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과제유형에 따른 순환 과제훈련이 뇌졸중 환자의 우울감 및 삶의 질에 미치는 효과
The Effects of Task-Related Circuit Training by Type of Task on the Depression and Quality of Life in Stroke Patients 원문보기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Integrative Medicine = 대한통합의학회지, v.5 no.1, 2017년, pp.1 - 9  

김현애 (포항대학교 물리치료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effects of different task-related circuit training by types of tasks on the depression and quality of life in stroke patients. Method : Forty-four chronic stroke patients were divided into a dual motor circuit task training group, a dual cognitive circuit task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문제 정의

  • 그러므로 본 연구에서는 뇌졸중 환자를 대상으로 일상생활환경과 유사한 여러 과제를 순환하여 과제를 해결하는 순환과제를 수행하는 동안 이중 과제유형을 다르게 적용시키는 훈련을 받은 환자와 단일과제를 훈련한 뇌졸중 환자의 프로그램이 환자의 우울감 및 삶의 질 변화에 미치는 효과의 비교분석이 필요하다 사료되어 검증하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순환식 과제지향훈련의 장점은 무엇인가? 특히 순환식 과제지향훈련은 Carr 등(1985)에 의해 처음으로 뇌졸중 환자에게 적용된 훈련으로 일상생활에 유용한 실제적인 기능적 과제들과 운동집단을 현성해서 집단치료를 진행하는 두 가지 모두의 개념이 효과적으로 제시되는 운동 재학습프로그램이다(박현식, 2005; 김현애,2012). 박현식(2005)의 연구에서 환자의 삶의 질 변화 및 일상생활활동 능력 향상에 더 효과적으로 보고되었으며,김병관(2010)은 순환 과제지향훈련을 시킨 뇌졸중 환자에게 보행 및 균형능력의 증가를 보고하였다. 또한 박선자와 배선영(2012)의 연구에서는 과제지향훈련이 환자의 만족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고 보고하였다. 지금까지 과제 지향훈련의 효과는 많은 연구들을 통해 증명되었지만,뇌졸중환자가 일상생활과 관련된 과제를 반복적으로 학습하는 과제 지향적 훈련이나 순환과제 훈련을 단독으로 훈련하여 일반물리치료를 중재한 대조군과의 전․후 비교를 통해 기능적 변화를 측정하였고(조규행 등, 2004; Yang 등,2007), 삶의 질이나 우울감에 미치는 영향을 비교하는 논문이더라도 순환과제 훈련이나 한 가지 자세과제를 제시한 후 전․ 후 비교를 살펴보는 연구들이 대부분이었다(김병관, 2010; Lord 등, 2006).
삶의 질이란 무엇인가? 삶의 질은 세계 보건기구에 의하면 매우 광범위한 개념으로 개인의 환경 안에서 자신의 삶에 대해 느끼는 주관적 인식인데, 신체 건강, 환경 안에서 관계, 정신 상태, 독립수준, 사회적 측면에서 다양하게 영향을 받는 개념이다(Calvert & Freemantle, 2003). 뇌졸중 환자의 다양한 임상 증상들은 환자의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며, 특히 우울감이 뇌졸중 환자의 삶의 질을 예측하는 최대 예측인자로 보고되었는데, 뇌졸중 환자에서 우울 정도가 높을수록 삶의 질이 낮게 지각되었다(김현철 등, 2002).
과제지향훈련의 특징은 무엇인가? 과제지향(task-oriented)훈련은 특수한 기능적 과제들을 신경계나 근골격계 손상 환자들을 대상으로 훈련시키는과제를 통한 훈련의 필요성을 강조한 활동적인 프로그램이고(Yang 등, 2006), 이러한 과제들은 실제 일상생활활동의 수행능력 향상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쳐 보다 효율적인치료법이라 할 수 있다(Canning 등, 2003; 김현애, 2012). 과제지향 훈련은 주로 하나의 과제를 수행하면서 동시에 다른 과제를 수행하게 되는 이중과제 수행방법을 사용하는데(Pellecchia 등; 2005), 주로 인지과제(cognition task)나 지능과제(mental task)를 자세과제와 결합하여 시행하는 이중인지과제(Kizony 등, 2010)와 자세과제에 하나이상의 운동능력을 요구하는 과제를 추가 훈련시키는 이중 운동과제가 시행되어진다(Yang 등, 2007).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4)

  1. 국립재활원(1997). 97 지역사회재활 교육자료 1. 보건복지부 국립재활원, 57. 

