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다양한 기저유출 분리 방법을 이용한 4대강 수계의 시간대별 (연·계절·월) 기저유출 기여도 분석
Analysis of Baseflow Contribution based on Time-scales Using Various Baseflow Separation Methods 원문보기

한국농공학회논문집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Agricultural Engineers, v.59 no.2, 2017년, pp.1 - 11  

이승찬 (Department of Regional Infrastructures Engineering, Kangwon National University) ,  김희연 (Department of Regional Infrastructures Engineering, Kangwon National University) ,  김효정 (Department of Regional Infrastructures Engineering, Kangwon National University) ,  한정호 (Department of Regional Infrastructures Engineering, Kangwon National University) ,  김성준 (Department of Civil & Environmental System Engineering, Konkuk University) ,  김종건 (Institute of Agriculture and Life Science, Kangwon National University) ,  임경재 (Department of Regional Infrastructures Engineering, Kangwon National University)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analysis of baseflow contribution is very significant in Korea because most rivers have high variability of streamflow due to the monsoon climate. Recently, the importance of such analysis is being more evident especially in terms of river management because of the changing pattern of rainfall a...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4대강 수계 (한강, 금강, 낙동강, 섬진・영산강)를 대상으로 다양한 기저유출 분리 방법을 이용해 하천유량 중 기저유출 기여도를 분석하고, 이를 통해 4대 강 수계에 대한 기저유출 기여도의 범위를 제시하는 데 있다. 또한 연단위 뿐만 아니라 계절 및 월 단위로 기저유출 기여도를 분석하고, 분석 결과를 통해 계절・월 단위 기저유출 기여도의 변화를 제시하는 데 있다.
  •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4대강 수계 (한강, 금강, 낙동강, 섬진・영산강)를 대상으로 다양한 기저유출 분리 방법을 이용해 하천유량 중 기저유출 기여도를 분석하고, 이를 통해 4대 강 수계에 대한 기저유출 기여도의 범위를 제시하는 데 있다. 또한 연단위 뿐만 아니라 계절 및 월 단위로 기저유출 기여도를 분석하고, 분석 결과를 통해 계절・월 단위 기저유출 기여도의 변화를 제시하는 데 있다.

가설 설정

  • 일 평균유량 자료를 통해 하천유량으로부터 기저유출을 분리하기 위해 널리 사용되고 있으며, 하천의 일 (day) 유량 데이터를 1차원 배열로 입력하여 선형 보간을 통하여 유출기간동안 기저유출을 추정한다 (Rutledge, 1998). PART는 Knisel and Sheridan (1983)가 제시한 방법으로 수문곡선 에서 강우로 인해 직접유출이 발생한 경우에 대해서만 기저유출을 분리하고 이 외 강우가 발생하지 않는 기간에 대해서는 하천유량과 기저유출을 같다고 가정을 한다. 기존의 방법 들이 기저유출 분리에서 선행강우의 영향을 받는 것과 달리 PART는 선행감수조건의 영향을 고려하여 기저유출을 분리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한국에서 여름에 4대강의 기저 유출 기여도가 낮은 이유는 무엇으로 보이나? 계절별 분석 결과 4대강 모든 수계에서 봄과 여름의 기저 유출 기여도가 낮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가을과 겨울의 기저 유출 기여도가 높게 분석되었다. 이러한 결과는 여름철에 집중된 강수량으로 인해 여름철 하천 유량에 대한 직접유출의 기여도가 상대적으로 증가하기 때문으로 판단된다. 이를 근거로 계절 특성이 분명한 국내 하천에 대한 기저유출 분석은 연별 분석보다 계절별 또는 월별 기저유출 분석이 보다 합리적인 것으로 판단되었다.
기저유출이란 무엇인가요? 여기서 직접유출이란 강우 시 비교적 짧은 시간에 지표를 통해 하천으로 유입되는 유출 형태를 말하는 것으로 홍수 발생에 큰 영향을 미친다. 이와 달리 기저유출이란 강우 시 땅속으로 침투된 물이 상대적으로 오랜 시간에 걸쳐 하천으로 이동하는 형태의 유출을 말하며, 건기 또는 청천시의 하천유량에 큰 영향을 미친다 (Choi, 2014). 하지만 땅속을 통해서 유출되는 이동 상 특성으로 인해 기저유출의 측정은 다양한 경제적・기술적 문제가 있다.
직접유출이란 무엇인가? , 2015). 여기서 직접유출이란 강우 시 비교적 짧은 시간에 지표를 통해 하천으로 유입되는 유출 형태를 말하는 것으로 홍수 발생에 큰 영향을 미친다. 이와 달리 기저유출이란 강우 시 땅속으로 침투된 물이 상대적으로 오랜 시간에 걸쳐 하천으로 이동하는 형태의 유출을 말하며, 건기 또는 청천시의 하천유량에 큰 영향을 미친다 (Choi, 2014).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3)

