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식물조직배양 기술을 이용한 새로운 실내 원예 장식품인 비보리움(Vivorium)의 개발
Development of Vivorium, a new indoor horticultural ornamental plants via plant tissue culture techniques 원문보기

Journal of plant biotechnology = 식물생명공학회지, v.48 no.3, 2021년, pp.179 - 185  

황민희 (서울시립대학교 자연과학대학 환경원예학과) ,  김도연 (서울시립대학교 자연과학대학 환경원예학과) ,  조인선 (서울시립대학교 자연과학대학 환경원예학과) ,  김미형 (서울시립대학교 자연과학대학 환경원예학과) ,  권현숙 (서울시립대학교 자연과학대학 환경원예학과) ,  김종보 (건국대학교 의료생명대학 생명공학과) ,  김수정 (농촌진흥청 국립식량과학원 바이오에너지작물연구소) ,  김선형 (서울시립대학교 자연과학대학 환경원예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현대사회에서 실내원예는 크게 벽면녹화나 가정 미니정원과 같은 복합설치 실내원예와 꽃꽂이, 테라리움, 실내 미니식물 재배와 같은 식물 위주 분야로 크게 나눌 수 있다. 이러한 실내원예에서 테라리움은 가장 일반인이 접근하기 쉽지만, 한국에서의 테라리움은 미적 감각이 우선 시 되었기 때문에 테라리움의 본래 목적인 밀폐공간에서 식물을 지속 가능하게 성장하고자 하는 취지가 상실되어버렸다. 또한 밀폐된 공간안에 식물을 식재하기 위해서는 식물의 미니화가 필요하다. 이러한 식재식물의 제한성 때문에 다육식물, 선인장, 이끼 등에 이용 가능 식물이 국한되어 있다. 이와 같은 문제점들을 극복하기 위해 본 연구에서는 다육식물 브론즈(X Graptosedum, Bronze)를 이용하여 테라리움 식재식물의 건전주화, 테라리움 식재를 위한 미니식물의 다양성, 미니식물의 대량생산을 통한 가격절감 등 3가지 문제점을 개선하였다. 특히 조직배양 된 다육식물을 조직배양 용기의 교체 및 식물체의 조성을 새롭게 하여 비보리움으로 발전시켰다. 본 논문에서는 현재 테라리움 문제점을 개선하고자, 새로운 실내원예 분야인 비보리움을 창안함으로 보다 일반인이 쉽게 접근할 수 있는 새로운 실내원예 분야를 창안하였다고 할 수 있다. 현대사회와 같은 1인 가구의 증가 및 팬데믹(Pandemic) 시대에서의 실내활동 증가로 인한 새로운 실내 원예 분야의 소개와 참여는 심리적 안정에도 도움이 될 수 있다고 판단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ndoor gardening includes wall greening, terrariums, and flower arrangements. Among these types of indoor gardens, the terrarium is easy to access for the general public, but in Korea, because of the focus on esthetics, the original purpose of creating terrariums, which was to grow plants sustainabl...

주제어

표/그림 (5)

참고문헌 (7)

  1. Chen YC, Chang C, Chang WC (2000) A reliable protocol for plant regeneration from callus culture of Phalaenopsis. In Vitro Cellular & Developmental Biology-Plant 36:420-423 

  2. Choi EH, Hong JW, Kim J (2020) Current Recognition and Preference between Indoor Gardening and Terrarium. In proc. Meeting of society for people, plants, and environment, pp 233 

  3. Hershey DR (1996) Doctor Ward's accidental terrarium. The American Biology Teacher 58(5):276-281 

  4. Miller AR, Chandler CK (1990) Plant regeneration from excised cotyledons of mature strawberry achenes. HortScience 25(5):569-571 

  5. Murashige T, Skoog F (1962) A revised medium for rapid growth and bioassays with tobacco tissue culture. Physiologia Plantarium 15:473-497 

  6. Sharma SK, Bryan GJ, Winfield MO, Millam S (2007) Stability of potato (Solanum tuberosum L.) plants regenerated via somatic embryos, axillary bud proliferated shoots, microtubers and true potato seeds: a comparative phenotypic, cytogenetic and molecular assessment. Planta 226:1449-1458 

  7. Sihachakr D, Haicour R, Alves JC, Umboh I, Nzoghe D, Servaes A, Ducreux G (1997) Plant regeneration in sweet potato (Ipomoea batatas L., Convolvulaceae). Euphytica 96:143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