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유도적 돌연변이 유발 방법을 통한 1-ethyl-3-methylimidazolium acetate에 대해 내성을 갖는 돌연변이 효모 선별
Isolation of Mutant Yeast Strains having Resistance to 1-ethyl-3-methylimidazolium Acetate through a Directed Evolutionary Approach 원문보기

Microbiology and biotechnology letters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v.45 no.1, 2017년, pp.51 - 56  

이유진 (강원대학교 생물공학과) ,  권덕호 (강원대학교 생물공학과) ,  박재범 (강원대학교 생물공학과) ,  하석진 (강원대학교 생물공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목질계 바이오 매스 전처리에 사용되는 ionic liquid는 전처리 후 100% 회수되지 않아 잔존하는 ionic liquid의 독성이 직접적으로 미생물 균주의 생육에 나쁜 영향을 미쳐 에탄올 발효의 수율 및 생산성을 저해하는 문제를 가지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ionic liquid에 저해를 받지 않으며 높은 ethanol 생산 효율을 가진 균주를 얻고자 유도적 돌연변이 유발 실험을 진행하였다. 선별된 돌연변이 균주 D452-B2와 D452-S3는 3% [EMIM][Ac]가 포함된 배지에서 glucose 소비속도는 $4.5g{\cdot}l^{-1}{\cdot}h^{-1}$$4.4g{\cdot}l^{-1}{\cdot}h^{-1}$로 모균주인 S. cerevisiae D452-2 균주에 비해 6배 가량 증가하였으며, ethanol 생산성은 각각 $1.99g{\cdot}l^{-1}{\cdot}h^{-1}$$2.0g{\cdot}l^{-1}{\cdot}h^{-1}$로 27배 가량 증가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Cellulosic biomass is a renewable source for biofuel production from non-edible biomass. An optimized pretreatment process is required for the efficient utilization of cellulosic biomass. Among various pretreatment processes, the use of ionic liquids has been reported recently. However, the residual...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다양한 ionic liquid 중에서 1-ethyl-3-methylimidazolium acetate ([EMIM][Ac])에 대한 내성이 증가된 돌연변이 효모 균주를 개발하는데 있다. 유도적 돌연변이 유발 방법(directed evolutionary approach)을 통해 돌연변이를 유발하여 [EMIM][Ac]에 대한 내성이 증가된 돌연변이 균주를 선별하였으며 최종적으로 [EMIM][Ac]가 포함된 배지에서 효과적인 에탄올 생산 능력을 비교하였다.
  • 바이오매스로부터 에탄올을 생산하기 위해 주로 사용되는 효모인 S. cerevisiae를 이용하여 [EMIM][Ac]에 내성을 가진 돌연변이 효모 균주를 선별하기 위한 실험을 진행하였다. S.
  • 목질계 바이오 매스 전처리에 사용되는 ionic liquid는 전처리 후 100% 회수되지 않아 잔존하는 ionic liquid의 독성이 직접적으로 미생물 균주의 생육에 나쁜 영향을 미쳐 에탄올 발효의 수율 및 생산성을 저해하는 문제를 가지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ionic liquid에 저해를 받지 않으며 높은 ethanol 생산 효율을 가진 균주를 얻고자 유도적 돌연변이 유발 실험을 진행하였다. 선별된 돌연변이 균주 D452-B2와 D452-S3는 3% [EMIM][Ac]가 포함된 배지에서 glucose 소비속도는 4.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제 2세대 목질계 바이오 매스란 무엇인가? 하지만 이러한 바이오 에탄올의 생산 원료는 옥수수 또는 사탕수수와 같은 식량자원이 이용되기 때문에 식량문제와 곡물가격 상승에 대한 새로운 문제를 야기하고 있다[1−4].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고자 식량자원이 아닌 폐목재, 나무 등 비식용 바이오 매스인 제 2세대 목질계 바이오 매스에 대한 연구가 많이 진행되고 있다[2, 5]. 목질계 바이오 매스는 cellulose, hemicellulose, lignin으로 구성되어 있으며[6, 7], 그 중 cellulose와 hemicellulose는 미생물 발효에 사용될 수 있는 단당류로 가수분해 될 수 있는 기질이기 때문에 대체 에너지원으로서 주목을 받고 있다[7, 8].
바이오 에탄올 사용이 야기하는 문제점은? 차세대 청정에너지로 각광받고 있는 바이오 에너지 중 에서 가장 널리 이용되는 바이오 에탄올의 생산은 미국과 브라질에서 90% 이상 생산하고 있다. 하지만 이러한 바이오 에탄올의 생산 원료는 옥수수 또는 사탕수수와 같은 식량자원이 이용되기 때문에 식량문제와 곡물가격 상승에 대한 새로운 문제를 야기하고 있다[1−4].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고자 식량자원이 아닌 폐목재, 나무 등 비식용 바이오 매스인 제 2세대 목질계 바이오 매스에 대한 연구가 많이 진행되고 있다[2, 5].
목질계 바이오 매스를 효과적으로 이용하기 위해 cellulose를 둘러싸고 있는 lignin을 제거하는 전처리 과정이 필요한데, 이 과정 중 ionic liquid 방식의 장점은? 목질계 바이오 매스를 효과적으로 이용하기 위해서 cellulose를 둘러싸고 있는 lignin을 제거하는 전처리 과정이 필요하다[9]. 다양한 전처리 방법들 중 ionic liquid는 양이온과 음이온의 이온 결합으로 이루어진 이온성염 화합물이며 비폭발성, 낮은 휘발성과 열적 안정성 외에도 효소의 우수한 반응성, 선택성, 안정성 등의 장점으로 인해 목질계 바이오 매스 전처리에 주로 사용된다[5, 10, 11].  Ionic liquid는 cellulose를 용해시킬 수 있다고 이전에 증명된 바 있으며[12], 산이나 암모니아를 사용하는 기존의 방법보다 ionic liquid를 이용한 전처리가 더 효과적이라고 알려져 있다[13]. 또한 ionic liquid 처리된 cellulose의 경우 미처리 된 것 보다 결정체가 적기 때문에 분해효소인 cellulase와 쉽게 반응할 수 있다[14, 15]. 특히 다른 전처리 과정에서 생성되는 발효저해물질(furfural 또는 hydroxymethylfurfural) 생성되지 않는다는 점에서 크게 주목할 수 있다. 하지만 ionic liquid를 구성하는 양이온에서 치환된 알킬기 수뿐만 아니라 알킬체인 길이에 따라 다양한 독성 영향이 나타난다는 결과가 밝혀져 있다[16−19].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3)

