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양송이 재배에서 볏짚 배지의 발효 단계별 관여 미생물의 분포양상 및 특성
Characteristics and Distribution of Microorganisms in a Rice Straw Compost for Cultivation of Button Mushrooms (Agaricus bisporus) 원문보기

한국균학회지 = The Korean journal of mycology, v.45 no.1, 2017년, pp.43 - 53  

이찬중 (국립원예특작과학원 버섯과) ,  유영미 (국립원예특작과학원 버섯과) ,  문지원 (국립원예특작과학원 버섯과) ,  정종천 (국립원예특작과학원 버섯과) ,  공원식 (국립원예특작과학원 버섯과) ,  김용균 (충청남도농업기술원 원예연구과) ,  이병의 (순천향대학교 화학과) ,  윤민호 (충남대학교 생물환경화학과) ,  사동민 (충북대학교 환경생명화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양송이 배지의 관행적인 발효기술 개선에 대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기 위하여 배지 발효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다양한 미생물에 대한 밀도변화 및 분류학적인 특징을 밝혔고, 이들 미생물이 분비하는 세포벽 분해 관련 효소활성 변화를 조사하였다. 양송이 배지 발효와 밀접한 관련이 있는 미생물의 밀도 변화를 분석한 결과 고온성 세균, 방선균, 형광성 Pseudomonas spp., 사상균 등 다양한 미생물들이 분포하였으며, 고온성 발효가 진행됨에 유해균은 사멸되는 경향을 보였다. 야외발효 과정에서는 Psychrobacter속, Pseudomonas속, Bacillus속, Pseudoxanthomonas속이 가장 많이 분포하였고, 후발효 완료 배지에서는 Bacillus속, Psychrobacillus속이 우점하였다. 이러한 볏짚 발효 과정 중 분리한 미생물의 효소활성은 발효 초기에 cellulose 분해효소가 먼저 배지에 작용하여 탄소원을 분해한 후 hemicellulose 분해효소가 부차적으로 작용하는 양상을 보였고, 이들 효소를 분비하는 미생물들은 2차와 3차 뒤집기에서 많이 분포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n this study, we analyzed the densities and taxonomic characteristics of various microorganisms that play important roles in Agaricus bisporus culture medium composting, and examined changes in the levels of decomposition-related enzymes secreted by these microorganisms. Various microorganisms such...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양송이 배지의 관행적인 발효기술 개선에 대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기 위하여 배지 발효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다양한 미생물에 대한 밀도변화 및 분류학적인 특징을 밝혔고,이들 미생물이 분비하는 세포벽 분해 관련 효소활성 변화를 조사하였다. 양송이 배지 발효와 밀접한 관련이 있는 미생물의 밀도 변화를 분석한 결과 고온성 세균, 방선균, 형광성 Pseudomonas spp.
  • 본 연구는 양송이 재배에서 볏짚 배지의 발효 단계별 관여 미생물의 분포양상 및 그 특성을 조사하여 배지발효의 안정성 확보를 통한 고품질의 양송이를 생산하기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하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양송이의 특징은 무엇인가? 양송이는 독특한 향과 맛, 조직감뿐만 아니라 영양소를 고루 함유하고 있어 식품소재로 비교적 많이 이용되고 있다[2, 3]. 양송이는 사물기생균으로써 생육에 필요한 질소 · 인산 · 칼리 · 칼슘 등 각종 영양분을 배지로부터 얻는다. 따라서 배지의 양호한 발효가 양송이 균사생장 및 자실체의 수량과 직접적으로 연관되고 버섯의 생산량에 결정적인 영향을 미친다.
양송이 재배에 있어서 양송이 배지가 중요한 이유는? 양송이는 독특한 향과 맛, 조직감뿐만 아니라 영양소를 고루 함유하고 있어 식품소재로 비교적 많이 이용되고 있다[2, 3]. 양송이는 사물기생균으로써 생육에 필요한 질소 · 인산 · 칼리 · 칼슘 등 각종 영양분을 배지로부터 얻는다. 따라서 배지의 양호한 발효가 양송이 균사생장 및 자실체의 수량과 직접적으로 연관되고 버섯의 생산량에 결정적인 영향을 미친다. 양송이 배지의 주재료는 탄소원으로 서양에서는 주로 마분과 밀짚이 사용되었고, 쌀이 주식인 우리나라는 볏짚을 이용한 배지를 개발하여 사용하고 있다.
양송이의 재배 과정은 어떻게 구분되는가? 양송이 재배 과정은 일반적으로 볏짚 발효, 균사 배양 및 자실체 수확의 세 단계로 구분된다. 이 중 볏짚 발효 단계는 야외발효와 후발효 단계를 거치면서 다양한 미생물의 작용으로 물리 · 화학적 변화가 일어나게 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3)

  1. Ministry of Agriculture, Food and Rural Affairs. Agriculture, forestry and livestock food statistics. Sejong: Ministry of Agriculture, Food and Rural Affairs; 2013. 

