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로지스틱 회귀분석과 지리 탐색기를 이용한 대구시 녹지 변화의 동인 분석
Analyzing the Driving Forces for the Change of Urban Green Spaces in Daegu with Logistic Regression and Geographical Detector 원문보기

한국지역지리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Regional Geographers, v.23 no.2, 2017년, pp.403 - 419  

서현진 (경북대학교 사회과학연구원) ,  전병운 (경북대학교 지리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1989년에서 2009년까지 대구시의 녹지 변화에 영향을 미친 동인을 분석하였다. 먼저, 녹지의 크기 및 다양성을 측정한 화소 기반 공간메트릭스에 대한 핫스팟 분석을 수행하여 지난 20년간 녹지의 잠식 및 파편화가 나타난 지역을 도출하였다. 다음으로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경사도, 도로와의 거리, 지가, 인구밀도, 용도지역상 주거 상업 공업지역의 비율 등을 동인으로 선정하고 단계적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이용하여 녹지의 잠식 및 파편화 여부와 이에 영향을 끼친 동인들 간의 관계의 방향을 분석하였다. 마지막으로 지리 탐색기(geographical detector)를 활용하여 지난 20년간 녹지의 잠식 및 파편화에 영향을 준 동인들의 상대적 중요도 및 동인들 간의 상호작용을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1989년에서 2009년까지 안심 택지개발지구의 일부 지역에서 녹지의 잠식이 집중적으로 나타났고, 성서 및 안심, 달성군, 칠곡 등의 택지개발지구를 중심으로 녹지의 파편화가 두드러지게 나타났다. 이들 지역에서 녹지의 잠식 및 파편화를 초래한 동인은 행정동 및 집계구 수준에서 상이했으나 경사도, 주거지역의 비율, 공업지역의 비율 등이 공통적으로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들 동인은 녹지의 잠식을 측정한 최대패치지수(LPI)와 정의 상관관계를 보였으나, 녹지의 파편화를 측정한 Shannon의 다양성지수(SHDI)와는 부의 상관관계를 가지고 있었다. 즉, 대구시 녹지의 잠식 및 파편화는 경사도가 낮고 주거 및 공업지역의 비율이 낮은 지역에서 발생하였다. LPI에 대한 동인의 상대적 영향력은 공업지역의 비율, 지가, 상업지역의 비율 등의 순으로 나타났고, SHDI에 대한 동인의 상대적 영향력은 공업지역의 비율, 지가, 도로와의 거리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또한, LPI와 SHDI에 영향을 미친 동인 간 상호작용은 경사도와 주거지역의 비율 조합에서 가장 크게 나타났다. 지난 20년간 대구시 녹지의 잠식 및 파편화를 설명하는 가장 유의한 개별 동인은 공업지역의 비율이며, 경사도 및 주거지역의 비율 간 상호작용이 개별 동인의 독립적인 영향력 보다 가장 크게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는 대구시가 미래에 지속가능한 도시 녹지정책을 수립을 하기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analyzed the forces to drive the change of urban green spaces in Daegu from 1989 to 2009. First, the loss and fragmentation of green spaces in the past 20 years were spatially identified by performing the hot spots analysis for the cell-based spatial metrics quantifying the size and diver...

