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한국산 백합속(Lilium) 내 말나리절의 분류학적 검토
A taxonomic note of the genus Lilium section Martagon in Korea 원문보기

식물분류학회지 = Korean journal of plant taxonomy, v.47 no.1, 2017년, pp.46 - 50  

송지희 (용인대학교 환경과학대학 생명과학과) ,  이웅빈 (용인대학교 환경과학대학 생명과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백합속(Lilium)은 백합과에 속하는 식물로 북반구의 온대지역에 100 종 이상이 분포하는 비교적 큰 분류군이다. 최근 수행된 백합속 식물에 대한 연구들을 참조하여 한국산 Martagon절의 3종(하늘말나리, 말나리, 섬말나리)에 대한 분류학적 검토를 진행하고자 하였다. 백합속에서 가용한 염기서열엽록체 유전체의 4개 부위 rbcL, matK, ndhF, atpB를 선정하여 계통수를 작성하였다. 그 결과, 한국산 Martagon절 3종은 단계통군인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이들은 한편 측계통군인 Sinomartagon절에 속하는 것이었다. 추가적으로, 형태형질과 계통수의 분지양상에 대해 비교 분석하였고 한국산 식물들에 대한 분류학적 유연관계를 논의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genus Lilium comprises about 100 species and is a major element of the family Liliaceae in temperate region of North Hemisphere. In the light of recent studies on the genus, we tried to examine the taxonomy of three Korean species (L. hansonii, L. tsingtauense, and L. distichum) belonging to sec...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결론적으로 이번 연구결과는 백합속 Martagon절 내 유연관계에서 이전의 연구결과와는 다른 진화방향을 제시하였다. 기존의 형태학적 연구와 현재의 분자생물학적 연구의 차이는 추후 세포학적 및 다른 마커를 이용한 유전학적 연구를 비롯한 다각적인 연구를 통해 추가적으로 논의되어야 할 것이다.
  • 따라서 자원으로서의 가치가 높고 분포중심지인 한국산 백합속 Martagon절 식물들의 계통분류학적 연구를 수행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Matagon절 식물이 다른 백합속과 구분되는 특성은? 백합속 Matagon절 식물은 한국 고유종인 섬말나리를 포함하여 전 세계에 4종이 분포하며, 섬말나리의 경우 5–6월, 하늘말나리와 말나리의 경우 6–8월에 개화한다. 특히 1–4층의 윤생엽과 산생엽을 가지고, 윤생엽의 연녹색 무늬가 뚜렷하며, 삭과에 날개를 형성하는 것이 백합속의 다른 절과 구분된다. 또한 종자가 다른 절에 비해 무겁고 화피편의 끝에 돌기가 있으며, 열매의 길이와 폭의 비율이 같다고 알려진 바 있다(Comber, 1949).
백합속이란 무엇인가? 백합속(Lilium)은 백합과(Liliaceae)에 속하는 식물로서, 100종 이상이 북반구의 온대지역에 분포하는 비교적 큰 분류군이다. 백합속과 가장 근연인 것으로 평가되는 속은 Fritillaria와 Nomocharis로 이들은 공통조상에서 유래한 것으로 보여진다(Hayashi and Kawano, 2000).
백합속 식물의 용도는? 한편 백합속 식물은 한국을 포함한 동아시아가 분포기원지로 알려져 있으며, 구근은 식용으로, 꽃은 원예로 쓰이는 중요한 식물자원이다. 따라서 자원으로서의 가치가 높고 분포중심지인 한국산 백합속 Martagon절 식물들의 계통분류학적 연구를 수행하고자 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6)

  1. Baker, J. G. 1871. A new synopsis of all the known lilies. Gardeners Chronicle 104: 1650. 

  2. Baker, J. G. 1874. Revision of the genera and species of Tulipeae. Journal of the Linnean Society of London, Botany 14: 211-310. 

  3. Baranova, M. V. 1988. A synopsis of the system of the genus Lilium (Liliaceae). BotZurn 73: 1319-1329. 

  4. Bessey, C. E. 1897. Phylogeny and taxonomy of the angiosperms. Botanical Gazette 24: 145-178. 

  5. Bessey, C. E. 1915. The phylogenetic taxonomy of flowering plants. Annals of the Missouri Botanical Garden 2: 109-164. 

  6. Comber, H. F. 1949. A new classification of the genus Lilium. Lily Year-Book 13: 86-105. 

  7. Endlicher, M. 1836. Genera Platarum 141: 1960. Vienna. 

  8. Felsenstein, J. 1985. Confidence limits on phylogenies: an approach using the bootstrap. Evolution 39: 783-791. 

  9. Hall, T. A. 1999. BioEdit: a user-friendly biological sequence alignment editor and analysis program for Windows 95/98/NT. Nucleic Acids Symposium Series 41: 95-98. 

  10. Hayashi, K. and S. Kawano. 2000. Molecular systematics of Lilium and allied genera (Liliaceae): phylogenetic relationships among Lilium and related genera based on the rbcL and matK gene sequence data. Plant Species Biology 15: 73-93. 

