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잘피(Zostera marina) 에탄올 및 물 추출물의 항산화 효과
Antioxidant Effect of Zostera marina Ethanol and Water Extracts 원문보기

생명과학회지 = Journal of life science, v.27 no.3 = no.203, 2017년, pp.346 - 350  

박선희 (부경대학교 식품공학과) ,  김꽃봉우리 (부경대학교 식품공학과) ,  김민지 (부경대학교 식품공학과) ,  임무혁 (대구대학교 식품공학과) ,  안동현 (부경대학교 식품공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잘피 추출물로부터의 항산화 효과를 알아보았다. 총 폴리페놀 함량에서는 에탄올 추출물과 물 추출물이 각각 2.12 mg/g, 3.88 mg/g으로 측정되었다. DPPH 라디칼 소거능의 경우 에탄올 추출물이 1 mg/ml농도에서 94%로 물 추출물보다 더 높았으며 환원력은 두 추출물 모두 농도의존적인 경향을 나타냈다. 금속봉쇄력의 경우 물 추출물이 에탄올 추출물 보다 더 높았고 rancimat에 의한 산화도 측정 시 에탄올 추출물이 1 mg/ml농도에서 66%로 물 추출물보다 더 높았음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는 잘피 추출물이 식품산업에서 천연항산화제로서 사용이 될 수 있음을 보여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Seaweeds have a number of secondary metabolites, such as polyphenols, polysaccharides, and carotenoids, and have received much attention as a source of natural antioxidants. Thus,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examine the antioxidant activities from ethanol (EE) and water (WE) extracts of Zostera ma...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해조류 추출물의 항산화 효과는 추출 방법뿐만 아니라 추출 용매에 따라서도 영향을 받는다고 알려져 있어 항산화 효과를 나타내는 물질을 추출하기 위해 효율적인 추출용매의 선별이 매우 중요하다[21].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잘피를 에탄올 및 물 추출하여 TPC, DPPH radical scavenging effect, reducing powder, chelating effect, rancimat를 통하여 항산화 효과에 대해 측정하고 주요 항산화 작용에 대해 알아보고자 한다.
  • 본 연구는 잘피의 항산화 효과에 대해 알아보고자 95% 에탄올 및 물에서 추출하였다. 항산화 효과를 측정하기 위해서 총 폴리페놀 함량, DPPH 라디칼 소거능, 환원력, 금속봉쇄력, rancimat에 의한 산화도 측정을 실시하였다.
  • 현재 잘피에 대한 연구결과로는 서식지에 따른 생태 및 형태적 특성에 대한 연구[6]가 대부분이며 잘피를 초임계 추출 한 후 caffeic acid, gallic acid, ferrulic acid, rosmarinic acid 등과 total phenolic compounds (TPC)의 함량 변화에 대해 보고가 되어 있다[16]. 현재 잘피의 항산화에 대한 연구는 Choi 등[3]이 메탄올 추출물 및 이의 용매별 분획물에 대해 TPC, DPPH radical scavenging effect, reducing powder 를 통한 항산화 효과에 대해 알아보았다. 해조류 추출물의 항산화 효과는 추출 방법뿐만 아니라 추출 용매에 따라서도 영향을 받는다고 알려져 있어 항산화 효과를 나타내는 물질을 추출하기 위해 효율적인 추출용매의 선별이 매우 중요하다[21].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잘피란? 천연 항산화제의 작용기작으로는 자동산화의 연쇄반응을 저해하는 라디칼 저해제(free radical inhibitor), 금속의 산화촉진 작용을 불활성화 시키는 금속제거제(metal scavenger), 과산 화물을 비라디칼로 분해함으로써 불활성화하는 과산화물 분 해제(peroxide decomposer) 등이 있다[17]. 잘피(Zostera marina)는 해양성 및 기수성 수생관속 식물로 전 세계적으로는 약 60여종이 서식하고 있고 우리나라에는 9종이 자생하고 있다고 보고되고 있다. 현재 잘피에 대한 연구결과로는 서식지에 따른 생태 및 형태적 특성에 대한 연구[6]가 대부분이며 잘피를 초임계 추출 한 후 caffeic acid, gallic acid, ferrulic acid, rosmarinic acid 등과 total phenolic compounds (TPC)의 함량 변화에 대해 보고가 되어 있다[16].
천연 항산화제의 작용기작으로는 무엇이 있는가? 따라서 이들의 사용이 점차 규제되어 안전성이 확보되고 항산화 활성이 높은 천연물, 각종 식품성 소재, 한방 제재 등으로부터 의 항산화 물질에 대한 여러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1]. 천연 항산화제의 작용기작으로는 자동산화의 연쇄반응을 저해하는 라디칼 저해제(free radical inhibitor), 금속의 산화촉진 작용을 불활성화 시키는 금속제거제(metal scavenger), 과산 화물을 비라디칼로 분해함으로써 불활성화하는 과산화물 분 해제(peroxide decomposer) 등이 있다[17]. 잘피(Zostera marina)는 해양성 및 기수성 수생관속 식물로 전 세계적으로는 약 60여종이 서식하고 있고 우리나라에는 9종이 자생하고 있다고 보고되고 있다.
잘피 추출물들의 농도가 증가할 때 항산화 효과는 어떻게 변하였는가? 17로 에탄올 및 물 추출물보다 활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각 추출물의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유의적인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고 두 추출물 사이에도 유의적인 차이가 거의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Park 등[15]의 연구에서 큰잎모자반 뿌리 및 줄기 추출물의 rancimat에 의한 항산화 효과를 측정한 결과 5 mg/ml의 농도에서 에탄올 및 물 추출물 각각 1.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1)

  1. Addis, P. B. and Hassel, C. A. 1992. Safety issues with antioxidants in food. In Food Safety Assessment. American Chemical Society, Washington, DC, USA. 

