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한반도 동해안 석호의 관속식물상
Floristic study of lagoon areas on the eastern coast in Korean peninsula 원문보기

식물분류학회지 = Korean journal of plant taxonomy, v.47 no.1, 2017년, pp.51 - 93  

김중현 (국립생물자원관 식물자원과) ,  김선유 (국립낙동강생물자원관 전시교육실) ,  홍정기 (국립낙동강생물자원관 담수생물다양성연구실) ,  남기흠 (국립생물자원관 식물자원과) ,  안지홍 (국립생물자원관 식물자원과) ,  이병윤 (국립생물자원관 식물자원과) ,  김진석 (국립생물자원관 식물자원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동해안 석호는 해수와 담수가 섞인 독특한 형태의 기수호이며, 수변식생이 발달되어 생물다양성이 풍부한 지역이다. 본 연구는 국내에 분포하는 17개소의 석호에 대한 식물상과 식물 종조성 등의 조사를 통하여 석호 식생에 대한 안정적인 보전계획 수립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시하고자 한다. 17개소의 석호에 대한 식물상 조사결과, 관속식물은 118과 378속 655종 13아종 46변종 6교잡종, 총 720분류군이 확인되었다. 이중에서 한반도 고유종이 11분류군, 멸종우려 식물이 18분류군, 식물구계학적 특정식물인 IV-V등급 식물이 23분류 군이었다. 남방계식물은 4분류군, 북방계식물은 8분류군으로 조사되었고, 특히 남한 내 희귀식물인 갯활량나물(Thermopsis lupinoides), 기름당귀(Ligusticum hultenii), 벼룩아재비(Mitrasacme alsinoides), 통발(Utricularia australis), 검정납작골풀(Juncus fauriei), 새방울사초(Carex vesicaria), 천도미꾸리광이(Puccinellia kurilensis) 등이 동해안 석호에서 생육하고 있었다. 외래식물은 96분류군이 발견되었다. 한반도 석호는 식물다양성이 풍부하고, 희귀식물 및 식물지리학적 중요한 식물이 관찰된다. 석호의 효과적인 관리와 생물다양성 보전을 위해 체계적인 사항들이 논의되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Eastern coastal lagoons are a particular type of estuarine systems where seawater mixes with fresh water from their catchments. With the development of aquatic vegetation, this area shows high level of biodiversity.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duce a strategy for the comprehensive conservatio...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국내의 주요 석호 17개소에 대한 식물상적 조사를 바탕으로 종조성의 특징과 식물지리학적 중요성을 밝히고 석호의 체계적인 보전방안 수립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시하고자 한다.
  • 본 연구는 총 5년간 국내에 분포하는 석호 17개소에 대해 식물상적 현황 조사와 지속적인 모니터링을 수행한 결과로서, 석호가 지닌 식물지리학적 중요성과 보존의 시급성을 강조하고자 하였다. 최근 석호의 중요성을 인식하여 복원을 추진하고 있는 상황에서 식물다양성 보전정책 및 복원방안을 수립하기 위한 기초자료와 합리적인 관리방안의 정보제공 등에 활용될 것으로 기대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동해안 석호는 어떤 지역인가? 동해안 석호는 해수와 담수가 섞인 독특한 형태의 기수호이며, 수변식생이 발달되어 생물다양성이 풍부한 지역이다. 본 연구는 국내에 분포하는 17개소의 석호에 대한 식물상과 식물 종조성 등의 조사를 통하여 석호 식생에 대한 안정적인 보전계획 수립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시하고자 한다.
17개소의 석호에 대한 식물상 조사결과는? 본 연구는 국내에 분포하는 17개소의 석호에 대한 식물상과 식물 종조성 등의 조사를 통하여 석호 식생에 대한 안정적인 보전계획 수립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시하고자 한다. 17개소의 석호에 대한 식물상 조사결과, 관속식물은 118과 378속 655종 13아종 46변종 6교잡종, 총 720분류군이 확인되었다. 이중에서 한반도 고유종이 11분류군, 멸종우려 식물이 18분류군, 식물구계학적 특정식물인 IV-V등급 식물이 23분류 군이었다.
습지식생이 잘 발달할 수 있는 조건을 갖추고 있는 석호의 역할은? 석호는 독특한 기수역 생태계의 특성을 보이며, 수위변동이 적고 경사가 완만하여 습지식생이 잘 발달할 수 있는 조건을 갖추고 있다. 이러한 생태, 지리적 특성으로 인하여 석호는 다양한 동식물의 생물서식공간으로서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Ministry of Environment, 2008, 2009). 그러나 현재에도 육지화가 진행되거나 매립으로 인한 급격한 생육환경 변화는 식물다양성 감소를 초래할 뿐만 아니라 종조성이 바뀌고 단순화되며, 그 진행속도는 더욱 가속화될 것으로 생각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9)

