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내전형연축성 발성장애 음성에 대한 켑스트럼과 스펙트럼 분석
Cepstral and spectral analysis of voices with adductor spasmodic dysphonia 원문보기

말소리와 음성과학 = Phonetics and speech sciences, v.8 no.2, 2016년, pp.73 - 80  

심희정 (한림대학교 언어병리청각학과) ,  정훈 (구미대학교 언어재활과) ,  최병흔 (명이비인후과의원) ,  허정화 (명이비인후과의원) ,  고도흥 (한림대학교)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perceptual and spectral/cepstral measurements in patients with adductor spasmodic dysphonia(ADSD). Sixty participants with gender and age matched individuals(30 ADSD and 30 controls) were recorded in reading a sentence and sustained the vowel /a/. Acoustic da...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스펙트럼과 켑스트럼 분석을 적용하여 발화과제(모음연장발성, 문장읽기)에 따른 ADSD 음성의 음향음성학적 특성을 살펴보고, 그 결과가 기존에 ADSD 환자의 감별진단에 주로 시행되어 온 청지각적 평가와 어떠한 상관성을 갖는지 보고자 하였다. 또한 스펙트럼과 켑스트럼 측정치들이 ADSD 환자 음성을 감별할 때 진단예측력을 갖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 본 연구는 ADSD 여성 환자 30명과 성별과 연령을 일치시킨 정상 화자 30명, 총 60명을 대상으로 /a/ 모음연장발성과 산책문단의 첫 번째 문장 읽기 과제를 수행하여 ADSD 환자의 과제의존도 특성을 객관적으로 살펴보고자 하였다.
  • 본 연구는 스펙트럼과 켑스트럼 분석을 적용하여 발화과제(모음연장발성, 문장읽기)에 따른 ADSD 음성의 음향음성학적 특성을 살펴보고, 그 결과가 기존에 ADSD 환자의 감별진단에 주로 시행되어 온 청지각적 평가와 어떠한 상관성을 갖는지 보고자 하였다. 또한 스펙트럼과 켑스트럼 측정치들이 ADSD 환자 음성을 감별할 때 진단예측력을 갖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ADSD 환자들의 발화과제에 따른 음성증상을 객관적으로 설명하고자 켑스트럼과 스펙트럼 분석을 적용하여 임상적 진단 유용성과 분석의 활용 가능성을 살펴보았다. 이는 ADSD 진단에 주요한 정보를 제공하는 연결발화에 대한 객관적 음질분석에 제한점을 해결할 방향을 제시하며, 기존에 주관적 평가 위주로 이루어졌던 ADSD의 감별진단에 객관적 접근의 가능성을 제시해주었다.
  • 지금까지 과제에 따른 ADSD의 음질 특성에 관한 연구들은 주관적인 청지각적 평가 결과 위주로 보고되어 왔으며, 객관적 평가의 경우 문장 내 자음과 모음이 갖는 다양한 주파수의 영향으로 ADSD 환자의 연결발화에 대한 음향학적 분석이 제한을 받아왔다. 스펙트럼과 켑스트럼 분석은 소음과 배음에너지의 정도를 분리해서 배음의 정도를 설명해줄 수 있는 분석 방법이기 때문에, 기존의 분석 방법이 갖던 문장 내 음질 분석에 제한점을 해결할 수 있는 방안을 마련해 준다. 또한 ADSD의 진단 시 특히 발화과제에 따라 나타나는 음성증상이 주요한 정보가 되기 때문에, 이에 켑스트럼과 스펙트럼 분석이 갖는 강점을 적용하는 것은 ADSD의 음성 중증도를 객관적으로 평가할 수 있는 방향을 제시한다고 볼 수 있다.
  • 본 연구에서는 ADSD 환자들의 발화과제에 따른 음성증상을 객관적으로 설명하고자 켑스트럼과 스펙트럼 분석을 적용하여 임상적 진단 유용성과 분석의 활용 가능성을 살펴보았다. 이는 ADSD 진단에 주요한 정보를 제공하는 연결발화에 대한 객관적 음질분석에 제한점을 해결할 방향을 제시하며, 기존에 주관적 평가 위주로 이루어졌던 ADSD의 감별진단에 객관적 접근의 가능성을 제시해주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내전형 연축성 발성장애란 무엇인가? 내전형 연축성 발성장애(adductor spasmodic dysphonia, 이하 ADSD)는 후두의 국한된 운동 유발성(action induced) 근긴장이상증(dystonia)으로 인한 음성장애이다[1]. ADSD는 발성 도중에 갑작스럽게 또는 지속적으로 진성대의 과내전(hyper-adduction)이 발생하여, 발성일탈(phonatory breaks), 쥐어짜고 긴장된 음성, 음성 떨림 등의 음질 특성을 보이게 된다[2].
ADSD의 특징은 무엇인가? 내전형 연축성 발성장애(adductor spasmodic dysphonia, 이하 ADSD)는 후두의 국한된 운동 유발성(action induced) 근긴장이상증(dystonia)으로 인한 음성장애이다[1]. ADSD는 발성 도중에 갑작스럽게 또는 지속적으로 진성대의 과내전(hyper-adduction)이 발생하여, 발성일탈(phonatory breaks), 쥐어짜고 긴장된 음성, 음성 떨림 등의 음질 특성을 보이게 된다[2].
발화과제에 따른 ADSD 환자의 음성을 음향학적으로 분석 결과에서 문장과제에서 CPP와 L/H ratio는 낮았지만 CSID는 높은 양상을 보이는 것이 의미하는 것은 무엇인가? 발화과제에 따른 ADSD 환자의 음성을 음향학적으로 분석 결과, 문장과제에서 CPP와 L/H ratio는 낮았지만 CSID는 높은 양상을 보였다. 이는 CPP가 배음 정도를 나타내는 측정치이기 때문에 연속적으로 유성음을 산출하는 모음연장발성 시 주기성이 잘 형성되어 배음 구조가 잘 형성되어 CPP값이 더 높게 나타난 것을 의미한다. 한편 문장과제는 다양한 무성음과 유성음의 음향학적 영향 때문에 모음에 비해 주기성 형성에 제한을 받아 낮은 CPP 값을 보였다고 논의할 수 있다[17].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8)