  2. Blois, M. S. 1958. Antioxidant determinations by the use or a stable free radical. Nature 181, 1990-2100. 

  3. Choi, H. G., Lee, J. H., Park, H. H. and Sayegh, F. A. Q. 2009. Antioxidant and antimicrobial activity of Zostera marina L. extract. Algae 24, 179-184. 

  4. Feng, T., Du, Y., Li, J., Hu, Y. and Kennedy, J. F. 2008. Enhancement of antioxidant activity of chitosan by irradiation. Carbohyd. Polym. 73, 126-132. 

  5. Halliwell, B. 1996. Antioxidants in human health and disease. Annu. Rev. Nutr. 16, 33-49. 

  6. Kim, J. B., Park, J. I., Choi, W. J., Lee, J. S. and Lee, K. S. 2010. Spatial distribution and ecological characteristics of Zostera marina and Zostera japonica in the Seomjin Estuary. Kor. J. Fish. Aquat. Sci. 43, 351-361. 

  7. Kim, M. J., Choi, J. S., Song, E. J., Lee, S. Y., Kim, K. B. W. R., Lee, S. J., Kim, J. S., Yoon, S. Y., Jeon, Y. J. and Ahn, D. H. 2009. Effects of heat and pH treatment on antioxidant properties of Ishige okamurai extracts. Kor. J. Food Sci. Technol. 41, 50-56. 

  8. Lee, B. B., Chun, J. H., Lee, S. H., Park, H. R., Kim, J. M., Park, E. and Lee, S. C. 2007. Antioxidative and antigenotoxic activity of extracts from Rhododendron mucromulatum turcz. flowers. J. Kor. Soc. Food Sci. Nutr. 36, 1628-1632. 

  9. Lee, C. H., Shin, S. L., Kim, N. R. and Hwang, J. K. 2011. Comparison of antioxidant effects of different Korean pear species. Kor. J. Plant Res. 24, 253-259. 

  10. Lee, S. J., Song, E. J., Lee, S. Y., Kim, K. B. W. R., Kim, S. J., Yoon, S. Y., Lee, C. J. and Ahn, D. H. 2009. Antioxidant activity of leaf, stem and root extracts from Orostachys japonicus and their heat and pH stabilities. J. Kor. Soc. Food Sci. Nutr. 38, 1571-1579. 

  11. Lee, S. J., Song, E. J., Lee, S. Y., Kim, K. B. W. R., Yoon, S. Y., Lee, C. J., Jung, J. Y., Park, N. B., Kwak, J. H., Park, J. G., Kim, J. H., Choi, J. I., Lee, J. W., Byun, M. W. and Ahn, D. H. 2010. Effects of gamma irradiation on antioxidant, antimicrobial activities and physical characteristics of Sargassum thunbergii extract. Kor. J. Food Sci. Technol. 42, 431-437. 

  12. Martinez-Tome, M., Murcia, M. A., Frega, N., Ruggieri, S., Jimenez, A. M. and Roses, F. 2004. Evaluation of antioxidant capacity of cereal brans. J. Agr. Food Chem. 52, 4690-4699. 

  13. Michael, J. T. 2000. The role of free radicals and antioxidants. Nutrition 16, 716-718. 

  14. Oyaizu, M. 1986. Studies on products of browning reactions: Antioxidative activities of products of browning reaction prepared from glucosamine. Jpn. J. Nutr. 44, 307-315. 

  15. Park, J. H., Bae, N. Y., Park, S. H., Kim, M. J., Kim, K. B. W. R., Choi, J. S. and Ahn, D. H. 2015. Antioxidant effect of Sargassum coreanum root and stem extracts. Kor. Soc. Biotechnol. Bioeng. J. 30, 155-160. 

  16. Pilavtepe, M., Yucel, M., Helvaci, S. S., Demircioglu, M. and Yesil-Celiktas, O. 2012. Optimization and mathematical modeling of mass transfer between Zostera marina residues and supercritical $CO_2$ modified with ethanol. J. Supercrit. Fluids. 68, 87-93. 

  17. Ramanathan, L. and Das, N. P. 1992. Studies on the control of lipid oxidation in ground fish by some polyphenolic natural products. J. Agric. Food. Chem. 40, 17-21. 

  18. Shimada, K., Fujikawa, K., Yahara, K. and Nakamura, T. 1992. Antioxidative properties of xanthan on the autoxidation of soybean oil in cyclodextrin emulsion. J. Agric. Food Chem. 40, 945-948. 

  19. Swain, T. and Hillis, W. E. 1959. The phenolic constituents of Prunus domestica. I-The quantitative analysis of phenolic constituents. J. Sci. Food Agric. 10, 63-68. 

  20. Wang, Y. and Xu, B. 2014. Distribution of antioxidant activities and total phenolic contents in acetone, ethanol, water and hot water extracts from 20 edible mushrooms via sequential extraction. Austin J. Nutri. Food Sci. 2, 1009. 

  21. Yoo, M. A., Chung, H. K. and Kang, M. H. 2004. Optimal extract methods of antioxidant compounds from coat of grape dreg. Kor. J. Food Sci. Technol. 36, 134-140.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