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철도인프라 3차원 객체라이브러리 구축을 위한 표준도/분류체계 분석
Analysis of Standardized Drawings and Breakdown Structure to Develop of 3D Object Library for Railway Infrastructure 원문보기

한국전산구조공학회논문집 = Journal of the computational structural engineering institute of Korea, v.30 no.1, 2017년, pp.71 - 76  

박형진 (한국건설기술연구원 ICT융합연구소) ,  서명배 (한국건설기술연구원 ICT융합연구소)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BIM 설계에서 라이브러리의 구축 및 활용은 매우 중요하다. 기존 컨텐츠의 재활용이 가능하므로, 설계를 보다 효과적이고 효율적으로 진행할 수 있다. 건축분야와 달리 토목분야, 특히 철도시설분야에서는 라이브러리의 구축 및 표준화가 미진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철도시설분야에 3차원 객체 라이브러리를 구축하고 표준화하고자 한다. 철도시설물 분류체계 및 관련도면을 수집 및 분석한다. 분석된 표준도면의 항목과 분류체계 항목을 매칭하였다. 각 항목별로 라이브러리가 필요한지 여부와 그럴 경우 어떤 소프트웨어가 적절한지를 검토하였다. 사용가능한 소프트웨어는 주로 Civil 3D와 Revit 등으로 나타났다. 향후 이를 바탕으로 철도인프라 3차원 라이브러리의 속성 항목 및 명세서를 설계하고 라이브러리를 구축할 예정이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n BIM design, the construction and use of a library are very important. Since the existing contents can be re-used, the design can be executed more effectively and efficiently. Unlike the construction, the civil engineering, in particular, the railroad sees an inappropriate development and standard...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기존 2D기반의 철도시설물 설계의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 본 연구에서는 철도인프라 3차원 객체 라이브러리 구축을 통한 BIM 설계를 목표로 하였다. 이를 위한 첫 번째 단계로서 라이브러리 구축을 위해 첫도시설물 분류체계 및 표준도를 분석하고 분류체계-표준도 맵핑 테이블을 제시하였다.
  • 부위분류와 공종분류의 경우 철도 도메인에 해당하는 분류가 일부 포함되어 있기는 하지만 대부분 건축, 토목 공사에 대한 분류들 이라고 볼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철도시설공단의 시설물분류체계를 우선적으로 적용하고자 하며, 건설정보 분류체계는 하나의 부가적인 속성정보로 활용하고자 한다.
  • 향후 철도인프라 3차원 라이브러리의 속성 항목 및 명세서를 설계하고 라이브러리를 구축할 예정이다. 또한 BIM 라이브러리를 관리 및 유통할 수 있는 웹기반 시스템 개발을 통해 철도분야 3차원 설계를 지원할 수 있는 체계를 구축하고자 한다.
  • 피팅류 및 배관 부속류는 치수 및 성능에 대한 내용이 있으며, 장비류 및 밸브류는 용도 및 제조사에 대한 내용까지 포함되어 있다. 또한 일정 포맷에 의한 카달로그도 포함되어 다양한 이미지 정보를 사용자에게 제공해준다. 국토교통부에서는 토목시설의 BIM 라이브러리와 명세서를 제공하고 있다.
  • InRail과 InRoad는 영국, 중남미, 중앙아시아의 철도사업에 사용된 사례가 있으며, Civil3D는 미국에서 사용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국내 토목분야에서 주로 사용되는 Revit과Civil3D를 위주로 각 소프트웨어의 특성과 해당 소프트웨어에서 라이브러리 프로토타입을 실제 구현해 보며 문제점을 분석하였다.
  • 레벨 1, 2, 3의 카테고리 정보는 라이브러리의 분류체계로 활용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철도시설공단의 PBS를 기본 분류체계로 사용하고 도면분류체계는 부가적인 속성정보로 활용하여 라이브러리 관리 및 검색을 지원하고자 한다.
  • 이는 표준도를 기반으로 라이브러리를 구축하기 때문에 결국 라이브러리와 분류체계를 맵핑하는 결과가 된다. 본 연구에서는 철도시설공단의 시설물분류체계와 국토교통부의 건설정보 분류체계를 각기 표준도와 맵핑하였다.
  • 둘째, 라이브러리대상범위 결정 시 표준도를 기준으로 한다. 셋째, LOD를 고려하여 설계자가 응용해서 사용하기 용이하도록 원형 라이브러리개발을 목표로 한다.
  •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연구에서는 철도시설 분야에 3차원 객체 라이브러리를 구축하고 표준화하며, 이를 활용하여 설계할 수 있는 체계를 개발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첫째, BIM 라이브러리 연구현황을 분석하고 전문가 설문 및 면담을 통해 철도인프라 BIM 라이브러리의 개발방향을 도출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PBS의 각 분류는 어떻게 구분되는가? 국내 철도분야 시설물에 대한 분류체계는 철도시설관리공단의 시설분류체계(physical breakdown structure, PBS)가있다. PBS는 시설대분류(Level 1), 시설중분류(Level 2),시설소분류(Level 3), 시설세분류(Level 4) 등 4개의 레벨로 구분되어 있으며 각 분류체계 최하위 항목에 대한 정의 및 설명이 기입되어 있다. 시설대분류에는 노반, 궤도, 건축, 전력,통신, 신호, 차량기지, 용지 등의 8개의 대분류가 있으며 44개의 중분류, 187개의 소분류, 686개의 세분류 등으로 구성되어있다.
토목, 철도분야의 3차원 라이브러리 표준화가 어려운 이유는? 라이브러리가 어느 정도 구축되어 있는 건축분야와 달리 토목분야, 특히 철도시설 분야에서는 라이브러리가 표준화되어 있지 않다. 토목 및 철도시설이 갖는 선형기반의 특성에 기인하며, 구조물을 포함한 선형의 정형화된 형상이 각 구간마다 서로 상이하여표준화기 어렵기 때문이다. 또한 건축분야에서는 민간분야의 활성화로 관련 설계회사들이 자체적인 3D 라이브러리 체계를 구축하여 활용할 수 있는 환경을 갖추었으나, 토목은 공공적 특성으로 인해 모델링 지침 및 표준, 라이브러리 컨텐츠를 국가에서 제공해야 하는 한계를 갖는다(Moon and Ju, 2014).
BIM기술이 조명받는 이유는? BIM(building information modeling)은 단일의 3차원 모델로서 생애 전 주기에 활용 가능하여 2D기반 설계의 문제점들을 해결할 수 있는 기술로 조명되고 있다. 특히 BIM은 3차원 모델을 플랫폼으로 하여 사업 참여자간의 데이터와 지식을 공유하고 협업에 매우 적합하여(Masood et al.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1)