  1. Association for Research on Landscape Ecology. 2001. Landscape Ecology. Donghwa Technology Publishing Co., Seoul. Pp. 185-220. (in Korean) 

  2. Cho, Y. H., J. H. Kim and S. H. Park. 2016. Grasses and Sedges in South Korea. Geobook, Seoul, 527 pp. (in Korean) 

  3. Choung, Y. S., W. T. Lee, K. H. Cho, K. Y. Joo, B. M. Min, J. O. Hyun and K. S. Lee. 2012. Categorizing Vascular Plant Species Occurring in Wetland Ecosystems of the Korean Peninsula. Center for Aquatic Ecosystem Restoration, Chuncheon, 243 pp. (in Korean) 

  4. Choung, Y. and K. Lee. 2013. Review of a plant-based health assessment methods for lake ecosystems. Korean Journal of Ecology and Environment 46: 145-153. (in Korean) 

  5. Cox, G. W. 1976. Laboratory Manual of General Ecology. 3rd ed. Wm. C. Brown Company, Dubuque, IA, 232 pp. 

  6. Cronk, J. K. and M. S. Fennessy. 2001. Wetland Plants: Biology and Ecology. CRC Press, Boca Raton, FL, 482 pp. 

  7. Cronquist, A. 1981. An Integrated System of Classification of Flowering Plants. Columbia University Press, New York, 1262 pp. 

  8. Gernes, M. C. and J. C. Helgen. 1999. Indexes of Biotic Integrity (IBI) for Wetlands: Vegetation and Invertebrate IMI's. Final Report to U.S. EPA, Assistance Number CD 995525-01. Minnesota Pollution Control Agency, St. Paul, MN. 

  9. Herman, K. D., L. A. Masters, M. R. Penskar, A. A. Reznicek, G. S. Wilhelm, W. W. Brodovich and K. P. Gardiner. 2001. Floristic Quality Assessment with Wetland Categories and Examples of Computer Applications for the State of Michigan-Revised. 2nd ed. Michigan Department of Natural Resources, Wildlife Division, Natural Heritage Program, Lansing, MI, 19 pp. 

  10. Hong, M. P. 2011. Plants of lagoons on the eastern coast in Korea. Nature Conservation 155: 13-20. (in Korean) 

  11. Jung, J. and H.-K. Choi. 2011. Taxonomic study of Korean Scirpus L. s.l. (Cyperaceae) I. Morphology of Bolboschoenus (Asch.) Palla, Schoenoplectus (Rchb.) Palla, Schoenoplectiella Lye, Scirpus L., and Trichophorum Pers. Korean Journal Plant Taxonomy 41: 16-34. (in Korean) 

  12. Kil, J., Y. Kim, H. Kim, D. Lee, C. Lee, S. Hwang, D. Kim and M. Kim. 2011. Monitoring of Invasive Alien Species Designated by the Wildlife Protection Act (V). National Institute of Environmental Research, Incheon, 196 pp. (in Korean) 

  13. Kim, C.-H. and H. Myung. 2008. A 4-year follow-up survey of flora at the human-made wetlands along Boknaecheon of Juam Lake.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Environmental Restoration and Revegetation Technology 11: 25-37. (in Korean) 

  14. Kim, H. Y., M. H. Kim, H. K. Choi, D. Y. Lyang, E.-J. Shin, K. S. Lee and H. Yi. 2010. Changes of vegetation structure according to the hydro-seral stages in the east coastal lagoons, Korea. Journal of Wetlands Research 12: 129-144. (in Korean) 