  2. 김병관(2010). 순환식 과제지향 프로그램과 상상연습 병행이 뇌졸중 환자의 균형과 보행에 미치는 효과. 용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3. 김재경(2011). 과제지향 훈련환경이 뇌졸중 환자의 보행기능과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용인대학교 재활보건과학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4. 김현애(2012). 이중 과제유형에 따른 순환 과제훈련이 만성뇌졸중 환자의 균형과 보행에 미치는 영향. 대구대학교 재활과학대학원, 박사학위 논문. 

  5. 김현철, 김세주, 최낙경 등(2002). 뇌졸중 후 삶의 질에 관한 추적연구. 신경정신의학회지, 41(4), 681-692. 

  6. 문정인(2004). SS-QOL 척도를 이용한 뇌졸중환자의 삶의 질 요인에 관한 연구. 대구대학교 재활과학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7. 박인혜(2006). 뇌졸중 환자의 가족지지에 따른 일상생활활동과 삶의 질의 상관관계. 대구대학교 재활과학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8. 박선자, 배선영(2012). 과제지향적 활동이 만성뇌졸중 환자의 일상생활동작 수행능력과 균형능력 및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대한작업치료학회지, 20(2), 1-11. 

  9. 박현식(2005). 집단순환식 과제지향훈련이 뇌졸중 환자의 기능적 독립성과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단국대학교특수교육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10. 성상석, 최찬범, 성윤경 등(2004). 한국인에서 EQ-5D를 이용한 건강 관련 삶의 질 측정. 대한류마티스학회, 11(3), 254-262. 

  11. 손주리(2015). 과제 지향적 일상생활활동 훈련이 뇌졸중환자의 상지기능 및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가천대학교 보건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12. 송인자(2012). 뇌졸중 환자의 경과시간에 따른 삶의 질 변화양상. 전남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논문. 

  13. 여연옥(2010). 만성질환노인 환자의 자아존중감, 일상생활 수행능력 및 우울에 관한 연구. 한양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14. 오세만, 민경준, 박두병(1999). 병원 불안-우울 척도에 관한 표준화 연구. 대한신경정신의학회지, 38(2), 289-296. 

  15. 유수전, 황기철, 김희정 등(2010). 거울매개치료가 뇌졸중후 편마비 환자의 상지기능과 일상생활활동에 미치는 영향. 대한작업치료학회지, 19(2), 25-37. 

  16. 유영열, 안창식(2009). 뇌졸중 환자가 인지하는 재활동기와 삶의 질 관계의 연구. 대한작업치료학회지, 17(2), 1-16. 

  17. 윤보람(2015). 뇌졸중 장애인의 활동참여가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과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연구. 경남과학기술대학교 산업복지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18. 전병진, 이재신(2005). 뇌졸중 삶의 질(Stroke Specific Quality of Life; SS-QoL)평가 도구 타당도 검증. 대한작업치료학회지, 13(3), 23-32. 

  19. 조규행, 이석민, 우영근(2004). 뇌졸중 환자에서 순환식 과제지향 프로그램이 기능증진에 미치는 효과. 한국전문물리치료학회지, 11(3), 59-70. 

  20. 조복희, 고미혜, 김순영(2003). 재가 뇌졸중 환자의 일상활동 수행능력, 우울, 자기효능감 및 삶의 질과의 관계. 재활간호학회지, 6(1), 51-60. 

  21. 조예경(2013). 뇌졸중 환자의 건강관련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고려대학교 보건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22. 최선애(2004). 만성 뇌졸중 장애인의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연구. 성균관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23. 최진욱, 강순희(2013). 과제 지향적 훈련프로그램이 뇌졸중 환자의 균형, 일상생활동작 수행능력 및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대한통합의학회지, 1(4), 15-24. 