  1. Tye YY, Lee KT, Abdullah WNW, Leh CP. 2016. The world availability of non-wood lignocellulosic biomass for the production of cellulosic ethanol and potential pretreatments for the enhancement of enzymatic saccharification. Renew Sustain Energy Rev. 60: 155-172. 

  2. Ajanovic A, Haas R. 2014. On the future prospects and limits of biofuels in Brazil, the US and EU. Appl. Energy 135: 730-737. 

  3. Ho S-H, Huang S-W, Chen C-Y, Hasunuma T, Kondo A, Chang J-S. 2013. Bioethanol production using carbohydrate-rich microalgae biomass as feedstock. Bioresour. Technol. 135: 191-198. 

  4. Sanchez OJ, Cardona CA. 2008. Trends in biotechnological production of fuel ethanol from different feedstocks. Bioresour. Technol. 99: 5270-5295. 

  5. Yamada R, Nakashima K, Asai-Nakashima N, Tokuhara W, Ishida N, Katahira S, et al. 2016. Direct ethanol production from ionic liquid-pretreated lignocellulosic biomass by cellulase-displaying yeasts. Appl. Biochem. Biotechnol. in press. 

  6. Shirkavand E, Baroutian S, Gapes DJ, Young BR. 2016. Combination of fungal and physicochemical processes for lignocellulosic biomass pretreatment-A review. Renew Sustain Energy Rev. 54: 217-234. 

  7. Su C-H, Chung M-H, Hsieh H-J, Chang Y-K, Ding J-C, Wu H-M. 2012. Enzymatic hydrolysis of lignocellulosic biomass in ionic liquid media for fermentable sugar production. J. Taiwan Inst. Chem. Eng. 43: 573-577. 