주제어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도시 녹지의 기능은? 도시 녹지는 도시의 대표적인 그린인프라(green infrastructure)로서 생물서식처 제공 및 생물종다양성 유지 등의 생태적 기능, 대기오염 정화 및 도시 미기후 조절 등의 환경적 기능, 쾌적성의 증대, 건강 증진, 교육 및 레크리에이션 장소 제공 등과 같은 심미적 혹은 사회적 기능을 담당한다(김귀곤, 2002; Meerow and Newell, 2017). 이러한 다양한 기능을 통해 도시민의 삶의 질을 풍요롭게 함으로써 도시 녹지는 지속가능한 도시를 구현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Kong and Nakagoshi, 2005).
도시 녹지에 대한 지속가능한 관리를 위해 요구되는 것은? 도시 녹지의 기능이 제대로 발휘되게 하고 도시의 지속가능성을 제고하기 위해서는 도시 녹지에 대한 지속가능한 관리가 필요하다(김재한, 2012). 이를 위해서는 도시 녹지의 잠식 및 파편화와 이에 영향을 주는 잠재적 동인 간의 관계에 대한 기본적 이해가 요구된다.
도시 녹지는 다양한 기능을 통해 어떤 역할을 하는가? 도시 녹지는 도시의 대표적인 그린인프라(green infrastructure)로서 생물서식처 제공 및 생물종다양성 유지 등의 생태적 기능, 대기오염 정화 및 도시 미기후 조절 등의 환경적 기능, 쾌적성의 증대, 건강 증진, 교육 및 레크리에이션 장소 제공 등과 같은 심미적 혹은 사회적 기능을 담당한다(김귀곤, 2002; Meerow and Newell, 2017). 이러한 다양한 기능을 통해 도시민의 삶의 질을 풍요롭게 함으로써 도시 녹지는 지속가능한 도시를 구현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Kong and Nakagoshi, 2005). 그러나 도시 녹지는 주로 도시화에 따른 토지이용변화에 의해서 잠식 및 파편화(fragm ntation) 되고 있으며(이인성・한재웅, 2001; 이동근・김은영, 2008; 김은영 등, 2012), 이에 따라 그 본래의 기능이 저하되고 있는 실정이다(Tian et al.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2)

  1. 공인혜.백경혜.이동근, 2013, 미얀마 네피도 지역의 도시개발로 인한 토지피복변화 탐지 및 산림파편화 분석, 환경영향평가, 22(2), 247-156. 

  2. 김귀곤, 2002, 도시공원녹지의 계획.설계, 서울대학교출판부. 

  3. 김은영.송원경.이동근, 2012, 산림파편화에 대한 국내.외 동향, 환경복원녹화, 15(2), 149-162. 

  4. 김재한, 2012, 청주시 환상녹지의 경관 파편화 실태와 지속가능한 녹지관리 방안 모색, 대한지리학회지, 47(1), 79-97. 

  5. 김훈희.이진희, 2001a, 토지이용변화 확률모형 구축 및 적용에 관한 연구, 국토계획, 36(4), 95-111. 

  6. 김훈희.이진희, 2001b, 토지이용 변화에 따른 녹지환경의 민감성 평가, 국토계획, 36(5), 211-224. 

  7. 박선형.김재익, 2007, 대도시 주변 신개발지의 개발 특성에 관한 연구 : 대구광역시를 사례지역으로, 한국지리정보학회지, 10(2), 36-46. 

  8. 서현진.전병운, 2017a, CA-Markov 모형을 이용한 대구시 녹지의 공간적 변화 모델링, 대한지리학회지, 52(1), 123-141. 

  9. 서현진.전병운, 2017b, 화소 기반 공간메트릭스를 이용한 도시 녹지의 공간적 변화 분석 -대구시를 사례로-, 한국지역지리학회지, 23(1), 137-151. 

  10. 이동근.김은영, 2008, 수도권 내 개발계획관련 요소와 산림파편화 관계분석을 통한 관리방안, 한국조경학회지, 35(6), 37-47. 

  11. 이인성.한재웅, 2001, 1985-2000년의 서울시 녹지 잠식 경향의 분석, 국토계획, 36(3), 41-54. 

  12. 장갑수.박인환, 1999, 경상북도 4개 도시의 녹지파편화 현상 비교, 환경영향평가, 8(4), 13-23. 

  13. Aldstadt, J. and Getis, A., 2006, Using AMOEBA to create a spatial weights matrix and identify spatial clusters, Geographical Analysis, 38(4), 327-343. 

  14. Cao, F., Ge, Y. and Wang, J., 2013, Optimal discretization for geographical detectors-based risk assessment, GIScience & Remote Sensing, 50(1), 78-92. 

