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마을미디어 실천에 대한 탐색적 연구 서울마을미디어 활동에 대한 근거이론을 통한 분석
Exploratory Research about Maeul Community Media Practice Grounded Theory Based Analysis about Seoul Community Media Practice 원문보기

한국언론정보학보 = Korean Journal of Communication & Information, v.81, 2017년, pp.75 - 121  

이희랑 (중앙대학교 미디어커뮤니케이션학부) ,  김희영 (중앙대학교 문화연구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마을미디어는 미디어교육이 마을공동체 운동과 결합하는 방식을 통해서 등장하고 있는 지역을 기반으로 하는 공동체미디어 활동이다. 2012년 서울시의 지원 정책과 함께 등장하여 서울뿐만 아니라 전국적으로 확대되고 있는 추세다. 본 연구는 마을미디어 활동가들의 실천 과정을 이해하고 규명하는 데에 그 목적이 있으며 이를 위해서 근거이론적 접근을 시도하였다. 2012년부터 지속적으로 활동해온 영상 및 라디오 분야 활동가를 연구 참여자로 설정하여 심층인터뷰를 진행하였다. 근거이론에 따라서 개방코딩한 결과 16개의 범주와 59개의 하위범주를 도출하였다. 축코딩 결과 지속가능한 마을미디어 활동 욕구라는 중심 현상을 발견하였으며, 마을 채널의 부재와 공적 지원의 불안정한 정황에서도 운영의 안정화와 마을미디어네트워크의 역량을 강화하기 위해 스페이스미디어 발명, 다각적 배급방법 모색, 네트워크 공동행동의 전략적 실천을 하고 있으며 그 결과 마을의 현안을 발굴하고 의제화하면서 마을공동체와 시민사회와 네트워크됨으로써 마을의 공론장 역할에 대한 기대와 욕구가 한층 더 커지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Maeul Community Media is community media practice that media education combine with community activism based on the region. Maeul Community Media appeared with Seoul city's supporting policy in 2012 and is now enlarging on a national scale beyond Seoul. This study is aimed at understanding and inves...

주제어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마을미디어란 무엇인가? 마을미디어는 미디어교육이 마을공동체 운동과 결합하는 방식을 통해서 등장하고 있는 지역을 기반으로 하는 공동체미디어 활동이다. 2012년 서울시의 지원 정책과 함께 등장하여 서울뿐만 아니라 전국적으로 확대되고 있는 추세다.
마을미디어라는 명칭이 사용된 시점은 언제부터인가? 서울마을미디어지원센터에 따르면 “마을미디어는 주민이 소유하고 주민이 함께 운영하는 미디어로, 소통, 문화, 여가, 만남의 장이자 작은 언론의 역할을 하는 미디어이며, 다양한 미디어가 매체가 되어 주민들이 만나고 이야기를 나누는 마을소통 공동체”다.1) 마을미디어라는 명칭이 본격적으로 사용되기 시작한 것은 2012년 서울시의 ‘우리마을미디어 문화교실’ 사업이 추진되면서부터다. 이 사업은 중단기적인 계획 속에서 ‘마을공동체 활성화’ 사업의 일환으로 시작되었고 소통과 공유, 협력과 같은 키워드를 중심으로 마을의 직접적인 관계망 재형성을 사업의 중점 목표로 표방했다(라도삼, 2012).
2012년 서울시의 ‘우리마을미디어 문화교실’ 사업의 목표는 무엇이었는가? 1) 마을미디어라는 명칭이 본격적으로 사용되기 시작한 것은 2012년 서울시의 ‘우리마을미디어 문화교실’ 사업이 추진되면서부터다. 이 사업은 중단기적인 계획 속에서 ‘마을공동체 활성화’ 사업의 일환으로 시작되었고 소통과 공유, 협력과 같은 키워드를 중심으로 마을의 직접적인 관계망 재형성을 사업의 중점 목표로 표방했다(라도삼, 2012). 서울시는 마을미디어에 대한 장기적인 프로젝트를 구상하여 민관협력네트워크로 사업단을 꾸렸으며 이 사업단에 한국사회의 공동체미디어 활동을 선도해온 전국영상미디어센터협의회, 한국영상미디어교육협회, 한국공동체라디오방송협회가 결합하였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51)

  1. 강지영.윤선영 (2016). 간호사의 직장내 괴롭힘 경험에 관한 근거이론 연구. , 46권 2호, 226-237. 

