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사삼(沙蔘), 양유(羊乳), 제니(薺苨)의 감별기준 연구
Discriminative criteria of Adenophorae Radix, Codonopsis Lanceolatae Radix and Adenophorae Remotiflori Radix 원문보기

大韓本草學會誌 = The Korea journal of herbology, v.32 no.2, 2017년, pp.33 - 40  

박은상 (우석대학교 한의과대학 본초학교실) ,  이세리 (우석대학교 한의과대학 본초학교실) ,  정종민 (우석대학교 한의과대학 본초학교실) ,  송명규 (우석대학교 한의과대학 본초학교실) ,  윤지현 (우석대학교 한의과대학 본초학교실) ,  주영승 (우석대학교 한의과대학 본초학교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Objectives : This study is aimed at establishing the discriminative criteria for Adenophorae Radix (AT; Sasam), Codonopsis Lanceolatae Radix (CL; Yangyu) and Adenophorae Remotiflori Radix (AR; Jeni). Because of confusable publications and the similitude of herb shape, CL and AR have been used as AT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문제 정의

  • 이에 저자는 현실적인 필요성과 이전 연구의 검증 및 보완차원에서 沙蔘, 羊乳, 薺苨의 외・내부형태특징을 추적한 바, 유의성 있는 결과를 얻어 보고하는 바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沙蔘는 무엇인가? 沙蔘은 초롱꽃과(桔梗科 : Campanulaceae)에 속한 多年生草本인 잔대 Adenophora triphylla var. japonica Hara 및 당잔대(沙蔘) A. stricta Miq.의 根1)으로, 가을에 채취하여 건조한다2). 중국3)에서는 南沙蔘의 기원을 윤엽사삼(輪葉沙蔘) A.
沙蔘은 어떠한 효능을 가지고 있으며, 어디에 응용되는가? 의 根으로 하고 있다. 沙蔘은 性味가 甘微寒하고 肺·胃로 歸經하고 養陰淸肺, 祛痰止咳하는 효능으로 肺熱燥咳, 虛勞久咳, 乾咳稠痰, 氣陰不足, 煩熱口乾, 傷陰咽乾喉痛 등에 응용된다2).
한약재유통시장에서 혼재되어 유통되는 沙蔘, 羊乳, 薺苨의 효능차이는 무엇인가? 하지만 이와 같은 효능차이에도 불구하고 한약재유통시장에서는 오랫동안 이 3가지가 혼용되어 현재에 이르고 있다. 비교하자면, 沙蔘은 祛痰작용이 강하고 羊乳와 薺苨는 沙蔘의祛痰力에는 미치지 못하지만 유사한 효능을 나타내며 이중 羊乳는 催乳 작용이 특징적이고 薺苨는 淸熱解毒 작용이 특징적이다5). 이러한 사용상의 혼란은 3종 모두 같은 초롱꽃과(桔梗科)에 속한다는 점6)과 특히 沙蔘과 薺苨의 경우 같은 잔대屬이라는 점에 연유한 것으로 추정되며, 여기에 덧붙여지는 문헌상의 오류는 혼란을 부추긴 점이 많았는데 우리나라의 경우에는 대표적인 한방의서인 ≪鄕藥集成方≫과 ≪東醫寶鑑≫에서 시작되었음7-8)을 알 수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5)

  1. Korea Food & Drug Administration. The Korean Herbal Pharmacopoeia. The KFDA Notification No. 2016-92. 2016 Aug 29th. 

  2. Herbology editorial committee of Korean medicine schools. Herbology. Seoul : Yeonglimsa. 2007 : 495. 

  3. Pharmacopoeia Commission of the People's Republic of China. Pharmacopoeia of the People's Republic of China, 2015 ed. Beijing : China Medical Science and Technology Press. 2015 : 244-5. 

  4. Pharmacopoeia Committee of the DPRK. Pharmacopoeia of Democratic People's Republic of Korea. 7th ed. Pyeongyang : Medicine and Science Press. 2011 : 311-2. 

  5. Ju YS. Ungok Herbology. 2nd ed. Jeonju : Woosuk press. 2013 : 33-53, 1325-8. 

  6. Kim JY, Lee YJ. A study on a morphological identification of Adenophora triphylla var. japonica, Codonopsis lanceolata, Adenophora remotiflora and Codonopsis pilosula. Kor J Herbol. 2007 ; 22(2) : 121-6. 

  7. Nam EH. Botanical origin of ADENOPHORAE RADIX [master's thesis]. [Seoul] : Seoul University ; 2014. 57p. 

  8. Seo MW. A study on morphological and genetic standard in Adenophorae Radix and Codonopsitis Lanceolatae Radix [dissertation]. [Jeollabukdo] : Woosuk University ; 2003. 48p. 

  9. Kim JH, Ahn DK. A comparative study on rate of free sugar and effectiveness of Adenophorae Remotiflori Radix and Adenophorae Radix. Kor J Herbol. 1993 ; 7(1) : 3-13. 

  10. Li SZ[李時珍]. Bencaogangmu[本草綱目]. Ming period, 1578. In : Chen GT[陳貴廷], ed. Bencaogangmutongshi [本草綱目通釋]. Beijing : Academy Press (Xue Yuan). 1992 : 481-4. 

  11. Yu HT[兪孝通], Roh JR[盧重禮], Park YD[朴允德], et al. Hyangyakchaechwiwollyeong[鄕藥採取月令]. Joseon period, 1431. In : Ahn DK[安德均], ed. Hyangyakchaechwiwollyeong[鄕藥採取月令]. Seoul : King Sejong the Great Memorial Society. 1983 : 2. 

  12. Heo J[許浚]. Donguibogam[東醫寶鑑]. Joseon period, 1610. In : Donguimunheonyeongusil[東醫文獻硏究室], trans. Sinpyeon.Daeyeok Donguibogam[新編.對譯 東醫寶鑑]. Seoul : Bubin Publishers. 2005 : 3476-7. 

  13. unknown. Shennongbencaojing[神農本草經]. Han period, unknown. In : Sun XY[孫星衍], Sun FY[孫馮翼], eds. Shennongbencaojing[神農本草經]. Taiyuan (CN) : Shanxi Science And Technology Publishing House. 1991 : 33. 

  14. Ju YS, Seo YB, Choo BK. Korean Medicinal Materials [本草鑑別圖鑑] Volume 1. Daejeon : Korea Institute of Oriental Medicine. 2014 : 166-77. 

  15. Tao HJ[陶弘景]. Mingyibielu[名醫別錄]. Han period, unknown. In : Shang ZJ[尙志鈞], ed. Mingyibielu (Jijiaoben)[名醫別錄(輯校本)]. Beijing : People's Health Publishing House. 1986 : 152.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