  15. Kim, J.-H., G.-H. Nam, S.-Y. Kim, J.-S. Kim, J.-E. Choi and B. Y. Lee. 2013a. A floristic study of Baengnyeongdo (Isl.) in Korea. Korea Journal Plant Resources 26: 178-213. (in Korean) 

  16. Kim, J.-H., S.-Y. Kim, B. Y. Lee and C.-Y. Yoon. 2015. Floristic study of Gyodongdo island in Ganghwa-gun, Korea. Korean Journal Environment and Ecology 29: 105-131. 

  17. Kim, J., K.-H. Cho and H.-Y. M. Lee. 2001. Vegetation structure of the Kungae reclaimed wetland in a coastal lagoon of east sea, Korea. Korean Journal of Ecology 24: 27-34. (in Korean) 

  18. Kim, J. S., J. H. Kim, S. Y. Kim, G. H. Nam and B. Y. Lee. 2013b. Flora of Biodiversity Hot-spot in Korea (II). National Institute of Biological Resources. Incheon, 147 pp. (in Korean) 

  19. Kim, S., Y. Cho, J. Kim, S. Shim and S. Kim. 2012. Juncus fauriei Lev. & Vaniot (Juncaceae): a new record in Korea. Korean Journal Plant Taxonomy 42: 330-334. (in Korean) 

  20. Kjerfve, B. 1994. Coastal lagoons. In Coastal Lagoon Processes. Kjerfve, B. (ed.), Elsevier Oceanography Series, 60. Elsevier Science Publishers, Amsterdam. Pp. 1-8. 

  21. Koo, B. H. 2009. Wetland Ecology. Jogyeong, Paju. Pp. 383-384. (in Korean) 

  22. Kwak, S.-J., S.-H. Yoo and J.-I. Chang. 2005. Measuring the conservation value of lagoons: the case of Songji Lagoon. Ocean and Polar Research 27: 161-169. (in Korean) 

  23. Lee, B. Y., G. H. Nam, J. Y. Lee, C. H. Park, C. E. Lim, M. H. Kim, S. J. Lee, T. K. Noh, J. A. Lim, J. E. Han and J. H. Kim. 2011. National List of Species of Korea: Vascular Plants. National Institute of Biological Resources, Incheon, 633 pp. (in Korean) 

  24. Lee, C. S. 2007. Ecological evaluation on rivers different in restoration methods. In: 2007 Proceeding of Academic Symposium in Riverine Environment. Pp. 113-119. 

  25. Lee, C. S., Y. M. Jeong and H. S. Kang. 2011. Concept, direction and task of ecological restoration. Journal of Restoration Ecology 2: 59-71. (in Korean) 

  26. Lee, M.-B., N.-S. Kim and G.-R. Lee. 2006. The distribution and geomorphic changes of natural lakes in east coast of Korea.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Regional Geographers 12: 449-460. (in Korean) 

  27. Lee, T. B. 1980. Illustrated Flora of Korea. Hyangmunsa, Seoul, 990 pp. (in Korean) 

  28. Lee, W. T. 1996. Standard Illustrations of Korean Plants. Academy Press, Seoul, 624 pp. (in Korean) 

  29. Miller, S. J., D. H. Wardrop, W. M. Mahaney and R. P. Brooks. 2006. A plant-based index of biological integrity (IBI) for headwater wetland in central Pennsylvania. Ecological Indicators 6: 290-312. 

  30. Ministry of Environment. 2008. A Study of Ecosystem Survey and Management Strategy for Conservation and Restoration on the Eastern Coast Lagoons I. Wonju Regional Environmental Administration, Wonju, 781 pp. (in Korean) 

  31. Ministry of Environment. 2009. A Study of Ecosystem Survey and Management Strategy for Conservation and Restoration on the Eastern Coast Lagoons II. Wonju Regional Environmental Administration, Wonju, 978 pp. (in Korean) 

  32. Moon, D. S., H. J. Kim, M. Y. Choi, D. H. Jung and S. W. Lee. 2007. Water quality characteristics of lagoons in the east coast of Korea. In Joint Conference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Ocean Science and Technology Societies, 2007 May 31-Jun 1, Busan, Korea. Pp. 2388-2393. (in Korean) 

  33. Moon, H. K., Y. C. Kim and S. P. Hong. 2013. Diagnostic characters and new populations of Lycopus lucidus var. hirtus (Lamiaceae). Korean Journal Plant Taxonomy 43: 99-102. 