  2. Hong JS, Kim YH, Kim MK, Kim YS, Sohn HS. Content of free amino acids and total amino acids in Agaricus bisporus, Pleurotus ostreatus and Lentinus edodes. Kor J Food Sci Technol 1989;21:58-62. 

  3. Geml J, Geiser DM, Royse DJ. Molecular evolution of Agaricus species based on ITS and LSU rDNA sequences. Mycol Prog 2004;3:157-76. 

  4. Kim MJ, Lim SJ, Kang DK. Isolation of a Bacillus Licheniformis DK42 producing cellulase and xylanase, and properties of the enzymes. J Anim Sci Technol 2008;50:429-36. 

  5. Delmer DP. Cellulose biosynthesis: exciting times for a difficult field of study. Annu Rev Plant Physiol Plant Mol Biol 1999;50:245-76. 

  6. Kim TI, Han JD, Jeon BS, Ha SW, Yang CB, Kim MK. Isol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Bacillus subtilis CH-10 secreting cellulase from cattle manure. Kor J Mycol 1999;35:277-82. 

  7. Shin PG, Cho SJ. Cellulase and xylanase activity of compost-promoting bacteria Bacillus sp. SJ21. Kor J Soil Sci Fertili 2011;44:836-40. 

  8. Hayes WA. Nutritional factors in relation to mushroom production. In: Proceedings of the 8th congress of the International Society for Mushroom Science;1971; London, England. Coatesville: The International Society for Mushroom Science;1972. p. 663-74. 

  9. Gerrits JP, Bels-Koning HC, Muller FM. Changes in compost constituents during composting, pasteurization and cropping. In:Proceedings of the 6th congress of the International Society for Mushroom Science;1965;Wageningen and Amsterdam, Netherlands. Coatesville:The International Society for Mushroom Science;1967. p. 225-43. 

  10. Sung JM, Yu YB, Cha DY. Mushroom science. Seoul: Kyohaksa; 1998. 

  11. Kim IG, Someya T, Whang KS. The observation and a quantitative evaluation of viable but non-culturable bacteria in potable groundwater using epifluorescence microscopy. Kor J Mycol 2002;38:180-5. 

  12. Lee CJ, Yun HS, Jhune CS, Cheong JC, Han HS. Changes and distributional pattern of microorganism in cotton waste media for oyster mushroom cultivation. Kor J Mycol 2009;37:150-4. 

  13. Martin JP. Use of acid rose bengal and streptomycin in the plate method for estimating soil fungi. Soil Sci 1950;69:215-32. 

  14. Kuster E, Williams ST. Selection of media for isolation of streptomycetes. Nature 1964;202:928-9. 

  15. Williams J, Clarkson JM, Mills PR, Cooper RM. A selective medium for quantitative reisolation of Trichoderma harzianum from Agaricus bisporus compost. Appl Environ Microbiol 2003;69:4190-1. 

  16. Katoh K, Ithoh K. New selective media for Pseudomonas strains producing fluorescent pigment. Soil Sci Plant Nutr 1983;29:525-32. 

  17. James N. Soil extract in soil microbiology. Can J Microbiol 1958;4:363-70. 

  18. Johnson JL. Similarity analysis of rRNAs. In:Gerhardt PE, Wood WA, Krieg NR, editors. Methods for general and molecular bacteriology. Washington, DC:American Society of Microbiology;1994. p. 683-700. 

  19. Thompson JD, Higgins DG, Gibson TJ. CLUSTAL W:improving the sensitivity of progressive multiple sequence alignment through sequence weighing position-specific gap penalties and weight matrix choice. Nucleic Acids Res 1994;22:4673-80. 

  20. Baker M, Knoop B, Quiring S, Beard A, Lesikar B, Sweeten J, Burns R. Chapter 1, The decomposition process [Internet]. College Station: Texas A&M AgriLife Extension, Texas A&M System; 2009 [cited 2016 Nov 8]. Available from: http://aggie-horticulture. tamu.edu/earthkind/landscape/dont-bag-it/chapter-1-the-decomposition-process. 

  21. Shin GC. Studies on nutrient sources, fermentation and harmful organisms of the synthetic compost affecting yield of Agaricus bisporus (Lange) Sing. Kor J Mycol 1979;7:13-73. 

  22. Glick BR, Patten CL, Holguin G, Penrose DM. Biochemical and genetic mechanisms used by plant growth promoting bacteria. London: Imperial College Press; 1999. 

  23. Jung HK, Kim JR, Woo SM, Kim SD. An auxin producing plant growth promoting rhizobacterium Bacillus subtilis AH18 which has siderophore-producing biocontrol activity. Kor J Microbiol Biotechnol 2006;34:94-100.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