  1. Arnold, J. G., P. M. Allen, R. Muttiah, and G. Bernhardt, 1995. Automated baseflow separation and recession analysis techniques. Ground Water 33(6): 1010-1018. 

  2. Bloomfield, J. P., D. J. Allen, and K. J. Griffiths, 2009. Examining geological controls on baseflow index (BFI) using regression analysis: an illustration from the thames basin, UK. Journal of Hydrology 373(1): 164-176 

  3. Brodie, R. S. and S. Hostetler. 2005. A review of techniques for analysing baseflow from stream hydrographs. In Proceedings of the NZHS-IAH-NZSSS 2005 conference. 

  4. Choi, Y. H., Y. S., Park, J. C. Ryu, D. J. Lee, Y. S. Kim, J. D. Choi, and K. J. Lim, 2014. Analysis of baseflow contribution to streamflow at several flow stations. Journal of Korean Society on Water Environment 30(4): 441-451 (in korean). 

  5. Choi, Y. H., D. Kum, J. Ryu, Y. Jung, Y. S. Kim, J. H. Jeon, K. S. Kim, and K. J. Lim, 2015. A study of total nitrogen pollutant load through baseflow analysis at the watershed, Journal of Korean Society on Water Environment 31(1): 55-66 (in Korean). 

  6. Cho, S. H., 2006. Computation of baseflow contributionto streamflow using environmental tracers in threesmall catchments Yuseong, Daejeon. Ph.D diss., Choongnam National University, Deajeon (in Korean). 

  7. Eckhardt, K., 2005. How to construct recursive digitalfilters for baseflow separation. Hydrological Processes 19(2): 507-515. 

  8. Eckhardt, K., 2008. A comparison of baseflow indices, which were calculated with seven different baseflow separation methods. Journal of Hydrology 352(1): 168-173. 

  9. Han, J. H., K. J. Lim, and Y. H. Jung, 2016. Analysis of relationship between streamflow volatility and basin runoff contribution in the Nakdong river basin. Korean Society of Agricultural Engineers 27-38 (in Korean). 

  10. Hong, J. Y., K. J. Lim, Y. C. Shin, and Y. H. Jung, 2015. Quantifying contribution of direct runoff and baseflow to rivers in Han river system, South Korea. Journal of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48(4): 309-319 (in Korean). 

  11. Hwang, I. S., 2016. Analysis of correlation between physical properties and consolidation parameter of clay in Han and Geum river basin. Chungbuk University 46-47 (in Korean). 

  12. Jeong, S. Y. and K. C. Dong, 2010. Correlation analysis between groundwater Level and baseflow in the Geum river watershed, calculated using the WHAT SYSTEM. The journal of Engineering Geology 107-116 (in Korean). 

  13. Jeong, J. Y., 2006. Continuous streamflow simulation using baseflow separation and Nash's instantaneous unit hydrograph. MS Thesis, Dankook University, Seoul, Korea (in Korean). 

  14. Kang, D. S., 2011. Study on the change of river discharge and baseflow considering urbanization and climate change. MS Thesis, Kookmin University, Seoul, Korea (in Korean). 

