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소지역모형 추정기법을 활용한 전·월세 추정
A case study of small area estimation about charter and monthly rent price index 원문보기

Journal of the Korean Data & Information Science Society = 한국데이터정보과학회지, v.28 no.2, 2017년, pp.327 - 337  

이승수 (통계청 고용통계과) ,  박원란 (통계개발원 연구기획실) ,  정성석 (전북대학교 통계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조사를 통한 자료생성은 시간과 경제적인 제약이 많고, 조사 방법 및 특성에 따라 자료의 질이 결정되며, 수집된 조사정보를 통계정보로 활용하기까지 오랜 시간이 소요된다. 이와 같은 어려움을 줄이고자 조사 표본설계 단위 보다 작은 지역 또는 다른 영역에 대한 자료를 기존에 조사된 자료 및 행정자료를 이용하여 추정하는 소지역추정 통계방법 활용 연구는 꾸준히 진행되고 있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소지역추정기법을 이용하여 인간이 기본적인 삶을 영위하는데 반드시 필요한 필수재이며, 동시에 우리나라에서 투자재로서의 특징을 나타내는 주택과 관련하여, 요즈음 새로운 주거형태를 차지하는 전세와 월세 지수에 모형기반 소지역추정기법을 적용하고자 한다. 적용된 소지역추정 모형은 회귀모형 추정법, 계층적 베이지안 추정법, 시-공간적 추정법이며, 분석결과 전세와 월세에서 시-공간적 추정모형이 가장 효율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n this study we compared three models for small area estimation, Fay-Herriot, Hierarchical Bayses model and spatio-temporal model about charter, monthly rent price index. Charter, monthly rent price of Korea are important issue in these days. Because housing type rapidly changes from self to charte...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논문은 위에서 제시한 회귀모형 추정법, 계층적 베이지안 추정법, 시-공간적 추정법에 전세와 월세지수를 적용하여 전·월세 지수에 효율적 모형을 평가하고자 한다. 전세와 월세 지수는 한국감정원의 주택가격동향조사에서 아파트, 단독주택, 연립주택을 종합한 지수를 대상으로 분석했으며, 전·월세에 영향을 주는 설명변수는 전·월세와 주택가격과의 상관성을 고려하여, 주택가격에 영향을 주는 지역별 세대,주택매매지수, 미분양 주택수를 사용하였다.
  • 그러나 주택유형 중 아파트를 제외한 단독 및 연립주택은 공표지역이 광역지자체로 한정되어 시군구 이하의 세분화된 자료가 없는 실정이다. 이에 본 논문은 전·월세 시장의 흐름을 모형화된 소지역분석에 적용하고자 한다.
  • 따라서 전·월세 시장의 변화가 일시적이지 않고, 장기적인 현상으로 주택시장의 변화를 가져올 수 있다면 전·월세의 구조적 파악을 위한 모형화는 의미가 클 것이라고 생각된다. 이에 본 연구는 이러한 주택시장의 구조적 변화에 가장 중요한 부분을 차지하는 전·월세 연구를 시장의 변화가 가장 크고, 변화를 주도하는 서울 25개 구를 대상으로 진행하고자 한다. 전·월세 지수는 입지와 접근성에 따라 선호도를 유발하고, 그에 따라 가격이 형성됨을 고려할 때, 이와 깊은 연관성을 지닌 전·월세의 소지역 추세를 살펴보는 것은 의미가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 그러나 우리나라에서 진행되는 소지역추정기법은 대다수가 시군별 실업률과 관련된 고용통계에 관한 연구로 국한되어, 외국과 같은 다양한 분야에 연구가 진행되지 못하는 게 현실이다. 이에 본 연구는 인간이 기본적인 삶을 영위하는데 반드시 필요한 필수재이며, 동시에 우리나라에서 투자재로서의 특징을 나타내는 주택과 관련하여 소지역추정을 적용하고자 한다. ‘90년대 일본 경제의 장기침체나 미국의 서브프라임 모기지 사태 등에서 볼 수 있듯이 주택시장 변동은 경제 전반에 매우 큰 영향을 줄 수 있는 지표로써 본 연구는 2014년 주거실태조사에서 주택 거주유형의 21.
  • 소지역추정을 위해 사용된 자료는 한국감정원이 매달 발표하는 주택가격동향조사의 전·월세 지수를 활용하였다. 주택가격동향조사는 1986년에 국민은행에서 최초 작성되어, 현재는 한국감정원에서 전국의 주택 매매, 전세, 월세가격의 변동과 시장동향을 조사·분석하여 주택 정책수립 등에 활용하고자 조사된다. 주택관련 지수는 전국 264개 시군구의 거래 가능한 아파트, 단독주택, 연립주택 (임대 제외)의 월간조사와 아파트 표본 일부에 조사되는 주간조사로 나뉘어 진행되는 현장조사에 실거래가격이나 유사표본의 실거래가격이 반영되어 결정된다.