  8. Chakraborty S, Gaikwad A. 2010. Mixing effects in cellulasemediated hydrolysis of cellulose for bio-ethanol production. Ind. Eng. Chem. Res. 49: 10818-10825. 

  9. Labbe N, Kline LM, Moens L, Kim K, Kim PC, Hayes DG. 2012. Activation of lignocellulosic biomass by ionic liquid for biorefinery fractionation. Bioresour. Technol. 104: 701-707. 

  10. Lee S-M, Chang W-J, Koo Y-M. 2005. Application of ionic liquids in biotechnology. Korean J. Biotechnol. Bioeng. 20: 183-191. 

  11. Ninomiya K, Omote S, Ogino C, Kuroda K, Noguchi M, Endo T, et al. 2015. Saccharification and ethanol fermentation from cholinium ionic liquid-pretreated bagasse with a different number of post-pretreatment washings. Bioresour. Technol. 189: 203-209. 

  12. Zhu S, Wu Y, Chen Q, Yu Z, Wang C, Jin S, et al. 2006. Dissolution of cellulose with ionic liquids and its application: a mini-review. Green Chem. 8: 325-327. 

  13. Li C, Knierim B, Manisseri C, Arora R, Scheller HV, Auer M, et al. 2010. Comparison of dilute acid and ionic liquid pretreatment of switchgrass: biomass recalcitrance, delignification and enzymatic saccharification. Bioresour. Technol. 101: 4900-4906. 

  14. Elgharbawy AA, Alam MZ, Moniruzzaman M, Goto M. 2016. Ionic liquid pretreatment as emerging approaches for enhanced enzymatic hydrolysis of lignocellulosic biomass. Biochem. Eng. J. 109: 252-267. 

  15. Zhao H, Jones CL, Baker GA, Xia S, Olubajo O, Person VN. 2009. Regenerating cellulose from ionic liquids for an accelerated enzymatic hydrolysis. J. Biotechnol. 139: 47-54. 

  16. Kuroda K, Miyamura K, Satria H, Takada K, Ninomiya K, Takahashi K. 2016. Hydrolysis of cellulose using an acidic and hydrophobic ionic liquid and subsequent separation of glucose aqueous solution from the ionic liquid and 5-(Hydroxymethyl) furfural. ACS Sustain Chem. Eng. 4: 3352-3356. 

  17. Pham TPT, Cho C-W, Yun Y-S. 2010. Environmental fate and toxicity of ionic liquids: a review. Water Res. 44: 352-372. 

  18. Romero A, Santos A, Tojo J, Rodriguez A. 2008. Toxicity and biodegradability of imidazolium ionic liquids. J. Hazard. Mater. 151: 268-273. 

  19. Huddleston JG, Visser AE, Reichert WM, Willauer HD, Broker GA, Rogers RD. 2001. Characterization and comparison of hydrophilic and hydrophobic room temperature ionic liquids incorporating the imidazolium cation. Green Chem. 3: 156-164. 

  20. Nakashima K, Yamaguchi K, Taniguchi N, Arai S, Yamada R, Katahira S, et al. 2011. Direct bioethanol production from cellulose by the combination of cellulase-displaying yeast and ionic liquid pretreatment. Green Chem. 13: 2948-2953. 

  21. Sitepu IR, Shi S, Simmons BA, Singer SW, Boundy-Mills K, Simmons CW. 2014. Yeast tolerance to the ionic liquid 1-ethyl-3-methylimidazolium acetate. FEMS Yeast Res. 14: 1286-1294. 

  22. Yu C, Simmons BA, Singer SW, Thelen MP, VanderGheynst JS. 2016. Ionic liquid-tolerant microorganisms and microbial communities for lignocellulose conversion to bioproducts. Appl. Microbiol. Biotechnol. 100: 10237-10249. 

  23. Dickinson Q, Bottoms S, Hinchman L, McIlwain S, Li S, Myers CL, et al. 2016. Mechanism of imidazolium ionic liquids toxicity in Saccharomyces cerevisiae and rational engineering of a tolerant, xylose-fermenting strain. Microb. Cell Fact. 15: 17.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