  15. Kang, H. S. and S. M. Jun, 2015. Impact analysis of baseflow on river and ecosystem. Journal of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584-588 (in korean). 

  16. Kang, H. Y., S. H. Lee, J. S. Kim, and Y. I. Mun, 2015. Analysis and typology of hydrological fluctuation tendency of multipurpose dam. Korean Society of Disaster Prevention 15: 123-130 (in Korean). 

  17. Kim, B. S., H. H. Kwon, and H. S. Kim, 2011. Impact assessment of climate change on drought risk. Korean Wetlands Journal, 13(1): 1-11 (in Korean). 

  18. Kim, G. and H. Lee, 2009. Impacts of nitrate in base flow discharge on surface water quality,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ivil Engineers 29(1B): 105-109 (in Korean). 

  19. Korea Meteorological Administration (KMA). http://www.kma.go.kr/. Accessed 3 Jan. 2017. 

  20. Lee, J. M., Y. H. Jeong, Y. S. Pack, H. W. Kang, K. J. Lim, and H. S. Kim, 2014. Assessment of future climate change impact on groundwater recharge, baseflow and sediment in steep sloping watershed. Korean Wetlands Journal 16(2): 173-185 (in Korean). 

  21. Lee, S. H., T. J. An, B. M. Yun, and M. P. Shim, 2003. Application of tank model including snow and snowmelt simulations to Soyang river Dam and Chungju Dam. Journal of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851-861 (in Korean). 

  22. Lim, K. J., B. A. Engel, Z. Tang, J. Choi, K. S. Kim, S. Muthukrishnan, and D. Tripathy, 2005. Automated web GIS based hydrograph analysis tool, WHAT1. Journal of the American Water Resources Association 1407-1416. 

  23. Lyne, V. and M. Hollick, 1979. Stochastic time-variable rainfall runoff modelling. In: Hydrology and Water Resources Symposium, Berth. 1979 Proceedings. National Committee on Hydrology and Water Resourcesof the Institution of Engineers, Australia 89-92. 

  24. Nam, K. H., G. B. Kim, and G. C. Jeong, 2013. Baseflow comparison using the WHAT system and flow rate measurements in the dry and rainy seasons. The Geological Society of Korea 117-125 (in Korean). 

  25. Rutledge, A. T., 1998. Computer programs for describingthe recession of ground-water discharge and forestimating mean ground-water recharge and discharge from streamflow records: Update. US Department of the Interior, US Geological Survey, USA. 

  26. Sa, G. H., 2010. Proposals for assessment of the degree of topographic change in consideration of regional characteristics. Korea Environment Institute 4-10 (in Korean). 

  27. Schilling, K. E. and C. F. Wolter, 2001. Contribution of base flow to nonpoint source pollution loads in an agricultural watershed. Ground Water 39(1): 49-58. 

  28. Seo, J. S., 1975. Geographical study on the seasonal distribution of rainfall in Korea. Ewha University 4-14 (in Korean). 

  29. Shin, M. H., J. A. Lee, S. U. Chen, Y. J. Lee, K. J. Lim, and J. D. Choi, 2010. Analysis of the Characteristics of NPS Runoff and Application of L-THIA model at Upper Daecheong Reservoir.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Agricultural Engineers 52(1): 1-11 (in Korean). 

  30. Shirmohammadi, A., J. M. Sheridan, and W. G. Knisel, 1987. Regional application of an approximate streamflow partitioning method. Journal of the American Water Resources Association 23: 103-111. 

  31. Sloto, R. A. and M. Y. Crouse, 1996. HYSEP, a computer program for streamflow hydrograph separation and analysis. US Department of the Interior, US Geological Survey. 

  32. Um, M. J., C. S. Jeong, and W. C. Jo, 2009. Analysis of precipitation distribution in Gangwon-do using spatial analysis 1: Classification of precipitation and analysis of Seasonal and annual average precipitation. Korean Society of Disaster Prevention 103-113 (in Korean). 

  33. Willems, P., 2009. A time series tool to support the multi-criteria performance evaluation of rainfall-runoff models. Environmental Modeling & Software 24: 311-321.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