. 구강보건교육학. 서울; 청구출판사 

  3. 김혜진. 2004. OHIP를 이용한 산업근로자의 구강건강평가 및 삶의 질과의 관련성. 박사학위논문, 계명대학교 대학원 

  4. 문혁수, 김종배. 1978. 상대치과보건의료수요와 치과보건 의료수요 간의 양적관련도 추정법에 관한 연구. 대한구강보건학회지 3(1):15-25 

  5. 보건복지부. 2007. 구강보건사업안내. 서울: 보건복지부 

  6. 서울대학교 치과대학, 보건복지부. 2001. 구강보건교육자료 개발에 관한 연구. 서울: 보건복지부 

  7. 윤진상, 국승희, 이무석. 1998. 삶의 질 척도에 관한 예비연구. 신경정신의학 37:280-294 

  8. 이명선. 2005. 한국노인 구강건강영향지수의 타당도 및 신뢰도. 석사학위논문, 조선대학교 환경보건대학원 

  9. 이종렬. 2003. 고혈압 환자의 생활방식과 삶의 질에 관한 구조 Model. 박사학위논문, 계명대학교 대학원 

  10. 제만희, 정세환, 마득상, 이승우, 박덕영. 2004. 강릉시 12세 인구의 자기평가치아 건강수준과 치아건강상태의 관계. 대한구강보건학회지 28(1):45-55 

  11. 최연희. 2001. 구강상태와 전신건강과의 관련성. 박사학위논문, 연세대학교 대학원 

  12. 최영희. 1997. 정신과 영역에서 삶의 질에 관한 고찰. 신경정신의학 36:19-31 

  13. Bae, K-H., H-D Kim, S-H Jung, D-Y Park, J-B Kim, D-I Park, and S-C Chung. 2007. Validation of the Korean version of the oral health impact profile among the Korean elderly. Community Dent. Oral Epidemiol. 35:73-79 

  14. Brennan, D. S., and A. J. Spencer. 2006. Mapping oral health related quality of life to generic health state values. BMC Health Service Research 6:96-106 

  15. Cockerham, W. C., K. Sharp, and J. A. Wilcox. 1983. Aging and perceived health status. Journal of Gerontology 38(3):349-355 

  16. Cruze, G. D., D. L. Galvis, and M. Kim. 2001. Self-perceived oral health among three- subgroup of Asian-Americans in New York City: a preliminary study. Community Dent. Oral Epidemiol. 29:99- 106 

  17. Fehir, J. S.. 1988. Self-rated health status, self efficacy, motivation, and selected demographics as determinants of health promotion life style. Ph. D. diss., The University of Texas at Arlington 

  18. Gilbert, L., 1994. Social factors and self- assessed oral health in South Africa. Community Dent. Oral Epidemiol. 22: 47-51 

  19. Hunt. S. M., J. McEwen, and S. P. McKenna. 1984. Perceived health: Aged and sex comparisons in a community. Journal of Epidemiology and Community Health 34:156-60 

  20. John, M. T. 2002. Oral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in Germany. Ph. D. diss., The University of Washington 

  21. Leao, A., and A. Sheiham. 1995. Relation between Clinical Dental Status and Subjective Impacts on Daily Living. J. Dent. Res. 74(7):1408-13 

  22. Lin, B., and M. Lin. 1980. Objective and self-assessed health in the old and very old. Social Science Medicine 14:311- 315 

  23. Slade, G. D., 1997. Derivation and validation of a short form oral health impact profile. Community Dent oral Epidemiol. 25:284-290 

  24. Slade, G. D., and A. J. Spencer. 1994. Development and evaluation of the Oral Health Impact Profile. Community Den- tal Health 11:3-11 

  25. Steele J. G., A. E. Sanders, G. D. Slade, P. F. Allen, S. Lahti, N. Nuttal, and A. J. Spencer. 2004. How do age and tooth loss affect oral health impacts and quality of life? A study comparing two national samples. Community Dent. Oral Epidemiol. 32:107-114 

  26. Szalai, A., 1980. The meaning of comparative research on the quality of life: The Quality of Life-Comparative studies. Sage Publications Inc. USA 

  27. Wong, M. C. M., E. C. M. Lo, and A. S. McMillan. 2002. Validation of a Chinese version of the Oral Health Impact Pro- file(OHIP). Community Dent. Oral Epidemiol. 30:423-430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