  2. 강진숙.이은비 (2013). 공동체 라디오 DJ의 미메시스적 실천과 유희성 연구: 창신동 라디오방송국 을 중심으로. , 25권 2호, 37-66. 

  3. 강진숙.이은비 (2014). '서울마을미디어'의 다중 실천과 문화정치적 의미에 대한 연구: 네그리와 하트의 '다중' 개념을 중심으로. , 15권 3호, 143-185. 

  4. 강진숙.소유석 (2016). 공동체 라디오 동작FM의 다중참여와 실천사례 연구. , 60권 5호, 292-318. 

  5. 권향원 (2016). 근거이론의 수행방법에 대한 이해: 실천적 가이드라인과 이론적 쟁점을 중심으로. , 20권 2호, 181-216. 

  6. 김동윤 (2013). . 서울: 커뮤니케이션북스. 

  7. 김성경 (2013). 북한이탈주민의 월경과 북.중 경계지역: 감각되는 장소와 북한 이탈여성의 '젠더'화된 장소 감각. , 47권 1호, 221-253. 

  8. 김세철.손은성 (2005), 소출력 FM방송의 활용과 지역사회 발전: 대구 성서공동체FM을 중심으로. , 24권 2호, 81-103. 

  9. 김영천 (2013). . 서울:아카데미프레스. 

  10. 김예란.김용찬.채영길.백영민.김유정 (2016). . 2016한국언론정보학회 가을철 정기학술대회 (61-80쪽). 

  11. 김은규 (2004). . 서울: 커뮤니케이션북스. 

  12. 김은규.최성은 (2013). 영국 공동체 라디오 정책 고찰을 통한 국내 정책 개선 방안 모색을 위한 연구. . 30권, 113-158. 

  13. 남성진.최정호.이재모 (2011). 근거이론을 통한 지역사회복지사업의 주민참여에 관한 연구. , 39권, 101-128. 

  14. 라도삼 (2012). . 서울: 서울시정개발연구원. 

  15. 박명희 (2014). 근거이론을 적용한 집단독서치료 참여자들의 변화경험과 과정에 관한 연구. , 45권 3호, 463-488. 

  16. 백미숙 (2004). 미국 라디오방송 제도의 성립과 공익개념 형성. , 48권 2호, 373-399. 

  17. 서울시우리마을미디어문화교실 사업단 (2013). . 

  18. 서울마을미디어지원센터 (2014). 마을미디어, 판을 벌이다 (2013 마을미디어활성화사업 결과자료집). 

  19. 서울마을미디어지원센터 (2015). 꿈을 그리는 마을, 마을을 그리는 미디어 (2014 마을미디어활성화 사업결과자료집). 

  20. 서울마을미디어지원센터 (2016). Cheer UP! (2016 서울마을미디어 네트워크 1박 2일 워크숍 자료집). 

  21. 성동규.염성규 (2013). 온라인 마녀 사냥에 관한 근거이론적 분석. , 30권 1호, 145-189. 

  22. 유은혜 (2016). (국정감사정책자료집). 

  23. 윤상길 (2011). 한국의 지역사회와 지역커뮤니케이션의 구조. , 39권, 327-365. 

  24. 이만제 (2003). 소출력 FM 도입을 위한 일본 사례 연구. , 통권 57호, 209-234. 

  25. 이만제 (2007). 공동체 라디오방송 사업자 선정 정책방안. '공동체 라디오 방송 정책방안 마련을 위한 전문가 토론회' 자료집 (1-32쪽). 

