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하수 슬러지 수열탄화액의 혐기적 유기물 분해 특성 연구
Characteristics of Anaerobic Biodegradability in Hydro-thermal Hydrolysate of Sewage Sludge 원문보기

유기물자원화 = Journal of the Korea Organic Resources Recycling Association, v.25 no.1, 2017년, pp.35 - 45  

오승용 (한경대학교 바이오가스연구센터) ,  윤영만 (한경대학교 바이오가스연구센터)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하수슬러지의 혐기소화 효율 향상을 위하여 유기물 가용화를 위한 수열탄화 최적 온도조건을 규명하고자 170, 180, 190, 200, 210, $220^{\circ}C$의 수열탄화 반응에서 생성된 수열탄화액의 메탄퍼텐셜을 분석하였으며, 병열 1차 반응식(Parallel first order kinetics model)을 적용하여 수열탄화액의 유기물을 이분해성, 분해저항성, 난분해성 유기물로 분획하여 유기물의 구성 특성을 추정하였다. 하수슬러지의 누적 메탄생산곡선은 회분식 혐기반응기 운전 후기까지 지속적으로 증가하는 양상을 보였으며 병열 1차 반응식을 적용하여 합리적인 최종메탄퍼텐셜($B_u$)의 분석이 가능하였다. 하수슬러지 수열탄화액의 최종 메탄퍼텐셜은 수열탄화온도가 170, 180, 190, 200, 210, $220^{\circ}C$로 증가함에 따라 각각 0.39, 0.39, 0.40, 0.44, 0.45, $0.46Nm^3/kg-VS_{added}$로 증가하였으며, 수열탄화 반응온도의 상승은 하수슬러지의 유기물을 가용화 시켜 생분해성 유기물($VS_B$)의 함량을 증가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분해성 유기물($VS_e$) 함량은 수열탄화 반응온도 $200{\sim}210^{\circ}C$에서 가장 높게 나타나 하수슬러지의 유기물 가용화를 위한 최적 수열탄화 반응온도는 $200{\sim}210^{\circ}C$의 범위로 나타났다. 또한 수열탄화 반응으로 얻어지는 하수슬러지 수열탄화액에서 생분해성 유기물($VS_B$)과 이분해성 유기물($VS_e$)의 양은 수열탄화 반응온도 $200^{\circ}C$에서 가장 높게 나타나 $200^{\circ}C$의 수열탄화 반응온도가 하수슬러지의 가용화에 최적 온도조건으로 판단되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n order to improve the anaerobic digestion efficiency of the sewage sludge, the methane potential of the hydrolysate generated from the hydro-thermal reaction at 170, 180, 190, 200, 210, $220^{\circ}C$ was analyzed and the constitutional characteristics of the organic materials were esti...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하수슬러지의 수열탄화 기술을 적용하여, 하수슬러지 유기물의 가용화를 위한 최적 수열탄화 반응온도 조건을 설정하고, 수열탄화를 통한 가용화 유기물의 혐기적 분해특성에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수열탄화 반응에서 생성된 수열탄화액의 메탄퍼텐셜을 분석하였으며, 병열 1차 반응속도식을 적용하여 수열탄화액의 유기물을 이분해성, 분해저항성, 난분해성 유기물로 분획하여 유기물의 구성 특성을 추정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하수슬러지의 혐기소화 효율 증진을 위한 최적의 수열탄화 반응온도 조건을 도출하기 위하여 수열탄화 반응온도별 하수슬러지 수열탄화액의 메탄퍼텐셜을 분석하였으며, 병열 1차 반응속도식(Parallel first order kinetics)을 이용하여 수열탄화 반응온도별 유기물의 혐기적 분해특성을 분석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하수슬러지의 혐기소화효율 증진을 위한 유기물 가용화 기술은 어떤 것이 있는가? 특히 하수슬러지는 혐기소화시 분해가 어려워 바이오가스 생산 효율이 낮은 특성이 있다. 따라서 하수슬러지의 혐기소화효율을 증진시키기 위하여 다양한 유기물 가용화 기술이 연구되었으며, 오존과 과산화수소를 이용한 산화처리2), 산 또는 염기 처리3-4), 초음파 및 마이크로파 처리5-6), 분쇄처리7), 열화학적 처리8-9) 등의 기술 적용 사례가 보고되고 있다.
수열탄화 기술은 무엇인가? 수열탄화(Hydro-thermal carbonization) 기술은 열화학적 처리기술의 하나로서 300℃이내에서 탈수, 탈산소, 압밀작용으로 탄화하고 고열량의 액체연료를 생산하거나 탈수·건조시켜 고열량의 고체연료를 생산하는 기술이다. 최근에는 바이오매스의 에너지 전환효율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수열탄화 기술을 적용하여 고밀도의 탄화물은 고체연료로 사용하고, 수열탄화 과정에서 발생하는 열화학적 수열탄화액은 혐기소화를 거쳐 바이오가스로 전환하는 통합 플랜트 기술의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하수슬러지의 바이오가스화가 어려운 이유는? 국내 하수슬러지 바이오가스화 시설은 2014년 기준 21개소로 보고되고 있으며, 시설용량은 27,430 톤/일이다1). 기존 하수슬러지 혐기소화에서 하수슬러지는 총고형물 2-4% 수준의 농축슬러지 형태로 소화조에 유입·처리되고 있으며, 대부분의 혐기소화 시설이 바이오가스 생산보다는 슬러지의 유기물 감량화를 목적으로 설치·운전되고 있어 음식물쓰레기, 음폐수, 가축분뇨 혐기소화시설과 비교하여 바이오가스 생산 및 이용효율이 저조한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1). 특히 하수슬러지는 혐기소화시 분해가 어려워 바이오가스 생산 효율이 낮은 특성이 있다. 따라서 하수슬러지의 혐기소화효율을 증진시키기 위하여 다양한 유기물 가용화 기술이 연구되었으며, 오존과 과산화수소를 이용한 산화처리2), 산 또는 염기 처리3-4), 초음파 및 마이크로파 처리5-6), 분쇄처리7), 열화학적 처리8-9) 등의 기술 적용 사례가 보고되고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0)