  11. Kim, J. S., J.-K. Hong, M. W. Chase, M. F. Fay and J.-H. Kim. 2013. Familial relationships of the monocot order Liliales based on a molecular phylogenetic analysis using four plastid loci: matK, rbcL, atpB, and atpF-H. Botanical Journal of the Linnean Society 172: 5-21. 

  12. Kim, Y. S. and W. B. Lee. 1990a. A study of morphological characters on the genus Lilium L. in Korea. Korean Journal of Plant Taxonomy 20: 165-178. (in Korean) 

  13. Kim, Y. S. and W. B. Lee. 1990b. A study of anatomical characters on the genus Lilium L. in Korea. Korean Journal of Plant Taxonomy 20: 179-189. (in Korean) 

  14. Kim, Y. S. and W. B. Lee. 1990c. A study of epidermal characters on the genus Lilium L. in Korea by SEM. Korean Journal of Plant Taxonomy 20: 195-207. (in Korean) 

  15. Komarov, V. L. 1901. Flora Manshuriae. Acta Horti Petropolitani 20: 461. 

  16. Lee, C. S., S.-C. Kim, S. H. Yeau and N. S. Lee. 2011. Major lineages of the genus Lilium (Liliaceae) based on nrDNA ITS sequences, with special emphasis on the Korean species. Journal of Plant Biology 54: 159-171. 

  17. Lee, W. B. 1989. A systematic study on genus Lilium in Korea. PhD dissertation, Korea University, Seoul, Korea, 125 pp. (in Korean) 

  18. Lee, W. B. and Y. S. Kim. 1992. A palynotaxonomic study on the genus Lilium in Korea. Korean Journal of Botany 35: 205-210. (in Korean) 

  19. Lee, W. B., S. Y. Choe and Y. S. Kim. 1993. An application of random amplified polymorphic DNA (RAPD) to systematics of some species of Lilium in Korea. Korean Journal of Plant Taxonomy 23: 35-42. (in Korean) 

  20. Lee, W. B. 2007. Liliaceae. In The Genera of Vascular Plants of Korea. Park, C.-W. (ed.), Academy Publishing Co., Seoul. Pp. 1286-1289. 

  21. Lightly, R. W. 1968. Evolutionary trends in Lilies. Lily Year Book 31: 40-44. 

  22. Nakai, T. 1911. Flora Koreana II. The Journal of the College of Science, Imperial University of Tokyo 31: 1-573. 

  23. Nakai, T. 1915. Chosen Yuri Dzukai cited in Nakai, Corea, 1916-1917 pp. 

  24. Nakai, T. 1917. Notulae ad plantas Japoniae. Botanical Magazine in Tokyo 31: 4-9. 

  25. Nakai, T. 1918. Report on the Vegetation of Diamond Mountains, Corea, March, 1917. Government of Chosen, Seoul, 204 pp. 

  26. Nakai, T. 1952. A synoptical sketch of Korean flora. Bulletin of the National Sciences Museum 31: 1-152. 

  27. Nishikawa, T., K. Okazaki, T. Uchino, K. Arakawa and T. Nagamine. 1999. A molecular phylogeny of Lilium in the internal transcribed spacer region of nuclear ribosomal DNA. Journal of Molecular Evolution 49: 238-249. 

  28. Nishikawa, T. 2007. Molecular phylogeny of the genus Lilium and its methodical application to other taxon. PhD dissertation, United Graduate School of Agricultural Science, Tokyo University of Agriculture and Technology, Tokyo, Japan, 127 pp. 

  29. Palibin, J. 1901. Conspectus Florae Koreae. Trudy Imperatorskago S.- Peterburskago Botaniceskago Sada 19: 103-151. 

  30. Reichenbach, H. G. L. 1830. Flora Germanica Excursiora. Carolum Cnobloch, Lipsiae. Pp. 103. 

  31. Ronsted, N., S. Law, H. Thornton, M. F. Fay and M. W. Chase. 2005. Molecular phylogenetic evidence for the monophyly of Fritillaria and Lilium (Liliaceae; Liliales) and the infrageneric classification of Fritillaria. Molecular Phylogenetics and Evolution 35: 509-527. 

  32. Song, J. H., C. Y. Yoon, H. D. K. Do, W. B. Lee and J.-H. Kim. 2016. The complete chloroplast genome sequence of Lilium tsingtauense Gilg (sect. Martagon, Liliaceae). Mitochondrial DNA Part B: Resources 1: 318-320. 

  33. Stamatakis, A., P. Hoover and J. Rougemont. 2008. A rapid bootstrap algorithm for the RAxML web servers. Systematic Biology 57: 758-771. 

  34. Wang, F. Z. and J. Tang. 1980. Lilium L. In Flora Reipublicae Popularis Sinicae. Vol. 14. Wang, F.-T. and T. Tang (eds.), Science Press, Beijing. Pp. 116-157. 

  35. Wilson, E. H. 1925. The Lilies of Eastern Asia: A Monograph. Dulau & Company, London, 110 pp. 

  36. Woodcock, H. B. D. and W. T. Stearn. 1950. Lilies of the World: Their Cultivation and Classification. Country Life, Charles Scribner, NY, 431 pp.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