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CA-Markov 모형을 이용한 대구시 녹지의 공간적 변화 모델링
Modeling the Spatial Dynamics of Urban Green Spaces in Daegu with a CA-Markov Model 원문보기

대한지리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Geographical Society, v.52 no.1, 2017년, pp.123 - 141  

서현진 (경북대학교 사회과학연구원) ,  전병운 (경북대학교 지리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대구시를 사례로 셀룰라 오토마타-마르코프(Cellular Automata: CA-Markov) 모형을 활용하여 개발제한구역 유지 및 해제 시나리오별 2020년의 녹지를 예측하고, 토지피복 변화탐지기법공간메트릭스를 이용하여 2009년과 2020년간 녹지의 공간적 변화를 분석하였다. 먼저, 마르코프 체인(Markov chain) 모형을 이용하여 1998년과 2009년의 환경부 토지피복도에 기초한 토지피복변화의 전이확률을 도출하였다. 마르코프 전이확률을 보다 현실에 가깝게 보정하기 위하여 대구시 녹지의 공간적 변화에 영향을 주는 제약요인을 선정하여 다기준 평가(Multi-Criteria Evaluation: MCE)를 통해 적합성 지도(suitability map)를 제작하였다. 최종적으로 마르코프 전이확률과 적합성 지도를 셀룰라 오토마타 모형과 결합한 CA-Markov 모형을 적용하여 개발제한구역의 해제 유무에 따른 두 가지 시나리오에 기반을 두고 2020년의 토지피복을 예측하였다. 모형의 타당성은 2009년의 예측된 토지피복도와 2009년의 실제 토지피복도를 비교하여 산출된 Kappa 계수로 검증하였다. 예측된 토지피복 가운데 녹지만을 대상으로 녹지피복변화를 탐지하고 이동창 샘플링을 적용한 공간메트릭스를 산출하여 2009년과 2020년간 녹지의 공간적 변화를 분석하였다. 분석결과에 따르면, 현재의 도시화 추세가 지속되고 개발제한구역이 유지되는 경우, 달성군, 달서구의 성서, 동구의 안심, 북구의 칠곡 등과 같은 교외 지역에서 2020년에 녹지의 파편화(fragmentation) 현상이 뚜렷하게 나타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개발제한구역이 해제되는 경우, 개발제한구역 경계 주변부에서 녹지의 파편화가 나타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미래 대구시의 지속가능한 녹지관리를 위해서는 이러한 공간적 변화 양상을 충분히 고려하여 체계적인 모니터링을 실시할 필요가 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predicted urban green spaces for 2020 based on two scenarios keeping or freeing the green-belt in the Daegu metropolitan city using a hybrid Cellular Automata(CA)-Markov model and analyzed the spatial dynamics of urban green spaces between 2009 and 2020 using a land cover change detection...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2020년 대구시 토지피복에서 개발제한구역의 해제 유무에 따라 녹지의 전환 유형과 면적을 비교하기 위하여 개발제한구역 내에서 녹지가 타 토지피복으로 전환된 유형과 면적을 산출하였다. 녹지가 시가화지역, 농업지역, 나지로 전환되는 유형을 토지피복별및 읍변동별로 분석하였다.
  • 본 연구는 CA-Markov 모형을 적용하여 미래 대구시 녹지를 예측하는데 있어서 지역적 특성을 고려하기 위하여 마르코프 체인 모형을 통해 전이확률을 도출하고, MCE를 통한 적합성 지도를 제작하여 모형을 보정하고, 개발제한구역의 해제 유무에 따른 시나리오별 도시 녹지의 공간적 변화를 평가하였다는 점에서 가치가 있다. 또한, 본 연구에서 적용된 CAMarkov 모형은 일반 CA 모형보다 사례지역의 지역적 특성을 잘 반영할 수 있는 토지피복변화 예측모형으로서 다른 도시지역에도 쉽게 적용될 수 있다.
  • CA 기반 토지이용변화 및 도시성장예측모형이 정책평가 도구로서 실제로 활용되기 위해서는 단순한 예측을 넘어서 시나리오 기반 분석을 통해 방법론적 측면에서 확장되어질 필요가 있다. 이에 본 연구는 대구시를 사례로 CA-Markov 모형을 활용하여 개발제한구역 유지 및 해제 시나리오에 따라 2020년의 녹지를 예측하고, 토지피복 변화탐지기법 및 공간메트릭스를 이용하여 2009년과 2020년간 녹지의 공간적 변화를 분석하고자 한다.
  • 토지피복 변화탐지에서는 녹지의 파편화와 같은 공간적 변화를 살펴보는데 한계가 있으므로 본 연구에서는 공간메트릭스를 바탕으로 국지적인 공간적 변화를 분석하였다. 공간메트릭스는 Luck and Wu(2002), Herold et al.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마르코프 체인이란 무엇인가? CA-Markov 모형은 마르코프 체인 모형과 CA 모형의 통합 모형이다. 마르코프 체인은 어떤 현상의 동적 과정이 시간 또는 상태에 대한 이산적인 마르코프 과정(Markov process)을 나타내는 확률과정이다. 미래의 상태 확률은 오직 현재의 상태 확률에만 영향을 받는 특성을 마르코프 특성이라 하며 이러한 통계적 확률과정을 마르코프 과정이라 한다(김종호·이기성, 2010).
CA-Markov 모형의 전이확률이 가지는 한계는 어떻게 보완할 수 있는가? 그러나 CA-Markov 모형에서 마르코프 체인 모형을 통해 도출된 전이확률은 수학적 통계량이므로 지역적 특성을 반영하는데 한계가 있다. 이러한 한계는 연구지역의 특성을 반영할 수 있는 MCE를 통해 구축된 적합성 지도(suitability map)를 활용하여 전이규칙을 보정함으로써 보완할 수 있다(Wu and Webster, 1998).
CA-Markov 모형의 장점은 무엇인가? CAMarkov 모형은 마르코프 체인 모형과 CA 모형의 이론적 체계를 결합한 기법이다(Benenson and Torrens,2004). CA-Markov 모형은 다른 CA 모형에 비해 복잡한 도시 토지이용변화를 비교적 쉽고 간단하게 예측할 수 있으며, 실제 두 시기의 토지피복을 바탕으로 전이확률을 도출하기 때문에 현재의 추세를 반영한 토지이용변화를 모델링할 수 있다는 장점을 가진다(Araya and Cabral, 2010). 그러나 CA-Markov 모형에서 마르코프 체인 모형을 통해 도출된 전이확률은 수학적 통계량이므로 지역적 특성을 반영하는데 한계가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51)

