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고등학교 인문계 수학과 대학 경상계열 전공학문과의 연계성
A Study on the Relation between Mathematics Learning Contents of High School Liberal Arts Course and Major Fields of College of Business Administration 원문보기

韓國學校數學會論文集 = Journal of the Korean school mathematics society, v.20 no.4, 2017년, pp.423 - 443  

박영용 (목포대학교 수학교육과) ,  이헌수 (목포대학교 수학교육과)

초록

본 연구는 고등학교 인문계 수학과 대학 경상계열 전공학문 내용과의 연계성을 알아보기 위하여 M대학교 경영대학 경제학과, 경영학과와 금융보험학과에 재학 중인 대학생과 교수들을 대상으로 고등학교 인문계 수학 학습 내용과 대학 경상계열 전공학문과의 연계성에 대한 인식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첫째, 고등학교 인문계 수학과 대학 경상계열 전공학문의 연계성을 강화하기 위하여 고등학교 학생들이 수학적 개념과 원리에 대해 충분히 이해할 수 있는 수학교육이 이루어져야 한다. 둘째, 경상계열로 진학하고자 하는 인문계 고등학생들에게 수학이 전공학문을 공부하는데 필요한 교과목이라는 인식을 심어줄 필요가 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n this paper, In this paper, we study the recognition of undergraduate students and professors about the relation between mathematics learning contents of high school liberal arts course and major fields of college of business administration. We chose 155 undergraduate students and 6 professors at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M 대학교는 지방에 위치한 중위권 대학으로 경상계열학과인 경제학과, 경영학과, 금융보 험학과의 전공과목 중 수학 관련 과목을 살펴보고자 한다. 경제학과의 경우 경제수학, 경제 통계학, 계량경제학을, 경영학과는 경영통계학, 경영과학과 마케팅조사론을, 금융보험학과는 금융통계학만을 개설하고 있다.
  • 경상계열 학생들이 전공학문을 이수하는 데 필요한 수학적 이론을 어느 수준까지 알고 있는지 알아보기 위해 각 전공 교수들이 현재 담당하고 있거나 담당했던 전공 교과목을 이수했거나 이수중인 학생들이 전공학문의 기초가 되는 수학적 이론을 어느 정도 알고 있는가에 대해 질문하였다. 조사 결과 교수들은 학생들이 전공학문을 이수하는 데 필요한 수학적 이론을 보통 이하의 수준으로 알고 있다고 응답하였다.
  • 고등학교 인문계 수학과 경상계열 대학 전공학문과의 연계성을 알아보기 위하여 경상계열 대학생들이 고등학교 때 수능을 준비하면서 수능 성적 향상을 위해 정규 수업시간 외에 중점적으로 공부했던 수학 단원에 대하여 조사하였다. 조사 문항은 고등학교 때 수능을 준비 하면서 성적 향상 등을 위해 고등학교 인문계 수학 단원인 행렬, 지수함수와 로그함수, 수열과 수열의 극한, 함수의 극한과 연속성, 다항함수의 미분법, 다항함수의 적분법, 확률, 통계중 정규 수업시간 외에 공부했던 단원을 학습시간에 비례하여 각 단원별로 5점 Likert 척도를 사용하여 ① 전혀 하지 않았음 ② 거의 하지 않았음 ③ 조금 하였음 ④ 대체적으로 열심히 하였음 ⑤ 매우 열심히 하였음 중 하나를 선택하도록 하였다.
  • 고등학교 인문계 학생들의 수학 학습 내용과 대학 경상계열 전공학문 내용과의 연계성을 알아보기 위하여 M대학교 경상계열에 재학 중인 학생들을 대상으로 수능을 준비하면서 주로 공부했던 수학 단원, 중점적으로 학습했던 단원이 대학 전공학문을 공부하는데 도움이 되었는지, 전공학문을 이수하는데 필요하다고 생각되는 수학 단원 등에 대한 학생들의 인식을 알아보기 위하여 정량연구 방법 중 설문지법을 사용하여 조사하였다.
  • 담당하고 있는 전공과목 수강생들이 전공학문의 기초가 되는 수학적 이론을 잘 알고 있지 않아 발생하는 수업 중 어려움을 어떻게 극복하는지에 대해 조사하였다. 모든 교수들이 학생들의 수학적 기초 지식의 부족으로 인하여 수업 중 어려움을 많이 겪고 있음을 토로하였 다.
  • 대학 경상계열 전공학문과 수학과의 연계성을 알아보기 위하여 대학 경상계열 학과에 재직중인 교수들을 대상으로 대학 전공학문을 이수하는데 필요한 수학 단원과 담당과목을 수강하고 있는 학생들의 수학적인 기초 지식 등에 대하여 알아보기 위한 문항으로 면담 조사를 실시하였다.
