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부등식의 영역 교육과정 분석: 고교-대학수학의 연계 및 수학적 연결성을 중심으로
An analysis of the curriculum on inequalities as regions: Using curriculum articulation and mathematical connections 원문보기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Mathematical Education. Series A. The Mathematical Education, v.59 no.1, 2020년, pp.1 - 15  

이송희 (연세대학교) ,  임웅 (연세대학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에서는 2015개정교육과정에서 '경제수학'으로 이동한 '부등식의 영역(inequalities as regions)' 단원과 미적분학 사이의 연계성 및 수학적 연결성을 분석하여 '부등식의 영역'이 미적분학의 중요한 선수학습개념이라는 논지를 제시한다. 교육과정의 연계성 측면에서 직업 교과에 포함된 '경제수학'을 학습하지 않고 이공계에 진학하는 학생들은 '부등식의 영역'의 절차적 개념적 지식의 부재로 인하여 미적분학에서 학습 위계의 '격차'를 경험할 가능성이 크다. 수학적 연결성의 관점에서는 '부등식의 영역'과 밀접한 연관이 있는 미적분학의 다변수함수 이론의 학습에 어려움을 느낄 수 있다고 판단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n this paper, we analyzed curriculum materials on inequalities as regions. Constructs such as mathematical connections and curriculum articulation were used as a framework. As for articulation, our findings indicate the topic of inequalities as regions addresses meaningful subordinate mathematical ...

주제어

표/그림 (13)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교육과정에서 부등식의 영역은 어떻게 변화해 왔나? 본 연구가 다루고자 하는 ‘부등식의 영역’은 국내 교육과정에서 ‘계통학습기’인 제2차 수학교육과정부터 단원명이 사용되기 시작한 이후 2009개정교육과정까지 줄곧 고등학교 1학년 수학에 포함되었는데 2015개정교육과정에서는 해당 단원이 직업선택과목인 '경제수학'으로 옮겨짐으로써 교수⋅학습 방법 및 유의 사항에서 내용의 깊이에 대한 감축이 이루어졌다. 이는 ‘부등식의 영역’을 활용하는 선형계획법이 '경제수학'에서 핵심적인 개념이기 때문이다.
학습 요소는 독립적이지 않고, 다른 학습 요소와 상하로 연결되어 위계를 이루고 있다는 관점에 설득력을 주는 이론은? Tyler의 계속성과 연결성, Taba의 누적학습, Bruner 의 나선형 교육과정, Gagne의 학습 위계 이론들을 종합해보면, 교육과정의 수직적 연계성이란 동일한 학습 내용이 학년 간 및 학교 간에 어느 정도 계속 반복되어 점차 더 높은 수준으로 심화, 확대되어 제시되는 원리라고 할 수 있다(Yeo & Kim, 1987, as cited in Song et al., 1991).
연계성이란 무엇인가? 연계성(articulation)이란 학년 혹은 학교 수준사이의 학습 내용이 의미 있는 관련을 맺고 있는 상태이다. 적절한 관련을 맺고 있다는 것은 교육 내용들이 서로 의미 있게 구분된다는 것과 그 사이의 관련이 원활하다는 것을 동시에 나타낸다(Woo, 1998).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5)

  1. Ash, C., & Ash, R. B. (1986). The Calculus Tutoring Book. New York: IEEE Press. 

  2. Ban, E. S., Shin, J. H., & Lew, H. C. (2016). Re-interpreting the descartes perspectives on the connection of algebra and geometry. Journal of Educational Research in Mathematics, 26(4), 715-730. 

  3. Bruner, J. S. (1963). The Process of Education. New York: Vintage Books. 

  4. Chang, H. W., Lee, H. Y., & Lim, M. I. (2015). Study on continuity of elementary mathematics curriculum and nuri curriculum. Journal of Educational Research in Mathematics, 25(2), 207-223. 

  5. Chang, H. W., Lew, S. L., Kim, N. H., ..., Hong, G. J. (2016). Korea Society of Education Studies in Mathematics 2016 Yearbook School Mathematics and Mathematical Connectivity. Seoul: Kyungmoonsa. 

  6. Cho, W. Y. (2012). Analysis of prospective teachers mathematical content knowledge about differential area. Korea Society of Educational Studies in Mathematics School Mathematics, 14(2), 233-253. 

  7. Choi, K. S. (2014). A study on teaching and learning problem-solving of the optimization problems in regional inequalities using geogebra (Master's thesis). Mokwon University. Daejeon. Korea. 

  8. Gagne, R. M. (1970). The Conditions of Learning (2nd Ed.). New York: Holt, Rinehart and Winston. 

  9. Kim, J. Y. (2012a). A study on analysis of mathematical textbooks in high school based on mathematical connection: focused on the 10th grade curriculum of complex number (Master's thesis). Ewha Womans University. Seoul. Korea. 