  34. National Institute of Biological Resources. 2012. Red Data Book of Endangered Vascular Plants in Korea. Econature, Seoul, 390 pp. (in Korean) 

  35. National Institute of Biological Resources. 2013. Endemic Species of Korea: Plantae. National Institute of Biological Resources, Incheon, 912 pp. (in Korean) 

  36. National Institute of Environmental Research. 2012. A Guide to the 4th National Natural Environment Research. National Institute of Environmental Research, Incheon. Pp. 173-226. (in Korean) 

  37. Nichols, S., S. Weber and B. Shaw. 2000. A proposed aquatic plant community biotic index for Wisconsin Lakes. Environmental Management 26: 491-502. 

  38. Noh, T. K., J. H. Kim, S. Y. Kim, J. S. Kim, H. Y. Lee, C. H. Park, H. K. Oh, B. Y. Lee, K. S. Jeong, W. Lee and D. H. Jang. 2014. Flora of Biodiversity Hot-spot in Korea (III). National Institute of Biological Resources. Incheon, 131 pp. (in Korean) 

  39. Oh, B. U., D. G. Jo, S. C. Ko, H. T. Im, W. K. Paik, G. Y. Chung, C. Y. Yoon, K. O. Yoo, C. G. Jang and S. H. Kang. 2009. Distribution Maps of Vascular Plants of Korean Peninsula, VI. Central Province (Gangwon-do). Korea Forest Service, Daejeon, 793 pp. (in Korean) 

  40. Oh, B. U., D. G. Jo, S. C. Ko, B. H. Choi, W. K. Paik, G. Y. Chung, Y. M. Lee and C. G. Jang. 2010. 300 Target Plants Adaptable to Climate Change in the Korean Peninsula. Korea National Arboretum, Pocheon, 492 pp. (in Korean) 

  41. Oh, Y. C. 2007. Cyperaceae Juss. In The Genera of Vascular Plants of Korea. Flora of Korea Editorial Committee (ed.), Academy Publishing Co., Seoul. Pp. 1113-1181. 

  42. Park, C. G. 2006. Status and conservation counterplan on the eastern coast lagoons. Journal of Wetlands Research 8: 21-31. (in Korean) 

  43. Park, S. H. 2009. New Illustrations and Photographs of Naturalized Plants of Korea. Ilchokak, Seoul, 575 pp. (in Korean) 

  44. Raulings, E. J., K. Morris, M. C. Roache and P. I. Boon. 2010. The importance of water regimes operating at small spatial scales for the diversity and structure of wetland vegetation. Freshwater Biology 55: 701-715. 

  45. Rothrock, P. E., T. P. Simon and P. M. Stewart. 2008. Development, calibration, and validation of a littoral zone plant index of biotic integrity (PIBI) for lacustrine wetlands. Ecological Indicators 8: 79-88. 

  46. Son, D., H. Lee, E. J. Lee, K.-H. Cho and D. Kwon. 2015. Flora and vegetation structure in a 15-year-old artificial wetland. Ecology and Resilient Infrastructure 2: 54-63. (in Korean) 

  47. U. S. Environmetal Protection Agency. 1998. Lake and Reservoir Bioassessment and Biocriteria. Technical Guidance Document EPA 841-B-98-007. U. S. Environmetal Protection Agency, Washington, DC, 118 pp. 

  48. Whittaker, R. H. 1956. Vegetation of the Great Smoky Mountains. Ecological Monographs 26: 1-80. 

  49. Yoon, S.-O., S. Hwang, C.-S. Park, H.-S. Kim and Y.-R. Moon. 2008. Landscape changes of coastal lagoons during the 20th century in the middle east coast, South Korea. Journal of the Korean Geographical Association 43: 449-465. (in Korean)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