  24. 통계청(2011). 사망원인 통계결과. 서울, 통계청. 

  25. 황병용(2002). 고유수용성 운동조절 프로그램이 만성 뇌졸중 환자의 균형 및 보행에 미치는 영향. 계명대학교보건대학원, 박사학위 논문. 

  26. Canning CG, Shepherd RB, Carr JH, et al(2003). A randomized controlled trial of the effects of intensive sit-to-stand training after recent traumatic brain injury on sit-to-stand performance. Clin Rehabil, 17(4), 355-362. 

  27. Calvert MJ, Freemantle N(2003). Use of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in prescribing research. Part 1 : why evaluate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Journal of Clinical Pharmacology and Therapeutic, 28(6), 513-521. 

  28. Carod-Artal FJ, Trizotto DS, Coral LF, et al(2009). Determinants of quality of life in Brazilian stroke survivors. J Neurol Sci, 284(1), 63-68. 

  29. Carr JH, Shepherd RB, Nordholm L(1985). Investigation of a new motor assess ment scale for stroke patients. Phys Ther, 65(2), 175. 

  30. Dean CM, Richards CL, Malouin F(2000). Task-related circuit training improves performance of locomotor tasks in chronic stroke: a randomized, controlled pilot trial. Arch Phys Med Rehabil, 81(4), 409-417. 

  31. Freed MM(1984). Academy presidential address. Quality of life : the physician's dilemma. Arch Phys Med Rehabil, 65(3), 109-111. 

  32. King RB(1996). Quality of life after stroke. Stroke, 27(9), 1467-1472. 

  33. Kizony R, Levin MF, Hughey L, et al(2010). Cognitive load and dual-task per formance during locomotion poststroke: a feasibility study using a functional virtual environment. Phys Ther, 90(2), 252-260. 

  34. Linda SW, Morris W, Lisa E, et al(1999). Development of a stroke-specific quality of life scale. Stroke, 30(7), 1362-1369. 

  35. Lisspers J, Nygren A, Soderman E(1997). Hospital anxiety and depression scale(HAD): Some psychometric data for a swedish sample. Acta Psychiatr Scand, 96(4), 281-286. 

  36. Lord SE, Rochester L, Weatherall M, et al(2006). The effect of environment and task on gait parameters after stroke: a randomized comparison of measurement conditions. Arch Phys Med Rehabil, 87(7), 967-973. 

  37. Moon YS, Kim SJ, Kim HC, et al(2004). Correlates of quality of life after stroke. J Neuro Sci, 224(1-2), 37-41. 

  38. Park JH, Kwon YC(1990). Modification of the mini mental state examination for use in the elderly in a non western society part 1. development of korean version of mini mental state examination. Int J Geriatr Psychiatry, 5(6), 381-387. 

  39. Pellecchia GL, Shockley K, Turvey MT(2005). Concurrent cognitive task modulates coordination dynamics. Cognitive Sci, 29(4), 531-557. 

  40. Rensink M, Schuurmans M, Lindeman E, et al(2009). Task oriented training in rehabilitation after stroke: systematic review. J Advanced Nurs, 65(4), 737-754. 

  41. Van Iersel MB, Ribbers H, Munneke M, et al(2007). The effect of cognitive dual tasks on balance during walking in physically fit elderly people. Arch Phys Med Rehabil, 88(2), 187-191. 

  42. Wevers L, van de Port I, Vermue M, et al(2009). Effects of task oriented circuit class training on walking competency after stroke : asystematic review. Stroke, 40(7), 2450-2459. 

  43. Yang YR, Wang RY, Lin KH, et al(2006). Task-oriented progressive resistance strength training improves muscle strength and functional performance in individuals with stroke. Clin Rehabil, 20(10), 860-870. 

  44. Yang YR, Chung YC, Lee CS, et al(2007). Dual-task-related gait changes in individuals with stroke. Gait Posture, 25(2), 185-190.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