  10. Kim, J. Y. (2012b). A comparative study on elementary mathematics textbooks of Korea and Japan-focused on the area of plane figures (Master's thesis). Busan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Busan. Korea. 

  11. Klein, F. (1968). Elementary Mathematics from an Advanced Standpoint: Arithmetic.Algebra.Analysis. New York: Dover Publications. 

  12. Lee, C. S. (2006). A study on the linkage between probability and statistics units in view of the secondary curriculum changes (Master's thesis). Yonsei University. Seoul. Korea. 

  13. Lee, D. J. (2017). A stud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high-school mathematics for economics and undergraduate basic mathematics for economics (Master's thesis). Yonsei University. Seoul. Korea. 

  14. Lee, S. H., Lee, J. H., & Kim, W. K. (2012). The effects of using geogebra of the mathematical thinking in the optimization problems of regional inequalities-focus on level curve. Korean Journal of Teacher Education, 28(4), 1-44. 

  15. Lee, Y. J. (2019). An analysis of 10th grade mathematics textbooks based on mathematical connection (Master's thesis). Korea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Chung-Buk. Korea. 

  16. Lee, Y. N. (2014). Analysis of equations in math1 textbooks for high school based on mathematical connection-focused on the 2009 revised curriculum (Master's thesis). Yonsei University. Seoul. Korea. 

  17. Lim, J. A. (2010). The analysis on the connection for calculus between high school and university mathematics curriculum (Master's thesis). Yonsei University. Seoul. Korea. 

  18. Lyou, I. S. & Han, I. K. (2011). A study on problem solving related with geometric interpretation of algebraic expressions. Communications of Mathematical Education, 25(2), 451-472. 

  19. Moon, J. W., & Lim, Y. S. (2014). A study on the articulations between the mathematical exploratory areas for age 5 in the 3-5 years old nuri curriculum and the first grade in math curriculum. Journal of Children's Literature and Education, 15(3), 403-431. 

  20. National Council of Teachers of Mathematics. (1989). Curriculum and Evaluation Standard for School Mathematics. Reston, VA: Author. 

  21. National Council of Teachers of Mathematics. (2000). Principles and Standard for School Mathematics. Reston, VA: Author. 

  22. Park, J. M., Park, J. H., & Lee, J. K. (2017). A study of analysis of American CMP textbooks in terms of mathematical connectivity - focused on equations, inequalities, and functions. Journal of the Korean School Mathematics Society, 20(3), 277-302. 

  23. Peggy, A. H., & Coxford, A. F. (Eds.). (1995). Connecting Mathematics Across The Curriculum. Reston, VA: National Council of Teachers of Mathematics. 

  24. Sin, S. J. (2006). A study on the connection between the 7th high school mathematics curriculum and university mathematical education. (Master's thesis). Ulsan University. Ulsan. Korea. 

  25. Shin, J. H. (2009). A study on mathematics teaching-learning focused on the translation of representaion in the scope of inequality (Master's thesis). Ewha Womans University. Seoul. Korea. 

  26. Song, S. H., Lee, Y. H., Lee, J. R., Kim, S. W., Kang, S. H., Park, J. Y. ... Yoo, K. H. (1991).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an analysis taxonomy for curricular articulation in mathematics and science.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Science Education, 11(2), 119-131. 

  27. Stewart, J. (2012). Early Transcendentals Calculus (7th ed.). Belmont, CA.: Brooks/Cole-Cengage Learning. 

  28. Taba, H. (1962). Basic Principles of Curriculum and Practice. New York: Harcourt, Brace, Jovanovich, Inc. 

  29. The Ministry of Education. (2015). Mathematics Curriculum. Ministry of Education. 2015-74 [Supplement 8]. 

  30. Tyler, R. W. (1949). Basic Properties of Curriculum and Instruction. Chicago: University of Chicago Press. 

  31. Whitehead, A. N., & Russell, B. (1913). Principia Mathematica. Cambridge: Cambridge University Press. 

  32. Woo, J. H. (1998). The Educational Foundation of the School Mathematics. Seoul: Seoul National University Press. 

  33. Yang, S. A., & Lee, S. J. (2019). Secondary teacher's advanced knowledge for teaching algebra. School Mathematics, 21(2), 419-439. 

  34. Yeo, H. J., & Kim, J. H. (1987). A study of sequence on chemistry sphere of the science curriculum in elementary-secondary school. Kyungbuk Education Forum, 29, 83-102. 

  35. Yoon, H. K., & Kwon, O. N. (2011). Pre-service and in-service teacher's MKT about the concept of vector. School Mathematics, 13(4), 615-632.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