  1. Rubin, J. S., Sataloff, R. T., & Korovin, G. S. (2006). Diagnosis and treatment of voice disorders. San Diego: Plural Publishing. 

  2. Cannito, M. P. & Woodson, G. (2000). The spasmodic dysphonias. In R. Kent & M. Ball (Eds.), Voice quality measurement (pp. 411-430). San Diego: Singular Thomson Learning. 

  3. Murry, T. & Woodson, G. E. (1995). Combined-modality treatment of adductor spasmodic dysphonia with botulinum toxin and voice therapy. Journal of Voice, 9(4), 460-465. 

  4. Silverman, E. P., Garvan, C., Shrivastav, R., & Sapienza, C. M. (2012). Combined modality treatment of adductor spasmodic dysphonia. Journal of Voice, 26(1), 77-86. 

  5. Yoon, Y. S., Kim, H. H., & Son, Y. E. (2003). Useful speech task in the perceptual evalutation of adductor spasmodic dysphonia. Korean Journal of Communication Disorders, 8(2), 146-162. (윤영선.김향희.손영익 (2003). 내전형 경련성 발성장애의 청지 각 평가에 유용한 말 과제. 언어청각장애연구, 8(2), 146-162.) 

  6. Langeveld, T. P., Drost, H. A., Zwinderman, A. H., Frijns, J. H., & De Jong, R. J. B. (2000). Perceptual characteristics of adductor spasmodic dysphonia. Annals of Otology, Rhinology & Laryngology, 109(8), 741-748. 

  7. Bloch, C. S., Hirano, M., & Gould, W. J. (1985). Symptom improvement of spastic dysphonia in response to phonatory tasks. The Annals of otology, rhinology, and laryngology, 94(1), 51-54. 

  8. Ludlow, C. L., & Connor, N. P. (1987). Dynamic aspects of phonatory control in spasmodic dysphonia. Journal of Speech, Language, and Hearing Research, 30(2), 197-206. 

  9. Erickson, M. L. (2003). Effects of voicing and syntactic complexity on sign expression in adductor spasmodic dysphonia. American Journal of Speech-Language Pathology, 12(4), 416-424. 

  10. Cannito, M. P., Doiuchi, M., Murry, T., & Woodson, G. E. (2012). Perceptual structure of adductor spasmodic dysphonia and its acoustic correlates. Journal of Voice, 26(6), 818.e5-818.e13. 

  11. Sapienza, C. M., Walton, S., & Murry, T. (2000). Adductor spasmodic dysphonia and muscular tension dysphonia: acoustic analysis of sustained phonation and reading. Journal of Voice, 14(4), 502-520. 