  • 대학 경영대학 교수들을 대상으로 전공학문과의 수학과의 연계성을 알아보기 위하여 다음과 같은 내용으로 면담 조사를 실시하였다. 고등학교 인문계열 수학 단원 중 전공을 공부하는데 필요한 단원, 수학 단원별로 전공학문을 이수하는데 필요한 학습 정도, 현재 강의를 수강하고 있는 학생들의 수학적 이론의 이해 정도와 수업을 진행하면서 전공학문의 기초가 되는 수학적 내용을 잘 알지 못하고 있을 때 어떻게 대처하는지에 대한 내용으로 면담 조사 내용을 구성하였다.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경상계열 대학생들이 전공학문을 이수하면서 실제적으로 필요하다고 느끼는 수학 내용과 수학과 관련된 인식과 경상계열 교수들이 전공학문을 이수하는데 필요하다고 인식하고 있는 수학 내용에 대해 살펴보고, 이를 바탕으로 개정 교육과정에서 인문계 진로선택과목에 대한 시사점을 얻고자 한다.
  • 면담 조사에 참여한 경상계열 전공 교수들에게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고등학교 수학이나 대학수학(교양) 교육이 어떻게 변화해야 하는가에 대해 질문하였다. 이에 금융보험학과의 한 교수는 ‘학(學)은 개념 위주의 공부이고, 습(習)은 연습(문제) 중심의 공부라고 하면 수학은 학(學)과 습(習) 중에서 학 중심의 교육이 이루어져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고 답변하였다.
  • 박영용 외(2016)는 인문계열 수학 성적 상위권 학생들을 대상으로 대학수학능력 시험(이하 수능)이 고등학교 수학 학습 내용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정규 수업시간 외에 중점적으로 공부했던 수학 단원을 조사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인문계열 중 수학 교과와 좀 더 관련이 있는 경상계열 학생들의 인식을 알아보기 위하여 문항을 구성하였다. 문항은 고등학교 인문계열 수학 단원인 행렬, 지수함수와 로그함수, 수열과 수열의 극한, 함수의 극한과 연속성, 다항함수의 미분법, 다항함수의 적분법, 확률, 통계 중 수능 성적 향상 등을 위해 정규 수업시간 외에 공부했던 단원을 학습시간에 비례하여 각 단원별로 5점 Likert 척도를 사용하여 ① 전혀 하지 않았음 ② 거의 하지 않았음 ③ 조금 하였음 ④ 대체적으로 열심히 하였음 ⑤ 매우 열심히 하였음 중 하나를 선택하도록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기초수학능력이 저하된 원인은 무엇인가? 대부분의 공과대학이 공학인증제를 시행하고 있고, 공학인증에 필요한 MSC과목 중 수학 과목에 대한 비중이 증가되면서 각 대학들은 이공계 학생들의 기초수학능력 및 대학 수학의 학업 성취도를 향상시키기 위한 다양한 방법들을 모색하고 있다. 기초수학능력이 저하된 원인은 여러 가지가 있겠으나 선택형 교육과정으로 인한 수학 과목 축소 및 기피 현상이나 교차지원 등 입학전형이 원인을 수 있다(박형빈․정인철․이헌수, 2010; 이경희․이정례, 2015; 임연휘․표용수, 2015).
제4차 산업혁명은 무엇인가? 2016년 스위스 다보스에서 개최된 세계경제포럼(WEF: World Economic Forum)의 화두는 제4차 산업혁명이었다. 인공지능 시장 확대로 촉발된 제4차 산업혁명은 지금까지 산업혁명을 주도했던 IT와 전자기술 등의 디지털 혁명을 기반으로 바이오산업, 물리학, 생물공학의 경계가 희석되며 기술융합에 이르는 시대를 의미한다(WEF, 2016). 제4차 산업혁명은 미래 산업분야별 고용 변화에도 많은 영향을 미치는데, WEF(2016)의 2015~2020년 직군별 고용 증감규모 추정 결과에 의하면 2020년까지 사무, 행정, 제조업 등에서 많은 일자리가 사라지고, 비즈니스, 금융, 경영, 컴퓨터, 수학 등에서 수많은 일자리가 창출되며, 특히 데이터 분석가, 컴퓨터, 수학 관련 직업들이 부상할 것으로 전망하였다.
인공지능 시장 확대로 촉발된 제4차 산업혁명에는 어떤 직업들이 부상할 것으로 전망되는가? 인공지능 시장 확대로 촉발된 제4차 산업혁명은 지금까지 산업혁명을 주도했던 IT와 전자기술 등의 디지털 혁명을 기반으로 바이오산업, 물리학, 생물공학의 경계가 희석되며 기술융합에 이르는 시대를 의미한다(WEF, 2016). 제4차 산업혁명은 미래 산업분야별 고용 변화에도 많은 영향을 미치는데, WEF(2016)의 2015~2020년 직군별 고용 증감규모 추정 결과에 의하면 2020년까지 사무, 행정, 제조업 등에서 많은 일자리가 사라지고, 비즈니스, 금융, 경영, 컴퓨터, 수학 등에서 수많은 일자리가 창출되며, 특히 데이터 분석가, 컴퓨터, 수학 관련 직업들이 부상할 것으로 전망하였다. 또한, 2020년에는 사고의 유연성과 창의성, 논리・수학적 사고를 발휘할 수 있는 인지적 역량과 복합적 문제 해결 능력에 대한 요구 수준이 높아질 것으로 예측하고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3)