  1. 강영옥.박수홍, 2000, "서울대도시지역 도시성장 예측에 관한 연구," 대한지리학회지, 35(4), 621-639. 

  2. 김재익.여창환, 2008, "도시성장예측모형을 활용한 개발제한구역의 효과측정," 국토계획, 43(3), 211-233. 

  3. 김재한, 2012, 청주시 환상녹지의 경관 파편화 실태와 지속가능한 녹지관리 방안 모색, 대한지리학회지, 47(1), 79-97. 

  4. 김종호.이기성, 2010, 확률과정 입문, 자유아카데미. 

  5. 김훈희.이진희, 2001a, "토지이용변화 확률모형 구축 및 적용에 관한 연구," 국토계획, 36(4), 95-111. 

  6. 김훈희.이진희, 2001b, "토지이용 변화에 따른 녹지환경의 민감성 평가," 국토계획, 36(5), 211-224. 

  7. 대구광역시, 2007, 2020 대구도시기본계획. 

  8. 박근애.김성준, 2007, "요인분석 및 CA-Markov 기법을 이용한 미래의 도시화 진행 양상 예측기법 개발," 한국농공학회논문집, 49(6), 105-114. 

  9. 안종욱, 2007, 도시성장예측을 위한 CA-Markov 모형구축 및 적용에 관한 연구: 수도권을 중심으로, 안양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0. 윤정미.이성호, 2002, "Fuzzy-AHP를 적용한 셀룰라오토 마타의 네이버후드 및 전이규칙에 관한 연구," 국토계획, 37(4), 83-94. 