  1. Ministry of Environment, "2015 Sewer statistics", (2015). 

  2. Hendriks, A.T.W.M., Zeeman, F., "Pretreatments to enhance the digestibility of lignocellulosic biomass", Bioresour. Techno., 100(1), pp. 10-18. (2008). 

  3. Hamzawi, N., Kennedy, K.J., McLean, D.D., "Anaerobic digestion of co-mingled municipal solid waste and sewage sludge", Water Sci. Technol., 38(2 pt 2), pp. 127-132. (1998). 

  4. Jhang, D., Chen, Y., Zhao, Y., Zhu, X., "New sludge pretreatment method to improve methane production in waste activated sludge digestion", Environ. Sci. Technol., 44, 12, pp. 4802-4808. (2010). 

  5. Pilli, S., Bhunia, P., Yan, S., Leblanc, R.J., Tyagi R.D., Surampalli, R.Y., "Ultrasonic pretreatment of sludge : A review", Ultrason. Sonochem., 18(1), pp. 1-18. (2011). 

  6. Luste, S., Luostarinen, S., "Enhanced methane production from ultrasound pre-treated and hygienized dairy cattle slurry", Waste Management, 31, pp. 2174-2179. (2011). 

  7. Izumi, K., Okishio, Y.K., Nagao, N., Niwa C., Yamamoto, S., Toda, T., "Effects of particle size on anaerobic digestion of food waste", Int. Biodeterior. Biodegrad., 64(7), pp. 601-608. (2010). 

  8. Kepp, U., Machenbach, I., Weisz, N., Solheim, O.E., "Enhanced stabilisation of sewage sludge through thermal hydrolysis-Three years of experience with full scale plant", Water Sci. Technol., 42, pp. 89-96. (2000). 

  9. Perez-Elvira, S.I., Fernandez-Polanco, F., Fernandez-Polanco, M., Rodraguez, P., Rouge, P., "Hydrothermal multivariable approach, full-scale feasibility study", Electron J. Biotechnol., 11(4). (2008). 

  10. Carlsson, M., Lagerkvist, A., Morgan-Sagastume, F., "The effects of substrate pre-treatment on anaerobic digestion systems: A review", Waste Management, 32(9), pp. 1634-1650. (2012). 

  11. Bougrier, C., Delgenas, J.P., Carrare, H., "Effects of thermal treatments on five different waste activated sludge samples solubilisation, physical properties and anaerobic digestion", Chem. Eng. J., 139, pp. 236-244. (2008). 

  12. Ajandouz, E.H., Desseaux, V., Tazi, S., Puigserver, A., "Effect of temperature and pH on the kinetics of caramelistion, protein cross-linking and Mailard reactions in aqueous medel systems". Food chem., 107, pp. 1244-1252. (2008). 

  13. Williams, A., Amat-Marco, M., & Collins, M.D. "Pylogenetic analysis of Butyrivibrio strains reveals three distinct groups of species within the Clostridium subphylm of the gram-positive bacteria", Int. J. Syst. Bacterol., 46, pp. 195-199. (1996). 

  14. Beuvink, J.M., Spoelstra, S.F., & Hogendrop, R.J., "An automated method for measuring the time course of gas production of feedstuffs incubated with buffered rumen fluid. Neth", J. Agri. Sci., 40, pp. 401-407. (1992). 

  15. Lay, J.J., Li, Y.Y., & Noike, T., "Mathematical model for methane production from landfill bioreactor", J. Environ. Eng., 124(8), pp. 730-736. (1998). 

  16. Rao, M.S., Singh, S.P., Singh, A.K., & Sodha, M.S., "Bioenergy conversion studies of the organic fraction of MSW: assessment of ultimate bioenergy production potential of municipal garbage", Applied Energy, 66, pp. 75-87. (2000). 

  17. Luna-delRisco, M., Normak, A., & Orupald, K., "Biochemical methane potential of different organic wastes and energy crops from Estonia", Agronomy Research, 9(1-2), pp. 331-342. (2011). 

  18. Shin, K.S., "Factor analysis of methane production potential from crop and livestock biomass", Ph.D. Thesis, Hankyong National University, Anseong, Korea. (2013). 

  19. APHA., "Standard Methods for the Examination of Water and Wastewater, 21th Edition. (2005). 

  20. Martins, S.I.F.S., Jongen, W.M.F., & Boekel, M.A.J.S., "A review of maillard reaction in food and implications to kinetic modelling", Trends food Sci. Technol., 11, pp. 364-373. (2001).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