가설 설정

  • xi = (xi1,xi2, · · · , xip) T는 지역단위 보조변수, vi는 모형오차로 분산 #을 가지며 표본오차 ei와는 독립임을 가정한다. 최종적인 1단계에 2단계가 결합된 아래의 모형이 회귀모형 추정법 (Fay-Harriot) 모형이다 (Rao와 Yu, 1994; Rao, 2003).
  • 월세와 주민등록세대는 1%, 미분양주택수는 5%하에유의하였으나, 주택매매 수는 상관성이 유의하지 않았다. 모형기준 소지역분석은 변수간의 선형이 전제되어 월세는 주택매매 수를 설명변수에서 제외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소지역추정 (small area Estimation) 기법이란? 소지역추정 (small area Estimation) 기법은 원하는 소지역 (small area)의 자료를 얻고자 기존의 자료 생성의 표본 확대없이 해당 지역에 대한 통계나 소분류 (small domain)에 대한 통계를 간접적으로 추정하는 방법이다. 다시 말해, 이 기법은 표본규모를 조사목적에 맞춰 생성하지 않고, 행정업무에 의해 생성된 행정자료 및 기 생성된 조사자료 등을 보조정보로 활용해 신뢰수준을 갖춘 소지역단위 통계를 생산하는 방법이다 (Ghosh와 Rao, 1994).
새로운 주거형태를 차지하는 전세와 월세 지수에 모형기반 소지역추정기법을 적용한 배경은? 조사를 통한 자료생성은 시간과 경제적인 제약이 많고, 조사 방법 및 특성에 따라 자료의 질이 결정되며, 수집된 조사정보를 통계정보로 활용하기까지 오랜 시간이 소요된다. 이와 같은 어려움을 줄이고자 조사 표본설계 단위 보다 작은 지역 또는 다른 영역에 대한 자료를 기존에 조사된 자료 및 행정자료를 이용하여 추정하는 소지역추정 통계방법 활용 연구는 꾸준히 진행되고 있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소지역추정기법을 이용하여 인간이 기본적인 삶을 영위하는데 반드시 필요한 필수재이며, 동시에 우리나라에서 투자재로서의 특징을 나타내는 주택과 관련하여, 요즈음 새로운 주거형태를 차지하는 전세와 월세 지수에 모형기반 소지역추정기법을 적용하고자 한다.
소지역추정기법은 어떻게 나눌 수 있는가? 소지역추정기법은 설계기반 (design-based) 추정법, 간접 (indirect) 추정법과 모형기반 (modelbased) 추정법 등으로 나눌 수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0)

  1. An. D. S. and Han J. H and Yoon,T. H and Kim, C. H and Loh, M. S. (2015) Small area estimations for disease mapping by using spatial model. Journal of the Korean Data & Information Science Society, 26, 101?109 

  2. Battese, G. E., Harter, R. M. and Fuller, W. A. (1988). An error component model for prediction of county crop areas using survey and satellite data. Journal of the American Statistical Association, 83, 28-36. 

  3. Fay, R. E. and Herriot, R. A. (1979). Estimates of income for small places: An application of James-Stein procedures to census data. Journal of the American Statistical Association, 74, 269-277. 

  4. Ghosh, M. and Rao, J.N.K. (1994). Small area estimation: An appraisal. Statistical Science, 9, 55-76. 

  5. Isabel Molina and Yolanda Marhuenda (2015). SAE : An R package for small area estimation. The R Journal, 7, 55-93 

  6. Kim, D. H. (2005) Bayesian statistics using R and WinBUGS, Freeacademy, Gyeonggi-do. 

  7. Kim, J. and Kim, J. K. (2010). Small area estimation model for the urban unemployment statistics. Journal of the Korean Statistical Society, 17, 37-347. 

  8. Kim, S. T. and Ko S. N. and Kim S. D. (2008). An efficient approach to estimate labor statistics for small area - with a focus on unemployment rate. Korean Journal of Industrial Relations, 18, 53-76. 

  9. Kim. S. T. (2011). An efficient estimation of local area unemployment rate based on small area estimation. The Korean Journal of Applied Statistics, 24, 1129-1138 

  10. Kwon, S. P. and Kim, S. Y. (2010). Estimate labor statistics for small area. Statistics Korea, First half of 2010 Research Report, Daejeon. 

  11. Kwon, S. P. and Kim, S. Y. and Lee, J. H. (2011). A study on small area estimation method for regional statistics, Statistics Korea, the second half of 2011 Research Report, Daejeon. 

  12. Lee, G. O. (2002). Development of municipality unemployment statistics by small area estimation method, National Statistical Office Service Research Report, Statistics Korea, Daejeon. 

  13. Lee, J. Y and Kim, D. H. (2015) Bayesian estimation of median household income for small areas with some longitudinal pattern. Journal of the Korean Data & Information Science Society, 26, 755-762 

  14. Marhuenda, Y., Molina, I. and Morales, D. (2013). Small area estimation with spatio-temporal Fay-Herriot models. Computational Statistics and Data Analysis, 58, 308-325. 

  15. Park, M. R. (2015). Small area estimation based on mixed linear regression model using principal component score, Master Thesis, Korea University, Seoul. 

  16. Park, W. R. (2003). Estimation of rent change in small statistical unit. Journal of The Korean Official Statistics, 8, 111-130. 

  17. Rao, J. N. K. and Yu, M. (1994). Small-area estimation by combining time-series and cross-sectional data. The Canadian Journal of Statistics, 22, 511-528. 

  18. Rao, J. N. K. (2003). Small area estimation, Wiley, Hoboken, New Jersey. 

  19. Woo, N. K., Kwon, B. J. and Park, B. J. (2014). Estimation of house price index using Bayesian inference method of small area model. Korea Real Estate Analysts Association, 2, 1-6. 

  20. You, Y., Rao, J. N. K. and Gambino, J. (2003). Model based unemployment rate estimation for the canadian labour force survey. A hierarchical bayes approach. Statistics Canada, 29, 25-32.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