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근심경사 매복된 하악 제2대구치의 직립 치료
Orthodontic upright treatment for mesioangular impacted lower second molar 원문보기

Journal of dental rehabilitation and applied science = 구강회복응용과학지, v.33 no.1, 2017년, pp.25 - 33  

최백규 (가지런한 S 치과의원) ,  정동기 (거제부부치과의원) ,  임성훈 (조선대학교 치과대학 치과교정학교실) ,  강성남 (조선대학교 치과대학 치과교정학교실)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매복된 하악 제2대구치의 임상적 증상은 제3대구치의 매복 상황과 유사하나 발치가 주된 치료법인 제3대구치와 달리 저작기능의 회복, 대칭적인 안면 성장, 치열궁의 대칭성 유지, 안정된 교합관계 회복등을 위하여 가능한 직립하여야 한다는 점에서 치료 방법이 다르다. 매복 하악 제2대구치의 직립 치료시 치질의 노출 정도, 직립에 방해되는 제3대구치의 존재여부, 제2대구치의 예후, 대합치의 정출여부 등에 따라 치료 전략이 달라야 하며, 이러한 전략에 따라 사용하는 장치와 고정원의 종류도 결정된다. 심미적 개선은 기대하기 어렵지만, 저작기능을 회복하고 치아우식증, 치주질환, 악관절 장애등 여러 문제를 예방할 수 있는 하악 제2대구치 직립은 기능회복과 질환의 예방이라는 관점에서 중요한 치료이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lower $2^{nd}$ molar eruption is beginning to mesiolingually, then rotate to distobuccally so it has a tendency to be tilted and impacted mesially. Signs and symptoms of impacted $2^{nd}$ molar are similar to impacted $3^{rd}$ molar's. However, treatment plan for...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문제 정의

  • 대합치의 정출이나 제3대구치의 존재는 매복된 하악 제 2대구치의 직립을 더욱 어렵게 하는 요인들이다. 이에 본 증례 보고에서 저자들은 근심경사 매복된 하악 제2대구치를 직립한 증례들을 소개하고, 직립 치료중에 고려했던 사안들에 대해 서술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하악 제2대구치의 매복을 가능한 빨리 치료해야 하는 이유는 무엇인가 매복된 하악 제2대구치는 대합치인 상악 제2대구치의 과도한 정출, 치아우식증, 치주염, 제1대구치의 원심측 치근흡수, 낭종의 형성, 부정교합, 치관주위염등 제3대 구치의 근심경사 매복 상황과 유사한 병적 상태를 유발 할 수 있다. 특히 제1대구치의 원심치경부 근처에서 치아우식증이 생기면 치료를 위한 기구접근이 상당히 어렵고 제한되어 치료 결과가 좋지 않으며, 치근부에 우식증이 발생된 경우 정상적인 수복 치료가 불가능할 수도 있다. 또 대합치인 상악 제2대구치가 정출된 경우 골격성 고정 원등을 이용한 압하 치료까지 고려해야 한다. 이 때문에 하악 제2대구치의 매복은 가능한 빨리 치료해야만 여러 문제점들을 예방할 수 있다.
치아의 매복의 정의는 무엇인가 치아의 매복(Impaction)은 맹출로 내의 물리적 장애물이나 치배의 비정상적 위치에 의해 발생한 치아 맹출의 정지로 정의할 수 있다.1 Andreasen 등은 매복을 맹출 장애라고 하면서 치배의 위치 이상, 맹출로 내의 장애물, 맹출 기전의 실패를 세 가지 주된 원인으로 지적한 바 있다.
Andreasen가 말한 매복의 주된 원인은 무엇인가? 치아의 매복(Impaction)은 맹출로 내의 물리적 장애물이나 치배의 비정상적 위치에 의해 발생한 치아 맹출의 정지로 정의할 수 있다.1 Andreasen 등은 매복을 맹출 장애라고 하면서 치배의 위치 이상, 맹출로 내의 장애물, 맹출 기전의 실패를 세 가지 주된 원인으로 지적한 바 있다.2 영구치의 매복은 하악 제3대구치에서 가장 흔하지만, 하악 제2대구치의 매복은 상당히 드물어 Grover 등3은 0.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2)

  1. Lee HL, Lee KH, La JY, An SY, Kim YH, Lim HS, Lee JW. Eruption guidance of impacted mandibular second molar. J Korean Acad Pediatr Dent 2012;39:404-11. 

  2. Andreasen JO, Peterson J, Laskin DM. Textbook and color atlas of tooth impactions. Copenhagen; Munksgaard; 1997. p. 198-216. 

  3. Grover PS, Lorton L. The incidence of unerupted permanent teeth and related clinical cases. Oral Surg Oral Med Oral Pathol 1985;59:420-5. 

  4. Bondemark L, Tsiopa J. Prevalence of ectopic eruption, impaction, retention and agenesis of the permanent second molar. Angle Orthod 2007;77:773-8. 

  5. Nanci A. Ten Cate's oral histology: development, structure, and function. 7th ed. St. Louis: Elsevier Health Sciences 2007. 

  6. Fu PS, Wang JC, Wu YM, Huang TK, Chen WC, Tseng YC, Tseng CH, Hung CC. Impacted mandibular second molars. Angle Orthod 2012;82:670-5. 

  7. Raghoebar GM, Boering G, Vissink A, Stegenga B. Eruption disturbances of permanent molars: a review. J Oral Pathol Med 1991;20:159-66. 

  8. Sawicka M, Racka-Pilszak B, Rosnowska-Mazurkiewicz A. Uprighting partially impacted permanent second molars. Angle Orthod 2007;77:148-54. 

  9. Wellfelt B, Varpio M. Disturbed eruption of the permanent lower second molar: treatment and results. ASDC J Dent Child 1988;55:183-9. 

  10. Park HS, Kyung HM, Sung JH. A simple method of molar uprighting with micro-implant anchorage. J Clin Orthod 2002;36:592-6. 

  11. Babaji P, Singh V, Chaurasia VR, Jawale MR. Electro surgery in dentistry: report of cases. J Pediatr Dent 20142:20-4. 

  12. Mavrogiannis M, Ellis J, Seymour RA, Thomason JM. The efficacy of three different surgical techniques in the management of drug induced gingival overgrowth. J Clin Periodontol 2006;33:677-82.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