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뇌성마비 아동을 대상으로 실시한 한국어판 아동 균형 척도의 라쉬분석
Application of Rasch Analysis to the Korean Version of the Pediatric Balance Scale in Children With Cerebral Palsy 원문보기

한국전문물리치료학회지 = Physical Therapy Korea, v.24 no.1, 2017년, pp.41 - 50  

김경모 (백석대학교 보건학부 물리치료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Background: The Pediatric Balance Scale (PBS) was developed to assess of balance ability in children with balance problem. The PBS was translated into Korean and its reliability had been studied. However, it had need to be verified using psychometric characteristics including item fit and rating sca...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아동 균형 척도의 평가 항목에 대한 적합도와 타당도 검증을 위해 첫째, 라쉬분석을 이용하여 서열 척도로 구성되어 있는 점수 체계를 등간척도로 변환하여 항목 적합도(item fit)과 항목 난이도(item difficulty)를 확인하고, 둘째, 5점 척도로 구성되어 있는 아동 균형 척도의 점수체계를 평정척도 (rating scale) 분석을 통해 적합성을 확인하고, 셋째, 뇌성마비를 하지마비(diplegia) 집단과 편마비(hemiplegia) 집단으로 구분하여 뇌성마비 분류에 따라 아동 균형 척도의 항목 적합도 및 난이도 차이를 확인하고자 한다.
  • 하지만 Franjoine 등(2003)은 아동 균형 척도에 대해 총점을 가지고 능력을 판단하는 것이 의미가 있는지, 평가 항목과 점수 체계(0∼4점)가 기능 변화를 민감하게 측정하고 정확하게 반영할 수 있는지에 의문점을 제시하고 추가 검증 과정이 필요하다고 하였다. 본 연구는 한국어판 아동 균형 척도의 항목 적합도, 항목 난이도, 평정 척도 등을 라쉬분석을 통해 타당성을 검증하고, 뇌성마비 아동을 하반신 마비 집단과 편마비 집단으로 나누어 뇌성마비 분류에 따라 항목 적합도와 난이도의 차이를 알아보고자 실시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균형이란? 균형(balance)은 공간에서 몸을 정렬하고 방향을 유지하며 기저면(base of support)에서 신체 중심을 유지 하는 능력으로 정의할 수 있고, 보행을 포함한 일상생 활에서 기능적인 활동들을 성공적으로 수행하기 위한 필수 요소이다(Franjoine 등, 2010). 균형 능력은 유아기 에 머리와 몸통 조절을 시작으로 대부분 12개월에 이르게 되면 서기와 보행 능력을 수행할 수 있게 되고, 13 세까지 지속적으로 발달하면서 성인의 자세조절 능력에 이르게 된다(Hadders-Algra, 2005; Shimizu 등, 1994).
신경학적 손상과 발달장애를 가진 아동들의 균형 능력의 한계는? 균형 능력은 유아기 에 머리와 몸통 조절을 시작으로 대부분 12개월에 이르게 되면 서기와 보행 능력을 수행할 수 있게 되고, 13 세까지 지속적으로 발달하면서 성인의 자세조절 능력에 이르게 된다(Hadders-Algra, 2005; Shimizu 등, 1994). 그러나 뇌성마비와 같이 신경학적 손상과 발달장애를 가진 아동들의 경우 근육 긴장도 손상과 정상적인 자세 조절능력 부족으로 인해 기능적인 균형 활동이 어렵게되면서 넘어지거나 일상생활 활동에 제한을 받게 된다 (Liao 등, 1997; van der Heide 등, 2004).
아동 균형 척도는 기능적인 수준을 반영하기 어렵고, 0점에서 4점으로 이루어져 있는 평정 척도가 기능의 변화를 반영하고 있는지 추가 검증하는 과정이 필요한 이유는? 97으로 높은 신뢰도를 보여주었다(Ko 등, 2008). 하지만 아동 균형 척도는 점수 체계가 서열척도로 구성되어 있고 각 항목의 점수를 합하여 총점을 이용하여 기능적 능력을 판단하기 때문에 기능적인 수준을 반영하기 어렵고, 0점에서 4점으로 이루어져 있는 평정 척도가 기능의 변화를 반영하고 있는지 추가 검증하는 과정이 필요하다(Franjoine 등, 2003).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3)

  1. Bond TG, Fox CM. Applying the Rasch Model: Fundamental measurement in the human sciences. 2nd ed. Mahwah, NJ, Lawrence Erlbaum Associates Inc., 2007:219-243. 

  2. Chang WC, Chan C. Rasch analysis for outcomes measure: Some methodological considerations. Arch Phys Med Rehabil. 1995;76(10):934-939. 