  15. EEA(European Environmental Agency), 2011, Landscape fragmentation in Europe, EEA Report, 87pp. 

  16. Getis, A. and Ord, J.K., 1992, The analysis of spatial association by use of distance statistics, Geographical Analysis, 24(3), 189-206. 

  17. Gong, C., Yu, S., Joesting, H. and Chen, J., 2013, Determining socioeconomic drivers of urban forest fragmentation with historical remote sensing images, Landscape and Urban Planning, 117, 57-65. 

  18. Herold, M., Couclelis, H. and Clarke, K.C., 2005, The role of spatial metrics in the analysis and modeling of urban land use change, Computer, Environment and Urban Systems, 29, 369-399. 

  19. Ju, H., Zhang, Z., Zuo, L., Wang, J., Zhang, S., Wang, X. and Zhao, X., 2016, Driving forces and their interactions of built-up land expansion based on the geographical detector-a case study of Beijing, China, International Journal of Geographical Information Science, 30(11), 2188-2207. 

  20. Kong, F. and Nakagoshi, N., 2005, Changes of urban green spaces and their driving forces: a case study in Jinan city, China, Journal of International Development and Cooperation, 11(2), 97-109. 

  21. Liu, Y., Feng, Y., Zhao, Z., Zhang, Q. and Su, S., 2016, Socioeconomic drivers of forest loss and fragmentation: a comparison between different land use planning schemes and policy implications, Land Use Policy, 54, 58-68. 

  22. Luck, M. and Wu, J., 2002, A gradient analysis of urban landscape pattern: a case study from the Phoenix metropolitan region, Arizona, USA, Landscape Ecology, 17, 327-339. 

  23. Meerow, S. and Newell, J.P., 2017, Spatial planning for multifunctional green infrastructure: growing resilience in Detroit, Landscape and Urban Planning, 99(2), 141-153. 

  24. Tian, Y., Jim, C.Y., Tao, Y. and Shi, T., 2011, Landscape ecological assessment of green space fragmentation in Hong Kong, Urban Forestry & Urban Greening, 10, 79-86. 

  25. Tian, Y., Jim, C.Y. and Wang, H., 2014, Assessing the landscape and ecological quality of urban green spaces in compact city, Landscape and Urban Planning, 121, 97-108. 

  26. Uy, P.D. and Nakagoshi, N., 2007, Urban green space gradient analysis and building eco-network in Hanoi, Vietnam. Hiroshima University, The 21st Century COE Program Discussion Paper Series, Vol.2007-5. 

  27. Wang, J.F., Li, X.H., Christakos, G., Liao, Y.L., Zhang, T., Gu, X. and Zheng, X.Y., 2010, Geographical detectors-based health risk assessment and its application in the neural tube defects study of Heshun Region, China, International Journal of Geographical Information Science, 24(1), 107-127. 

  28. Wang, J.F., Zhang, T.L. and Fu, B.J., 2016, A measure of spatial stratified heterogeneity, Ecological Indicators, 67, 250-256. 

  29. Wang, Y., Wang, S., Li, G., Zhang, H., Jin, L., Su, Y. and Wu, K., 2017, Identifying the determinants of housing prices in China using spatial regression and the geographical detector technique, Applied Geography, 79, 26-36. 

  30. Zhang, S., 2013, Socio-Ecological Drivers and Consequences of Land Fragmentation Under Conditions of Rapid Urbanization, Ph.D Thesis, Arizona State University. 

  31. Zhou, D., Shi, P., Wu, X., Ma, J. and Yu, J., 2014, Effects of urbanization expansion on landscape pattern and region ecological risk in Chinese coastal city: a case study of Yantai city, The Scientific World Journal http://dx.doi.org/10.1155/2014/821781. 

  32. Zhou, X. and Wang, Y.C., 2011, Spatial-temporal dynamics of urban green space in response to rapid urbanization and greening policies, Landscape and Urban Planning, 100, 268-277.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