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과학교육에서 발명교육에 관한 과학교육자의 인식 조사
Perception of Science Educators about Invention Education in Science Education 원문보기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science education, v.37 no.1, 2017년, pp.17 - 24  

이봉우 (단국대학교) ,  심규철 (공주대학교) ,  김희백 (서울대학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에서는 과학교육 연구자와 과학교사를 비롯한 과학교육자들의 발명교육에 대한 인식을 조사하였다. 과학교육자들의 발명교육에 대한 인식 조사 도구는 과학교육에서 발명교육의 필요성, 과학교육과 발명교육의 관련성, 과학교사들을 위한 발명교육 연수 요구도 등으로 구성하였다. 연구 대상은 과학교육 연구자 52명과 과학교사 67명으로 총 119명이었다. 설문 조사 결과 과학교육자들은 과학교육에서 발명교육을 포함하는 것에 대해서 상당히 긍정적으로 인식하고 있었으며, 과학교육과 발명교육은 매우 관련성이 높게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발명교육에 대한 현재 이해 수준이 평균을 약간 상회하여 그리 높지 않았으며, 과학교육에서 발명기법의 활용을 위해 과학교사들을 위한 발명교육 연수가 필요하다는 인식을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대부분 과학교육자들은 발명교육이 과학과 교육과정에 직접적으로 포함되기 보다는 비교과 활동에서 우선 시행하는 것을 선행할 필요가 있다는 의견을 제시하였다. 또한 실생활 연계, 공학적 설계 및 창의적 사고 등의 측면에서 발명기법이나 발명 교육전략을을 활용한다면 과학교육에도 도움이 되리라 생각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perception of science educators (science research experts and science teachers) about invention education in science education. The instrument in surveying their perception consisted of the necessity of invention education in science education, the connect...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과학교육과 발명교육의 관련성에 대한 인식은 발명교육의 소양기준(Seo et al., 2006)의 각 세부 기준들이 과학교육과 어느 정도 관련이 있는지 질문하였다. 발명소양기준은 발명의 본성 5가지, 발명과 사회2가지, 현대 사회와 발명의 8가지, 발명품의 평가⋅유지보수⋅개선점도출의 3가지, 새로운 발명품의 설계의 3가지, 새로운 발명품의 개발과 지적재산권의 4가지 등과 같이 6가지 영역에 대해서 총 25개의 기준으로 구성되어 있다.
  • 본 연구에서는 과학교육 연구자와 과학교사들을 비롯한 과학교육자들의 과학교육에서의 발명교육 필요성과 관련성 그리고 발명교육에 대한 이해 수준과 과학교사를 위한 연수 요구 수준에 대한 인식을 조사하였다.
  • 따라서 과학 교육에서 발명을 포함하는 것이 어느 정도 필요한지, 또 필요하다면 어떻게 해야 할 지에 대한 합의가 이루어질 필요가 있다. 이런 맥락에서 본 연구에서는 과학 교사 및 과학교육 연구자들이 과학 교육에서 발명교육을 연계하여 학습하는 것에 어떠한 인식을 가지고 있는지 살펴보고자 한다. 조사를 통해서 알아보고자 하는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미래 사회는 어떤 사회라고 보는가? 21세기는 지식 기반 사회를 지나 정보 지능 시대로 향해 가고 있고, 4차 산업 혁명 시대의 도래가 화두가 되고 있으며 이를 바탕으로 한 세계 경제 패러다임의 변화에 따라 창의성이 더욱 중시하는 사회로 성장하고 있다(UBS, 2016). 미래 사회는 첨단 과학기술을 기반으로 혁신적인 융⋅복합 영역이 창출되는 사회이며, 최고 수준의 과학적 문제 해결력과 창의성을 발휘하는 전문가 집단이 견인시킬 수 있는 사회이기도 하다(MSIP, 2014). 따라서 창의적 경험과 융합을 기반으로 한 과학문화와 과학교육의 패러다임 혁신을 통해 미래 창의 인재를 양성할 필요가 있다.
과학 교사 대상 직무 연수에 대한 요구 수준을 토대로 무엇이 필요하다고 보이는가? 과학교육자들의 과학 교사 대상 직무 연수에 대한 요구 수준이 높았는데, 특히 발명교육 또는 지식재산 교육과 관련한 인식에서 과학교육에서 중요하게 생각하는 과학탐구와 창의성 관련한 문항에 대해서 교사 연수에 대한 요구 수준이 매우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발명 교육 또는 지식재산 교육의 특징과 매우 일치하는 부분이라 할 수 있는데, 발명교사 직무연수 프로그램에서 이러한 측면을 강조할 필요가 있다. 무엇보다도 과학 교사들을 대상으로 발명 교육 또는 지식재산 교육 측면에서 직무 연수를 실시하기 위해서는 발명 교육 표준을 기반으로 하는 이론적 연수와 마이크로 티칭 기법을 활용한 실천적인 연수를 실시하는 것이 필요하다. 과학 교사들의 직무 연수에 대한 요구는 이론적 측면 보다는 학교 현장에서 활용 가능한 실천적 측면의 요구가 높다.
창의적 인재는 무엇을 해야 한다고 보는가? 창의적 인재는 창의적인 사고를 활용하여 문제를 해결하며, 새로운 결과물을 만들어낼 수 있어야 한다(Kim & Chung, 2007). 이러한 인재를 양성하기 위해서는 다양한 영역을 경험하게 하고 융합할 수 있는 사고 능력을 함양하여 문제 해결력을 향상시킬 수 있어야 한다(Lee, 2008; Lee & Oh, 2012, Lee et al.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0)

  1. Ahn, J., & Kwon, N. (2012). The analysis on domestic research trends for convergence and integrated science education. Journal of Korean Association for Science Education, 32(2), 265-278. 