  3. Dallmeijer AJ, Dekker J, Roorda LD, et al. Differential item functioning of the functional independence measure in higher performing neurological patients. J Rehabil Med 2005;37(6):346-352. 

  4. Darr N, Franjoine MR, Campbell SK, et al. Psychometric properties of the pediatric balance scale using rasch analysis. Pediatr Phys Ther. 2015;27(4):337-348. https://doi.org/10.1097/PEP.0000000000000178 

  5. Duncan PW, Bode RK, Min Lai S, et al. Rasch analysis of a new stroke-specific outcome scale: The Stroke Impact Scale. Arch Phys Med Rehabil. 2003;84(7):950-963. 

  6. Franjoine MR, Gunther JS, Taylor MJ. Pediatric balance scale: A modified version of the berg balance scale for the school-age child with mild to moderate motor impairment. Pediatr Phys Ther. 2003;15(2):114-128. 

  7. Franjoine MR, Darr N, Held SL, et al. The performance of children developing typically on the Pediatric Balance Scale. Pediatr Phys Ther. 2010;22(4): 350-359. https://doi.org/10.1097/PEP.0b013e3181f9d5eb 

  8. Hadders-Algra M. Development of postural control during the first 18 months of life. Neural Plast. 2005;12(2-3):99-108. 

  9. Huxham FE, Goldie PA, Patla AE. Theoretical consideration in balance assessment. Aust J Phsiother. 2001;47(2):89-100. 

  10. Kim GM, Park SY, Yi CH. A Rasch analysis of the Korean version of Oswestry Disability Questionnaire according to general characteristics of patients with low back pain. Phys Ther Korea. 2011;18(2):35-42. 

  11. Klein PJ, Fiedler RC, Rose DJ. Rasch analysis of the Fullerton Advanced Balance (FAB) Scale. Physiother Can. 2011;63(1):115-125. https://doi.org/10.3138/ptc.2009-51 

  12. Ko MS, Lee NH, Lee JA, et al. Inter-examiner reliability of the Korean version of the Pediatric Balance Scale. Phys Ther Korea. 2008;15(1):86-95. 

  13. Liao HF, Jeng SF, Lai JS et al. The relation between standing balance and walking function in children with spastic diplegic cerebral palsy. Dev Med Child Neurol. 1997;39(2):106-112. 

  14. Linacre JM. Optimizing rating scale category effectiveness. J Appl Meas. 2002;3(1):85-106. 

  15. Lunz ME, Wright BD, Linacre JM. Measuring the impact of judge severity on examination scores. Appl Meas Educ. 1990;3(4):331-345. 

  16. Rosenbaum PL, Walter SD, Hanna SE, et al. Prognosis for gross motor function in cerebral palsy: Creation of motor development curves. JAMA. 2002;288(11):1357-1363 

  17. Rosenbaum P, Paneth N, Leviton A, et al. A report: The definition and classification of cerebral palsy April 2006. Dev Med Child Neuro Suppl. 2007;109(Suppl 109):8-14. 

  18. Shimizu K, Asai M, Takata S, et al. The development of equilibrium function in childhood. In: Taguchi K, Igarashi M, eds. Vestibular and Neural Front: Proceedings of the 12th international symposium on posture and gait, Matsumoto. 1st ed. Amsterdam, Elsevier Science, 1994. 

  19. Shumway-Cook A, Hutchinson S, Kartin D, et al. Effect of balance training on recovery of stability in children with cerebral palsy. Dev Med Child Neurol. 2003;45(9):591-602. 

  20. van der Heide JC, Begeer C, Fock JM, et al. Postural control during reaching in preterm children with cerebral palsy. Dev Med Child Neurol. 2004;46(4):253-266. 

  21. Verbecque E, Lobo Da Costa PH, Vereeck L, et al. Psychometric properties of functional balance tests in children: A literature review. Dev Med Child Neurol. 2015;57(6):521-529. https://doi.org/10.1111/dmcn.12657 

  22. Woollacott MH, Shumway-Cook A. Postural dysfunction during standing and walking in children with cerebral palsy: What are the underlying problems and what new therapies might improve balance? Neural Plast. 2005;12(2-3):263-272. 

  23. Wright BD, Linacre JM. Reasonable mean-square fit values. Rasch Meas Trans. 1994;8(3):370.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원문 보기

원문 URL 링크

*원문 PDF 파일 및 링크정보가 존재하지 않을 경우 KISTI DDS 시스템에서 제공하는 원문복사서비스를 사용할 수 있습니다.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