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염장고등어의 히스타민 변화 조사 -보관용기 중심으로-
Investigating changes of histamine content in salted mackerel - on storage containers - 원문보기

韓國家畜衛生學會誌 = Korean journal of veterinary service, v.40 no.1, 2017년, pp.35 - 40  

문백수 (인천광역시보건환경연구원) ,  남화정 (인천광역시보건환경연구원) ,  장승은 (인천광역시보건환경연구원) ,  여은영 (인천광역시보건환경연구원) ,  이은주 (인천광역시보건환경연구원) ,  김지선 (인천광역시보건환경연구원) ,  김정임 (인천광역시보건환경연구원) ,  송재용 (인천광역시보건환경연구원) ,  조남규 (인천광역시보건환경연구원) ,  이성모 (인천광역시보건환경연구원)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n order to find a way to reduce histamine formation when storing salted mackerel at home, a series of experiments were carried to monitor the time-related changes of histamine content, total aerobic bacteria and coliform quality of mackerel marketed in Incheon by the type of storage containers (cle...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시장에서 유통되는 국민 다소비 수산물인 고등어를 대상으로, 일반 가정에서 보관방법에 따른 히스타민 생성을 저감할 수 있는 방법을 찾기 위해 냉장, 실온, 냉동 상태에서 염장고등어를 가정에서 많이 사용하는 위생백, 지퍼백, 진공백에 각각 담아 보관할 때 히스타민 및 지표세균의 경시변화를 관찰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고등어란 무엇인가? 고등어는 우리나라 전 해역 및 대부분의 대양에 서식하는 난류성 회유성 어종으로써 경골어류 농어목 고등어과 속하는 적색어류의 등 푸른 생선이다(Lee, 2009). 고등어는 eicosapentaenoic acid (EPA) 및 docosahexaenoic acid (DHA) 등과 같은 고도불포화지방산의 조성비가 높아(Simopoulou, 1991) 한국인이 선호하는 수산물 중의 하나이다.
한국인이 고등어를 선호하는 이유는? 고등어는 우리나라 전 해역 및 대부분의 대양에 서식하는 난류성 회유성 어종으로써 경골어류 농어목 고등어과 속하는 적색어류의 등 푸른 생선이다(Lee, 2009). 고등어는 eicosapentaenoic acid (EPA) 및 docosahexaenoic acid (DHA) 등과 같은 고도불포화지방산의 조성비가 높아(Simopoulou, 1991) 한국인이 선호하는 수산물 중의 하나이다.그러나 고등어는 선도저하가 빨라 히스타민과 같은 알레르기 성분 생성이 용이하여 냉동품, 통조림 및 염장제품 등의 형태로 많이 이용되고 있다(Lingnert와 Erikson, 1980; Shin 등, 2004).
염장고등어 보관시 히스타민을 저감하기 위한 온도는 어느 정도가 적당한가? 그 결과 히스타민은 4°C 냉장 보관 시 시간경과에 따라 계속 증가하였으며 24°C 실온 보관 시에는 증가하다가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20°C 냉동보관에서는 초기값을 유지하였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4)

  1. Chang DS, Choe WK. 1973. Bacteriological studies on market sea foods. 1. Sanitary indicative bacteria in sun-dried sea foods. Bull. Korean Fish. Soc. 6: 87-91. 

  2. Cho YJ, Son MJ, Kim SM, Park HK, Yeo HK, Shim KB. 2008. Effect of storage conditions on biogenic amine levels in dark-fleshed fishes. Jour Fish Mar Sci Edu 20: 135-145. 

  3. Choi JH, Park CW, Lee CH. 2007. A Study of histamine content in food in korea, Korean J Dermatol 45: 768-771. 

  4. Food code. 2015. Korea food & drug administration. 

  5. Hardy R, Smith JG. 1976. The storage of mackerel (Scomber scombrus). Development of histamine and rancidity. J Sci Food 27: 595-599. 

  6. Lee HN. 2009. Catch and oceanographic characteristics for large purse seine fisheries. MS Thesis. Pukyong National University, Busan. 

  7. Lingnert H, Erikson CE. 1980. Antioxidative mailard reaction products. I. Products from sugars and free amino acids. Food Processing Preservation 4: 161-172. 

  8. Muscarella M, Lo Magro S, Campaniello M, Armentano A, Stacchini P. 2013. Survey of histamine levels in fresh fish and fish products collected in Puglia (Italy) by ELISA and HPLC with fluorimetric detection. Food Control 31: 211-217. 

  9. Nam HW, Lee KW, Myung CO, Rhee JS, Lee YC, Hong CS. 1996. Analysis on the Contents of Histamine in Korean Foods, KOREAN J SOC FOOD SCI 12: 487-492. 

  10. Nei D, 2014. Evaluation of non-bacterial factors contributing to histamine accumulation in fish fillets. Food Control 35: 142-145. 

  11. Shin SU, Jang MS, Kwon MA, Seo HJ. 2004. Processing of functional mackerel filet and quality changes during storage. Korean J Food Preserv 11: 22-27. 

  12. Simopoulou AP. 1991. Omega-3 fatty acids in health and disease and in growth and development. Am J Clim Nutr 54: 438-463. 

  13. Tahmouzi S, Ghasemlou M, Aliabad FS, Shahraz F, Hosseini H, Khaksar R. 2013. Histamine formation and bacteriological quality in skipjack tuna (katsuwonus pelamis): Effect of defrosting temperature, Journal of Food Processing and Preservation 37: 306-313. 

  14. Tylor SL. 1986 Histamine food poisoning: toxicology and clinical aspects. Crit Rev Toxicol 17: 91-128.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