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규조토 정제 및 탄화규소 분말합성
A Refining of Natural Diatomite and Synthesis of SiC Powder 원문보기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v.18 no.3, 2017년, pp.312 - 319  

배철훈 (인천대학교 생명공학부)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국내 부존 청광 규조토의 고부가가치 활용을 위해 물리적인 불순물 정제 및 정제 규조토 중의 SiO2 성분을 규소원으로 한 탄화규소 분말합성에 대해 연구하였다. 청광 규조토를 hammer mill을 이용해서 분쇄한 후 체가름을 통한 입도 분리에 의해서 약 30% 정도의 철분 ($Fe_2O_3$) 정제 효과를 얻을 수 있었으며, 325 mesh 이하 입도 분말의 철분 함량은 약 2% 이었다. 습식 및 건식 자력선별의 경우 모두 철분 함량의 분리 및 정제 효과가 일부 있었지만 회수되는 비자성 부산물 중의 철분 함량이 약 2%로 잔존양이 많음을 알 수 있었다. 청광 원광의 물 침출은 철분 제거에 효과적이었으며, 물 침출 결과 약 40% 정도의 철분이 제거되었다. 또한 정제 규조토 중의 $SiO_2$ 성분을 탄소 (흑연, 카본블랙)로 환원 탄화 반응시켜 ${\beta}$-SiC를 합성하였고, 합성 분말의 산처리를 통한 철분 정제 및 비표면적 변화 등에 대해 연구하였다. 환원제로 흑연보다는 카본블랙을 사용함이 보다 효과적이었고, 산처리공정에 의해 Fe, Ca 등의 불순물들이 거의 제거되었고, 비표면적은 $52.5m^2/g$ 까지 증가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For high value-added applications of natural blue diatomite, the physical refining process and synthesis of SiC from refined diatomite were investigated. Approximately 30 percent Fe ($Fe_2O_3$) in raw blue diatomite was removed by a particle sieve separation process; the Fe composition fo...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더불어 이차적으로 규소질 원료로의 활용가능성에 대해 고찰하였다. 현재 규소질 원료는 내화물, 유리, 도자기, 몰탈시멘트 등에 대량으로 사용되어지고 있으나 이러한 용도에는 고순도의 규소원이 요구되어지지 않는다.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일차적으로 국내부존 규조토의 활용범위 극대화 및 고부가가치 부여를 목적으로 연구 주대상 광종으로는 청광 (Fig. 1)을 선택하였고, 입도분리 및 자력선별 등의 물리적 방법에 의한 불순물 정제에 대해 실험하였다.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정제 규조토 중의 SiO2 성분을 탄소로 환원탄화반응시켜 β-SiC를 합성하였고, 합성분 말의 산처리를 통해 분말의 미세화, 정제, 비표면적 변화 등에 대해 연구하였다.
  • 청광 규조토로부터 SiC 분말합성의 가능성과 잔여 불순물 제거가 본 연구의 주된 목적이기에 산처리에 의한 불순물 정제효과에 대해 연구하였다. Table 6에 건식자력선별 부산물과 카본블랙으로부터 합성한 SiC 분말 (시료 SC)를 HF와 HNO3의 혼합산으로 처리한 분말의 불순물 분석결과를, Table 7에 산처리후 질량 및 비표면적 변화를 나타내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SiC 분말합성법으로는 무엇이 있는가? SiC 분말합성법으로는 Acheson 법[1]과 Si, SiO, SiO2 등의 탄화환원법[2-4] 등이 있으며, 소결방법으로는 고온프레스법, 상압소결법, 반응소결법, 재결정법, 고압자기 연소소결법[5] 등이 사용되고 있다. SiC는 입방정인 β-SiC와 육방정 및 능면체인 α-SiC로 대별할 수 있는데, β-SiC 분말의 소결이 α-SiC 분말의 소결보다 낮은 온도에서 고밀도의 소결체를 얻을 수 있고 또한 소성수 축도 적은 이점이 있다.
순수한 규조토의 화학적 조성은? 규조토의 70% 이상은 SiO2로 구성되어 있으며, SiO2이외 불순물의 함량이 낮을수록 일반적으로 백색을 띠고 고품위광으로 분류된다. 순수한 규조 유해의 화학적 조성은 SiO2 96.16∼96.80%, Al2O3+Fe2O3 1.20∼1.80%, 화합수 1.92∼1.98%이다. 그러나 실제로 산출되는 규조토는 유기물질이나 산화철, 산화알루미늄, 규산류 등을 불순물로 포함하는데, 이는 해저나 호저에 퇴적되는 과정에서 혼입된 것들이다.
실제로 산출되는 규조토에는 어떤 불순물이 포함되어 있는가? 98%이다. 그러나 실제로 산출되는 규조토는 유기물질이나 산화철, 산화알루미늄, 규산류 등을 불순물로 포함하는데, 이는 해저나 호저에 퇴적되는 과정에서 혼입된 것들이다. 규조토는 자연상태에서 무정형 이지만 1000∼1600℃에서 cristobalite나 tridymite로 결정화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7)

  1. B. W. Jong. "Formation of Silicon Carbide from Silica Reduction and Carbon," Am. Cearm. Soc. Bull., 58(8), pp. 788-789, 1979. 

  2. J. G. Lee, "The Synthesis of High Quality ceramics from Carbothermal Reduction of Oxide," J. Kor. Ceram. Soc., 15(4), pp. 224-227, 1978. 

  3. Y. Sugahara, "Carbide Formation from a Montmorillonite- Polyacrylonitrille Intercalation Compound by Carbohermal Reduction," Yogyo-Kyokai-Shi, 94(1), pp. 48-53, 1986. DOI: https://doi.org/10.2109/jcersj1950.94.48 

  4. P. D. Miller, J. G. Lee, I. B. Cutler. "The Reduction of Silica with Carbon and Silicon Carbide," J. Am. Cearm. Soc.., 62(3-4), pp. 147-149, 1979. DOI: https://doi.org/10.1111/j.1151-2916.1979.tb19041.x 

  5. O. Yamada, "High Pressure Self-Combustion Sintering of SiC from Fine Mixed Powders of Silicon and Carbon," Yogyo-Kyokai-Shi, 94(5), p.512-516, 1986. DOI: https://doi.org/10.2109/jcersj1950.94.1089_512 

  6. H. L. Lee, Engineering Ceramics, Bando Publishing Company, pp.41-42, 1986. 

  7. T. Hase, "Properties of Submicron ${\beta}$ -SiC Prepared from Siliconization of Carbon Black," Yogyo-Kyokai-Shi, 86 (11), pp. 541-546, 1978. DOI: https://doi.org/10.2109/jcersj1950.86.999_541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