  1. Autodesk SEEK (2013) seek.autodesk.com, USA. 

  2. Hong, S.W., Lee, B.H. (2013) A Study on the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BIM-Based Standard Library for LCCO2 Assessment and the Green Building Certification-Centered on the Building Material Level, J. Archi. Inst. Korea, 29(6), pp.271-278. 

  3. Jun, K.H., Yun, S.H. (2011) Developing Construction Object Library for BIM based Building Construction Planning, J. Archi. Inst. Korea, 27(9), pp.143-151. 

  4. Kim, I.H., Park, S.H., Lee, J.A. (2012) A Study on the Feature-based Modeling of Hanok and the Development of a Parametric BIM Library Browser, J. Archi. Inst. Korea, 28(5), pp.87-94. 

  5. Kim, J.H., Ji, S.G., Jung, T.H., Seo, J.W. (2014) A Feasibility Study to Adopt BIM-based Infrastructure Management System, J. Korean Soc. Civil Eng., 34(1) pp.285-292. 

  6. Kwon, O.C., Jo, J.W., Jo, C.W. (2013) BIM Quality Assurance for DFS in Design Phase, Trans. Soc. CAD/CAM Eng., 18(5), pp.348-358. 

  7. LiJuan, C., Hanbin, L. (2014) A BIM-based Construction Quality Management Model and Its Applications, Autom. Constr., 46, pp.64-73. 

  8. Masood, R., Kharal, M.K.N., Nasir, A.R. (2014) Is BIM Adoption Advantageous for Construction Industry of Pakistan?, Proced. Eng., 77, pp.229-238. 

  9. Moon, H.S., Ju, K.B. (2014) Development of BIM Library for Civil Structures based on Standardized Drawings-Focused on 2D Standard Drawings of The MOLIT, Trans. Soc. CAD/CAM Eng., 19, pp.80-90. 

  10. NBS (2013) www.nationalbimlibrary.com, UK. 

  11. RevitCity (2013) www.revitcity.com, USA.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