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Surface soil is one of the most important resources that have many functions for human needs such as conservation of water resource, purification of contaminated materials, and productivity of food or energy. However, the surface soil is a limited resource that cannot be recovered readily for a long...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또한 표토의 등급을 사용자가 원하는 유역에 대해 제공이 가능한 시스템이 없어 전 국적으로 구축된 데이터베이스를 가공하여 사용해야하기 때문에 GIS를 모르는 사용자 입장에서 사용에 어려움이 존재하고 있다. 그리하여 본 연구에서는 별도의 입력자료 없이 표토정보를 쉽게 확인할 수 있으며, 사용자가 원하는 유역을 설정하여 원하는 데이터를 제공받을 수 있는 수계기반 표토정보 시스템을 개발하게 되었다. 본 연구에서 개발한 수계기반 표토정보 시스템은 농업적 측면과 함께 표토의 환경적, 경제적 정보를 함께 제공해줄 수 있는 시스템으로 기존 시스템과 차별화 된 시스템이다.
  • 표토의 질은 외부변화에 민감하고, 상황 의존적 개념이기 때문에 직접적으로 측정될 수 없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표토의 화학적, 물리적, 생물학적 성질로써 표토기능을 평가해야 한다. 본 연구에서는 2014년 환경부에서 진행된 표토의 복합적 질 평가 및 최적관리 시스템 구축 과업에서 사용한 표토 질 평가 데이터를 사용하여 데이터 베이스를 구성했다(Fig.
  • 본 연구를 통해 개발된 수계기반 표토정보 시스템의 데이터베이스를 적용하기 위해 행정구역 및 권역별 표토 질 평가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였다. 행정구역별 데이터베이스 구축 결과, 국내 도별 행정도는 총 16개의 특별시, 광역시, 도로 구분되어 있으며, 본 시스템에서는 제주도를 제외한 나머지 15개 행정구역을 기반으로 표토 질 평가 데이터베이스를 분할하여 시스템에 적용했다.
  • 본 연구에서 개발한 수계기반 표토정보 시스템의 성능을 확인하기 위해 임의의 유역에 대한 표토등급 정보와 제공되는 데이터베이스를 확인했다.
  • 본 연구에서는 2012년 환경부에서 진행된 표토의 복합적 질 평가 및 최적관리 시스템 구축 과업을 통해 구축된 표토 기능과 질 지표관계를 기반으로 구축된 6가지 표토의 기능데이터베이스를 국내 수계기반 표토정보 시스템에 활용하기 위해서 행정구역 및 권역별로 데이터를 분할하였다(Fig. 2).
  • 이에 본 연구에서는 이전에 구축된 표토 질 평가 데이터베이스를 활용성 및 접근성을 높이기 위해 Web-GIS 수계기반 정보시스템을 개발하였다. 개발된 시스템은 1) 별로의 입력 자료 없이 맵과 주소 검색을 통해 사용자가 원하는 지역의 표토정보를 쉽게 확인할 수 있으며, 2) 사용자가 GIS 데이터를 필요로 할 경우, 다운로드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환경부의 연구에서 표토의 질을 평가하는 기준은? 특히, 환경부에서 2012년부터 2014년까지 진행된 “표토의 복합적 질 평가 및 최적 관리 시스템 구축” 연구에서는 표토의 질을 평가할 수 있는 기능에(바이오매스 생산, 지하수함량, 자연식생 서식지, 탄소저장, 중금속 흡착, 토양유실실태) 따라 전국단위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고, 표토의 질 평가 및 관리를 위한 Web 기반 시스템을 구축하였다. Web 기반 시스템은 설치비용이 들지 않으며, 별도의 업데이트 없이 사용자들에게 최신 정보를 제공해 줄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환경부에서 구축한 표토 질 평가 데이터베이스의 문제점은? 하지만 환경부에서 구축된 전국단위 표토 기능 별 데이터베이스와 Web 기반 시스템은 비전문가가 사용하기에는 제한점이 있다. 1) 구축된 전국단위 데이터베이스는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 (GIS) 기반 데이터로 특정 프로그램 없이 사용할 수 없으며, 2) 토양 질 평가 관리 툴은 pH, Soil Organic Matter (SOM, %), Electrical Conductivity(EC)와 같은 토양의 화학적 특성 값들을 입력해야 분석이 가능하다. 3) 또한 토양의 화학적 특성 값들을 모를 경우, 농업기술센터에 토양샘플을 보내 토양분석을 의뢰해야 한다.
표토는 무엇이며 어떤 역할을 하는가? 토양은 깊이에 따라 표토, 심토, 모질물, 기반암 층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 중 표토는 지표면으로부터 약 7~25 cm에 위치하고 있으며, 유기물 및 미생물이 풍부하여 식물의 양분과 수분의 공급원 역할을 수행하고 있다(Weil Ray R. et al., 2016). 이뿐만 아니라 표토는 수자원 보존과 오염원의 정 화,식량 및 에너지 생산 등 인간이 살아가는데 필요한 기능을 지니고 있는 중요한 자원이다(National Research Council, 1993). 하지만 농업활동 및 개발에 의해 많은 양의 표토가 유실되어 왔으며, 부적절한 관리로 인해 표토의 기능이 저하되고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2)

  1. Geoserver Web GIS engine (Geoserver), http://geoserver.org [accessed 17.10.13] 

  2. McBratney, Alex, Damien J. Field, and Andrea Koch. 2014, The dimensions of soil security. Geoderma 213. 203-213. 

  3. Ministry of Environment, 2014, Evaluating Multifunctional Quality of Topsoil and Developing the Optimized Management System, Ministry of Environment. p.273-281. 

  4. National Geographic Information Institute, 2009, http://www.ngii.go.kr/ [accessed 17.10.21] 

  5. National Institute of Environmental Research (NIER), 2011, A Study on Standardization and Construction of Korean Reach File in Three Major River Basins. Ministry of Environment. p.35-47. 

  6. National Research Council., 1993, Soil and water quality: an agenda for agriculture. National Academies Press. p.507-519. 

  7. OpenLayers, http://openlayers.org [accessed 17.10.13] 

  8. Sung, Y.S., Yang, J.E., Kim, S.C., Ryu, J.C., Jang, W.S., Kum, D.H., and Lim, K.J., 2015. Development of Composite Soil Quality Index Evaluation System based on Web GIS, J. Korean Soc. Water Environ., 31(6), 693-699. 

  9. Spatial and Geographic object for PostgreSQL (PostGIS) http://postgis.net [accessed 17.10.21] 

  10. TauDEM. 2017, http://hydrology.usu.edu/taudem/taudem5/ [accessed 17.10.18] 

  11. USDA National ResourcesConservation Service (NRCS) the East National Technology Support Center (ENTSC), http://soilquality.org/home.html [accessed 17.09.21] 

  12. Weil, Ray R., Nyle C. Brady, and Ray R. Weil., 2016, The nature and properties of soils, 15th edition, Pearson, p.861-991.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