  26. 이영범.박성우.남승연.정무권 (2012). 근거이론을 통한 사회적기업의 지속발전 모형에 대한 연구. , 22권 4호, 355-387. 

  27. 이주훈 (2012). 마을공동체 활성화를 위한 (마을)공동체미디어의 역할 및 운용. 서울시민의 미디어참여와 미디어민주주의 강화를 위한 정책 토론회 '서울시 마을미디어 활성화 정책에 대한 점검과 과제' 자료집 (31-43쪽). 

  28. 이희랑 (2013). . 중앙대학교 박사논문. 

  29. 이희랑.김희영.박지한.김주현 (2013). (서울마을미디어지원센터 연구 보고서). 

  30. 임종섭.김명준 (2015). 근거이론방법의 고찰과 언론학 연구에 주는 함의. , 59권 2호, 427-452. 

  31. 반명진.김영찬 (2016). 공동체 라디오와 지역 공동체 구성원의 상호작용에 대한 현장연구. , 78권, 79-115. 

  32. 조종혁 (1999). . 서울: 세영사. 

  33. 차재영 (1999). 미국의 공동체라디오 연구. , 8호, 199-213. 

  34. 채영길.김용찬.백영민.김예란.김유정 (2016). 서울시 마을공동체미디어와 공동체 공론장의 분화와 재구성. , 12권 2호, 4-46. 

  35. 최성은 (2012). 공동체라디오 법안의 필요성 및 해외 사례. '공동체라디오 발전 법제도 개선 토론회' 자료집 (5-18쪽). 

  36. 허경 (2012). 서울시 마을미디어정책 현황과 과제. 서울시민의 미디어참여와 미디어민주주의 강화를 위한 정책 토론회 '서울시 마을미디어 활성화 정책에 대한 점검과 과제' 자료집 (4-30쪽). 

  37. 허경 (2015). 2015년 마을미디어의 좌표, 확산과 네트워킹을 위한 과제. '변화를 만드는 마을미디어포럼' 자료집 (59-105쪽). 

  38. Ali, C. (2012). Media at the margins: Policy and practice in American, Canadian, and British community television. International Journal of Communication, 6. 1119-1138. 

  39. Ali, C. (2015). A community of communities? Emerging dynamics in the community media paradigm. Global Media and Communication, 11(1). 3-23. 

  40. Berrigan, F. J. (1979). Community communication: The role of community media in development. Paris, FR: National Distributors of Unesco Publications. 

  41. Carpentier, N., Lie, R., & Servaes, J. (2007). Multitheoretical approaches to community media: Capturing specificity and diversity, In L. K. Fuller (Ed.), Community media (pp. 218-235). NY: Palgrave Macmillan. 

  42. Charmaz, K., (2006). Constructing grounded theory. 박현성.이상균.이채원 (역) (2013). . 서울: 학지사. 

  43. Habermas, J. (1981). Theories des kommunikatien Handelns: Handlung- srationalitat und gesellschaftliche Rationalisierung. 장춘익 (역) (2007). . 서울: 나남. 

  44. Halleck, D. (2002). Hand-held visons: The impossible possibilities of community media. NY: Fordham University Press. 

  45. Howley, K. (2010). Understanding community media. Tousand Oaks, CA: Sa. 

  46. Lazarus, S. (1996). Anthropologe du Nom. 이종영 (역) (2002). . 서울: 새물결. 

  47. Lefebvre, A. (1974). La production de l'espace. 양영란 (역) (2011). . 서울: 에코리브로. 

  48. Ranciere, J. (1998). Aux bords du politque. 양창렬 (역) (2008). . 서울: 도서출판 길. 

  49. Rennie, E. (2006). Community media: A global introduction. Rowman & Littlefield. 

  50. Shuman, M. H. (2000). Going local: Creating self-reliant communities in a global age. New York, NY: Routledge. 

  51. Strauss, C., & Corbin, J. (1990). Basics of qualitative research: Grounded theory procedures and techniques. 김수진.신경림 (역) (2004). . 서울: 한울아카데미.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