  11. 이상헌.오규식, 2010, "셀룰라 오토마타를 이용한 개발제한구역의 효과 분석," 국토계획, 45(3), 193-208. 

  12. 이성호.윤정미.서경천.남광우.박상철, 2004, "셀룰라 오토마타를 이용한 김해시의 도시성장모형에 관한 연구 -1987-2001년을 중심으로-," 한국지리정보학회지, 7(3), 118-125. 

  13. 이인성.한재웅, 2001, "1985-2000년의 서울시 녹지잠식경향의 분석," 국토계획, 36(3), 41-54. 

  14. 정재준, 2004, "상대생장과 셀룰라 오토마타를 이용한 도시성장 예측 모델링: 대전광역시를 사례로,"한국지역개발학회지, 16(2), 1-14. 

  15. 정재준.이창무.김용일, 2002, "도시성장 분석 및 예측을 위한 셀룰라 오토마타 모델 개발," 국토계획, 37(1), 27-43. 

  16. 조대헌, 2008, "개발밀도를 고려한 셀룰라 오토마타 기반의 도시 토지이용 변화 모델링," 대한지리학회지, 43(1), 117-133. 

  17. 주용진.박수홍, 2003, "시계열 위성영상을 이용한 토지이용변화예측 확률모형의 구현과 적용," 지리학연구, 37(4), 373-385. 

  18. 최대식.임창호, 2004, "밀도결합형 셀룰라 오토마타 모형의 개발 -서울대도시권 도시성장 시뮬레이션 1972-2000-," 국토계획, 39(5), 7-24. 

  19. 환경부, 2015, 영상자료를 이용한 세분류 토지피복도 구축(6차) 및 국가환경지도시스템 주제도 제작(2차). 

  20. Aguilera, F., Valenzuela, L.M. and Botequilha-Leitao, A., 2011, Landscape metrics in the analysis of urban land use patterns: a case study in a Spanish metropolitan area, Landscape and Urban Planning, 99, 226-238. 

  21. Araya, Y.H. and Cabral, P., 2010, Analysis and modeling of urban land cover change in Setubal Sesimbra, Portugal, Remote Sensing, 2, 1549-1563. 

  22. Batty, M., 2005, Agent, cells, and cities: new representational models for simulating multiscale urban dynamics, Environmental and Planning A, 37, 1373-1394. 

  23. Batty, M., Xie, Y. and Sun, Z., 1999. Modeling urban dynamics through GIS-based cellular automata, Computer, Environments and Urban System, 23, 205-233. 

  24. Benenson, I. and Torrens, P.M., 2004, Modeling urban land-use with cellular automata, In: Benenson, I. and Torrens, P.M.(eds.), Geosimulation: Automatabased Modeling of Urban Phenomena, John Wiley & Sons, Ltd., 91-151. 

  25. Berling-Wolff, S. and Wu, J., 2004, Modeling urban landscape dynamics: a case study in Phoenix, USA, Urban Ecosystem, 7, 215-240. 

  26. Clarke, K.C. and Gaydos, S.J., 1998, Loose-coupling a cellular automation model and GIS: long-term urban growth prediction for San Francisco and Washington/Baltimore, International Journal of Geographical Information Science, 12(7), 699-714. 

  27. Clarke, K.C., Hoppen, S. and Gaydos, L.J., 1997, A selfmodifying cellular automata model of historical urbanization in the San Francisco Bay area, Environment and Planning B, 24, 247-261. 

  28. Eastman, J.R., 2012, IDRISI Selva Manual, Clark University. 

  29. Herold, M., Couclelis, H. and Clarke, K.C., 2005, The role of spatial metrics in the analysis and modeling of urban land use change, Computer, Environment and Urban Systems, 29, 369-399. 

  30. Herold, M., Liu, A. and Clarke, K.C., 2003, Spatial metrics and image texture for mapping urban growth: measurement, analysis and modeling, Computers, Environment and Urban Systems, 86(3), 286-302. 

  31. Hu, Z. and Lo, C.P., 2007, Modeling urban growth in Atlanta using logistic regression, Remote Sensing of Environment, 31, 667-688. 

