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홍합모사 바이오 접착 및 코팅제 기술동향
Trends in Mussel-inspired Bioadhesives and Coating Materials 원문보기

접착 및 계면 = Journal of adhesion and interface, v.18 no.3, 2017년, pp.141 - 144  

홍상현 (한국과학기술원 화학과) ,  이해신 (한국과학기술원 화학과)

초록이 없습니다.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제안 방법

  • 홍합의 접착 기작을 모방한 홍합모사 접착 기술은 표면에 무관하게 적용 될 수 있는 새로운 표면 개질 기법이며 2차 개질을 통한 표면 기능성을 가능하게 한다. 또한, 생체고분자에 홍합접착단백질의 화학적 작용기인 카테콜기를 도입하여 줌으로써, 고분자의 성질에 접착력 및 화학적 반응성을 부여한다. 이러한 홍합모사 기술은 앞으로도 다양한 생체공학 및 산업적 응용을 가능 하게 할 것으로 보이며, 많은 발전 가능성을 가지고 있다.
  • 그림 8. 일반 칼슘-알긴산 하이드로젤과 카테콜이 도입된 시스템의 분해 거동 비교.​​​​​​​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폴리 도파민 표면 개질 법 같은 홍합모사 기술은 무엇에 큰 영향을 받고 그 이유를 어떤 반응으로 알 수 있나? 폴리도파민 표면 개질법과 같은 홍합모사 기술의 경우 산소에 영향을 크게 받는데, 이는 도파민 수용액의 air/water 계면상에서 벌어지는 특이적인 카테콜아민 반응을 통해 이해 할 수 있다. 폴리도파민 형성 반응을 진행 하다 보면, 물 위에 얇은 필름이 떠 있는 모습을 흔히 관찰 할 수 있는데, 여기에 카테콜과 마이클 첨가 반응이 가능한 아민을 가지고 있는 고분자 (예, polyethylenimine, PEI)를 첨가 하여 주면 고분자 사슬 간 가교 반응을 통해 두꺼운 필름이 형성된다 [그림 3] [9].
홍합의 접착 능력이 어떤 접착제 재료로 개발 및 응용이 가능해 오랫동안 연구 대상이 되었는가? 홍합은 바닷가의 젖은 바위나 암초 표면, 산호초 등 다양한 표면에 착생하여 거센 파도와 강한 조류가 흐르는 험한 해양 환경 속에서 서식한다. 홍합이 보여주는 특이한 접착 능력은 물리적 충격과 수분이 많은 환경에 모두 적용 가능한 내수성 접착제로의 개발 및 넓은 응용 가능성을 가지기 때문에 오랫동안 연구자들의 관심을 받아왔다. 홍합은 족사 (byssal thread)라고 하는 섬유 다발과 플라크 (plaque)라고 하는 접착성 패드를 통해 표면에 부착하게 되는데, 오랜 연구를 통해 표면과 맞닿아 있는 패드에 Mefp-3 (Mytilus edulis foot protein-3)과 Mefp-5 (Mytilus edulis foot protein-5)라고 하는 단백질이 주로 분포한다는 것이 밝혀졌다 [그림 1][1-3].
홍합 모사 기술이 적용 가능한 생체적합성을 가지는 고분자는 어떠한 것들이 있는가? 홍합모사기술의 장점은 표면 개질 이외에도 다양한 분야에 적용 가능한데, 특히 우수한 생체적합성을 가지는 고분자에 카테콜을 도입 (conjugate) 시킴으로써 고분자의 고유적인 특성 이외에도 추가적인 카테콜의 접착성을 부여 할 수 있다. 흔하게 쓰이는 생체 고분자로는 알긴산 (alginate) [11], 히알루론산 (hyaluronic acid)[12], 덱스트란 (dextran)[13] 그리고 키토산 (chitosan)[14] 등이 있다. 특히 키토산의 경우 게나 새우와 같은 갑각류의 외피에서 추출하는 고분자로서 뼈대 (backbone)안에 아민기를 다량 함유하고 있어 카테콜을 도입해줄 경우 카테콜-아민간의 화학 반응을 통하여 가교가 가능하여, 홍합단백질 및 위에서 설명한 폴리도파민과 구조적 유사점을 가질 수 있기 때문에 고분자-카테콜 가교 반응을 이해하는데 좋은 모델 시스템이 될 수 있어 자주 연구에 활용된다 [그림 6].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8)

  1. J. H. Waite, Integr. Comp. Biol., 42, 1172, (2002). 

  2. H. G. Silverman, and F. F. Roberto, Mar. Biotechnol., 9, 661 (2007). 

  3. H. Lee, N. F. Scherer, and P. B. Messersmith, Proc. Natl. Acad. Sci. U. S. A., 103, 12999 (2006). 

  4. H. Lee, S. M. Dellatore, M. W. Miller and P. B. Messersmith, Science, 318, 426 (2007). 

  5. S. Hong, Y. S. Na, S. Choi, I. T. Song, W. Y. Kim, H. Lee, Adv. Funct. Mater., 22, 4711 (2012). 

  6. S. Hong, J. S. Lee, J. Ryu, S. H. Lee, D. Y. Lee, D. P. Kim, C. B. Park, and H. Lee., Nanotechnology, 22, 4020 (2011). 

  7. H. Lee, J. Rho, and P. B. Merssersmith, Adv. Mater., 21, 431 (2009). 

  8. Y. Liu, K. Ai, and L. Lu, Chem. Rev., 114, 5057 (2014). 

  9. S. Hong, C. F. Schaber, K. Dening, E. Appel, S. N. Gorb, and H. Lee, Adv. Mater., 26, 5781 (2014). 

  10. Y. Wang, J. P. Park, S. H. Hong, and H. Lee, Adv. Mater., 28, 9961 (2016). 

  11. E. Byun, J. H. Ryu, and H. Lee, Chem. Commun., 50, 2869 (2014). 

  12. S. H. Hong, M. Shin, J. Lee, J. H. Ryu, S. Lee, J. W. Yang, W. D. Kim, and H. Lee, Adv. Healthcare Mater., 5, 75, (2016). 

  13. J. Y. Park, J. S. Kim, and Y. S. Nam, Carbohydrate Polymers, 97, 753 (2013). 

  14. J. P. Park, I.T. Song, J. Lee, J. H. Ryu, Y. Lee, and H. Lee, Chem. Mater., 27, 105 (2015). 

  15. K. Kim, J. H. Ryu, D. Y. Lee, and H. Lee, Biomaterials Science, 1, 783 (2013). 

  16. K. Kim, K. Kim, J. H. Ryu, and H. Lee, Biomaterials, 52, 161 (2015). 

  17. J. H. Ryu, S. Hong, and H. Lee, Acta Biomaterialia, 27, 101 (2015). 

  18. M. Shin, S.G. Park, B. C. Oh, K. Kim, S. Jo, M. S. Lee, S. S. Oh, S. H. Hong, E. C. Shin, K. S. Kim, S. W. Kang, and H. Lee, Nat. Mater., 16, 147 (2017).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