  12. Zwirner, P., Murry, T., & Woodson, G. E. (1993). Perceptual-acoustic relationships in spasmodic dysphonia. Journal of Voice, 7(2), 165-171. 

  13. Heo, J. H., Song, K. B., & Choi, Y. G. (2013). A comparison of aerodynamic characteristics in muscle tension dysphonia and adductor spasmodic dysphonia. Phonetics and Speech Sciences, 5(4), 63-70. (허정화.송기범.최양규 (2013). 근긴장성 발성장애와 내전형 연축성 발성장애의 공기역학적 특성 비교. 말소리와 음성과학, 5(4), 63-70.) 

  14. Higgins, M. B., Chait, D. H., & Schulte, L. (1999). Phonatory air flow characteristics of adductor spasmodic dysphonia and muscle tension dysphonia. Journal of Speech, Language, and Hearing Research, 42(1), 101-111. 

  15. Seo, I. & Seong, C. (2013). Voice quality of dysarthric speakers in connected speech. Phonetics and Speech Sciences, 5(4), 33-41. (서인효.성철재 (2013). 연결발화에서 마비말화자의 음질 특성. 말소리와 음성과학, 5(4), 33-41.) 

  16. Moers, C., Mobius, B., Rosanowski, F., Noth, E., Eysholdt, U., & Haderlein, T. (2012). Vowel-and text-based cepstral analysis of chronic hoarseness. Journal of Voice, 26(4), 416-424. 

  17. Heman-Ackah, Y., Heuer, R., Michael, D., Ostrowski, R., Horman, M., Baroody, M., Hillenbrand, J., & Sataloff, R. (2003). Cepstral peak prominence: a more reliable measure of dysphonia. Annals of Otology, Rhinogogy & Laryngology, 112(4), 324-333. 

  18. Awan, S., Roy, N., & Dromey, C. (2009). Estimating dysphonia severity in continuous speech: Application of a multi-parameter spectral/cepstral model. Clinical linguistics & phonetics, 23(11), 825-841. 

  19. Kumar, B., Bhat, J., & Prasad, N. (2010). Cepstral analysis of voice in persons with vocal nodules. Journal of Voice, 24(6), 651-653. 

  20. Watts, C. & Awan, S. (2011). Use of spectral/cepstral analyses for differentiating normal from hypofunctional voices in sustained vowel and continuous speech contexts. Journal of Speech, Language, and Hearing Research, 54, 1525-1537. 

  21. Lowell, S. Y., Kelley, R. T., Awan, S. N., Colton, R. H., & Chan, N. H. (2012). Spectral-and cepstral-based acoustic features of dysphonic, strained voice quality. The Annals of otology, rhinology, and laryngology, 121(8), 539-548. 

  22. Awan, S. N., Roy, N., Zhang, D., & Cohen, S. M. (2016). Validation of the cepstral spectral index of dysphonia (CSID) as a screening tool for voice disorders: development of clinical cutoff scores. Journal of Voice, 30(2), 130-144. 

  23. Jalalinajafabadi, F., Gadepalli, C., Ascott, F., Homer, J., Lujan, M., & Cheetham, B. (2013). Perceptual evaluation of voice quality and its correlation with acoustic measurement. Modelling Symposium, 283-286. 

  24. Peterson, E. A., Roy, N., Awan, S. N., Merrill, R. M., Banks, R., & Tanner, K. (2013). Toward validation of the cepstral spectral index of dysphonia (CSID) as an objective treatment outcomes measure. Journal of Voice, 27(4), 401-410. 

  25. Awan, S. & Roy, N. (2009). Outcomes measurement in voice disorders: application of an acoustic index of dysphonia severity. Journal of Speech, Language & Hearing Research, 52(2), 482-499. 

  26. Shim, H. J., Jang, H. R., Shin, H. B., & Ko, D. H. (2015). Cepstral, Spectral and Time-Based Analysis of Voices of Esophageal Speakers. Folia Phoniatrica et Logopaedica, 67(2), 90-96. 

  27. Roy, N., Gouse, M., Mauszycki, S. C., Merrill, R. M., & Smith, M. E. (2005). Task specificity in adductor spasmodic dysphonia versus muscle tension dysphonia. The Laryngoscope, 115(2), 311-316. 

  28. Roy, N., Mazin, A., & Awan, S. N. (2014). Automated acoustic analysis of task dependency in adductor spasmodic dysphonia versus muscle tension dysphonia. The Laryngoscope, 124(3), 718-724.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