  2. Bang, D., Park, E., Yoon, H., Kim, J., Lee, Y., Park, J., Song, J., Dong, H., Shim, B., Lim, H., & Lee, H. (2013). The design of curricular framework for integrated science education based on big ideas.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Science Education, 33(5), 1041-1054. 

  3. BMBF(Federal Ministry of Education and Research) (2011). Germany - Israel Science and Technology, Education and Research. Division for Cooperation with European Countries, Israel 53170 Bonn, Germany 

  4. Byun, M., & Cho, M. (2016). Examining ways to support engineering students for choosing a project topic in interdisciplinary collaboration. Journal of Engineering Education Research, 19(1), 37-46. 

  5. Curriculum Standing Committee of National Education Professional Associations (CSCNEPA). (2007). Developing a 21st century school curriculum for all Australian students. Retrieved from http://www.acsa.edu.au/pages/images/CSCNEPA_paper_June087.pdf. 

  6. DFE(Department for Education) (2014). The national curriculum in EnglandFramework document. Department for Education, UK. 

  7. Kim, E. K. (2016). Inventive Problem Solving using IFR. Asia-pacific Journal of Multimedia Services Convergent with Art, Humanities, and Sociology, 6(9), 473-481. 

  8. Kim, S., & Chung, U. (2007). Creative human capital as future growth engine and educational innovation. Korean Economic Journal, 46(4), 187-214. 

  9. Kwon, H, Lee, E, & Lee, D. (2016). Meta-analysis on the Effectiveness ofInvention Education in SouthKorea: Creativity, Attitude, and Tendency for Problem Solving. Journal of Baltic Science Education, 15(1), 48-57. 

  10. Lee, C. S. (2006). Interdisciplinary Connection of Content Standard of Invention Education. Proceeding of the Public hearing for establishing standard of contents of invention education contents and education contents system, pp. 53-81. 

  11. Lee, H., Kwon, H., Park, K., Jung, C., Oh, H., & Nam, J. (2012). The effects of integrated science instruction : A Meta-analysis on scientific knowledge, scientific Inquiry ability, and science-related attitude. Korean Journal of Teacher Education, 28(2), 223-246. 

  12. Lee, K., & Oh, E. (2012). A study on the perception of curriculum for cultivating students’ creativity in secondary school. Journal of Curriculum Integration, 6(1), 45-68. 

  13. Lee, I. (2008). Convergence of knowledge. Seoul: Godswin. 

  14. Maeng, H. J., & Seo, H. A. (2010). Characteristics of Learning Contents and Activities According to the Invention Education Managerial System for the Gifted at Elementary School Level. Journal of Korean Elementary Science Education, 29(1), 1-12. 

  15. MSIP(Ministry of Science, ICT and Future Planning) (2014). Endless imagining room operations manual. Ministry of Science, ICT and Future Planning, Korea. Retrieved from https://www.kofac.re.kr/?page_id1677&uid4277&moddocument. 

  16. MOE(Ministry of Education) (2015). 2015 revised curriculum -Science-. Seoul: Ministry of Education. 

  17. MOE(Ministry of Education and Science Technology) (2009). High school science curriculum manual. Ministry of Education and Science Technology. 

  18. NRC(National Research Council) (2012). A framework for K-12 science education: practices, crosscutting concepts, and core ideas. Washington, D.C.: National Academy of Sciences. 

  19. New Zealand Ministry of Education. (2007). The New Zealand curriculum. New Zealand: Ministry of Education. 

  20. OECD (2007). PISA 2006: Science competencies for tomorrow's world. Volume I: Analysis. Paris: OECD. 

  21. PCAST(The President's Council of Advisors on Science and Technology) (2010). Prepare and Inspire: K-12 Science, Technology, Engineering, and Math (STEM) Education for America's Future. Executive Report, President's Council of Advisors on Science and Technology, USA. 

  22. Peppler, K., & Bender, S. (2013). Maker movement spreads innovation one project at a time. Phi Delta Kappan, 95(3), 22-27. 

  23. Schweingruber, H. A., Quinn, H., Keller, T. E., & Pearson, G. (2013). A Framework for K-12 Science Education-Looking Toward the Future of Science Education. The Bridge, 43(1), 43-50. 

  24. Seo, H., Jung, H., Son, J., Lee, B., & Maeng, H. (2006). Development of content standards for invention education. CR2006-57. Korean Educational Development Institute. 

  25. Solomon, J., & Aikenhead, G. S. (Eds.). (1994). STS education: international perspectives on reform. New York: Teachers College Press. 

  26. Son, J. (2014). The method of Invention educational approaches in science education curriculum dimension when developed integrated curriculum. Korea Association for Gifted Children Alliance Conference, 2014(1), 103-110. 

  27. Son, Y, Pottenger III, F. M., King, A., Young, D., & Choi, D. (2001). Theory and practice of curriculum design for integrated science education.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Research in Science Education, 21(1), 231-254. 

  28. UBS (2016). Extreme automation and connectivity: The global, regional, and investment implications of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UBS White Paper for the World Economic Forum, Annual Meeting 2016. 

  29. Yakman, G. (2007). STEAM education: an overview of creating a model of integrative education. Paper presented at the ITEEA annual conference. 

  30. Zeidler, D. L., Sadler, T. D., Simmons, M. L., & Howes, E. V. (2005). Beyond STS: a research-based framework for socioscientific issues education. Science Education, 89(3), 357-377.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