  32. Jain, S., Kohli, D., Rao R.M. and Bijker, W., 2011, Spatial metrics to analyse the impact of regional factors on pattern of urbanization in Gurgaon, India, Journal of the Indian Society of Remote Sensing, 39(2), 203-212. 

  33. Li, X., Lin, J., Chen, Y., Liu, X. and Ai, B., 2013, Calibrating cellular automata based on landscape metrics by using genetic algorithms, International Journal of Geographical Information Science, 27(3), 594-613. 

  34. Li, X. and Yeh, A.G., 2002, Neural-network-based cellular automata for simulating multiple land conversion, International Journal of Geographical Information Science, 16(4), 323-343. 

  35. Li, X. and Yeh, A.G., 2004, Data mining of cellular automata's transition rules, International Journal of Geographical Information Science, 18(8), 723-744. 

  36. Luck, M. and Wu, J., 2002., A gradient analysis of urban landscape pattern: a case study from the Phoenix metropolitan region, Arizona, USA, Landscape Ecology, 17, 327-339. 

  37. McGarigal, K., 2014, Fragstats Help, University of Massachusetts. 

  38. Omar, N.Q., Sanusi, S.A.M., Hussin, W.M.W., Samat, N. and Mohammed, K.S., 2014, Markov-CA model using analytical hierarchy process and multiregression technique, 7th IGRSM International Remote Sensing & GIS Conference and Exhibition 

  39. Pauleit, S., Ennos, R. and Golding, Y., 2005, Modeling the environmental impacts of urban land use and land cover change: a study Merseyside, UK, Landscape and Urban Planning, 71, 295-310. 

  40. Sang, L., Zhang, C., Yang, J., Zhu, D. and Yun, W., 2011, Simulation of land use spatial pattern of towns and villages based on CA-Markov model, Mathematical and Computer Modeling, 54, 938-943. 

  41. Seto, K.C. and Fragkias, M., 2005, Quantifying spatiotemporal patterns of urban land-use change in four cities of China with time series landscape metrics, Landscape Ecology, 20, 871-888. 

  42. Subedi, P., Subedi, K. and Thapa, B., 2013, Application of a hybrid cellular automata-markov(CA-Markov) model in land-use change prediction: a case study of Saddle Creek Drainage basin, Florida, Applied Ecology and Environmental Sciences, 1(6), 126-132. 

  43. Tian, Y., Jim, C.Y., Tao, Y. and Shi, T., 2011, Landscape ecological assessment of green space fragmentation in Hong Kong, Urban Forestry & Urban Greening, 10, 79-86. 

  44. Turner, M.G., Gardner, R.H. and O'Neill, R.V., 2001, Landscape Ecology in Theory and Practice: Pattern and Process, Springer-Verlag. 

  45. Weng, Q., 2002, Land use change analysis in the Zhujiang Delta of China using satellite remote sensing, GIS and stochastic modelling, Journal of Environmental Management, 64, 273-284. 

  46. White, R. and Engelen, G., 1993, Cellular automata and fractal urban form: a cellular modelling approach to the evolution of urban land-use pattern, Environmental and Planning A, 25, 1175-1199. 

  47. Whitsed, R. and Smallbone, L.T., 2017, A hybrid genetic algorithm with local optimiser improves calibration of a vegetation change cellular automata model, International Journal of Geographical Information Science, 31(4), 717-737. 

  48. Wu, F., 2002, Calibration of stochastic cellular automata: the application to rural-urban land conversion, International Journal of Geographical Information Science, 16, 795-818. 

  49. Wu, F. and Webster, C.J., 1998, Simulation of natural land use zoning under free-market and incremental development control regimes, Computers, Environmental and Urban Systems, 22, 241-256. 

  50. Zhang, S., 2013, Socio-Ecological Drivers and Consequences of Land Fragmentation Under Conditions of Rapid Urbanization, Ph.D Thesis, Arizona State University. 

  51. Zhou, X. and Wang, Y.C., 2011, Spatial-temporal dynamics of urban green space in response to rapid urbanization and greening policies, Landscape and Urban Planning, 100, 268-277.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