  1. 교육부 (2015). 수학과 교육과정. 교육부 고시 제2015-74호[별책 8]. 

  2. 교육부 (2016). 2015 개정 교육과정 질의.응답 자료. 교육부 교육과정정책과(2016.1.). 

  3. 박영용.박윤정.이헌수 (2016). 대학수학능력시험이 고등학교 수학 학습 내용에 미치는 영향 - 문과계열 수학 성적 상위권 학생들을 중심으로 -. 한국학교수학회논문집, 19(2), 177-196. 

  4. 박지향 (2008). 경상계열 학생들을 위한 기초수학 교수-학습지도 방안. 부경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5. 박현숙 (2012). 2007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고등학교 미적분과 통계 기본 교과서 비교.분석 연구 및 상경계열 진학 학생에 대한 선수학습으로서의 역할. 서울시립대학교 교육대학원석사학위 논문. 

  6. 박형빈.정인철.이헌수 (2010). 이공계 신입생의 수학 기초학력과 학업 성취도에 관한 연구. 한국수학교육학회지 시리즈 A , 49(3), 329-341. 

  7. 이경희.이정례 (2015). 중위권 공과대학 신입생들의 수학적 성향의 변화 분석.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 E , 29(4), 745-762. 

  8. 이영신(2010). 제7차 개정 교육과정 고등학교 수학과 대학수학의 연계성. 중앙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9. 이정례 (2015). 공과대학 신입생들의 수학에 대한 인식변화에 따른 대학수학 교육방향 연구. 한국수학교육학회지 시리즈 E , 29(3), 513-532. 

  10. 이헌수.김영철. 박영용 (2013). 입시전형별 이공계 신입생의 대학수학 성취도 비교 분석-2012년 M 대학교 이공계 신입생을 중심으로 -. 한국수학교육학회지 시리즈 E , 27(4), 369-379. 

  11. 임연휘.표용수 (2015). 수학 기초학력 평가틀 간의 상관관계 분석을 통한 교양수학 교과목 학습지도 방안. 한국학교수학회논문집, 18(3), 335-352. 

  12. 장은아.표용수 (2009). 경영수학입문 교과목 교수-학습지도 개선 방안-Webwork 시스템 활용 과제를 중심으로. East Asian Mathematical Journal, 25(3), 263-277. 

  13. WEF (2016). The Future of Jobs Employment, Skills and Workforce Strategy for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Global Challenge Insight Report. World Economic Forum.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