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유당분해율에 따른 저지방 유당분해우유의 품질 특성
Comparing the Quality Characteristics of Lactose-Hydrolyzed Low-Fat Milk 원문보기

Journal of milk science and biotechnology = 한국유가공학회지, v.35 no.1, 2017년, pp.39 - 45  

정다혜 (서울우유협동조합 중앙연구소) ,  신용국 (서울우유협동조합 중앙연구소) ,  강신호 (서울우유협동조합 중앙연구소)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에서는 유당분해율에 따른 저지방우유의 이화학적 특성을 비교해 보고자 하였으며, 유당 함량과 빙점 값의 상관 공식을 도출하여 유당분해 제조공정상 유당분해 정도를 쉽고 빠르게 예측하고자 하였다. 우유의 빙점은 특히 유당 함량과 염류와 같은 미네랄의 변화에 따라 큰 영향을 받는다고 알려져 있는데, 본 실험에서도 $10^{\circ}C$에서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유당이 서서히 분해되고 빙점 값도 함께 떨어짐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y=-50.416x+767.91($R^2=0.9866$, x값은 유당함량(g/100 mL), y값은 빙점 값(m $^{\circ}C$))과 같은 상관식을 도출하였다. 단, 유당분해우유의 제조공정, 분해조건, 원유의 특성에 따라 다소 차이는 있을 수 있으나, 공정 표준화된 제품에는 쉽게 적용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유당분해우유는 살균 방법 또는 장기간 저장 중에 마일라드 반응, 갈변화, 풍미 등에 영향을 받는다고 알려져 있으나, 이화학적 특성 분석 결과에서 유당분해율에 따른 샘플 간의 우유 단백질, 유지방, 무지유 고형분, 총 고형분, pH, 산도 값에 유의 차는 없었다(p<0.05). 또한, 색도 값과 입자 크기에서도 유당분해율에 따른 샘플 간 다소 차이는 있으나, 뚜렷한 경향은 보이지 않았다. 단, 유지방 함량에 따른 입자크기는 유의적인 차이를 보였다(p<0.05). 본 연구에서는 유당분해율에 따른 저지방우유의 품질 특성을 파악할 때, 장기간 보관 중에 따른 이화학적 변화를 살펴보지 않았다는데 한계가 있다. 따라서, 향후 유당분해우유 품질에 영향을 줄 수 있는 요인인 저장 기간을 달리한 이화학적 특성을 살펴 제품에 다양하게 적용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면 좋을 것으로 사료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market for lactose-hydrolyzed milk is growing due to an increased awareness of lactose intolerance, and increased market interest for modified milk with health claims.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compare the quality characteristics of 2% lactose-hydrolyzed milk with its lactose hydrolysis rate,...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저지방 유당분해우유의 분해 시간 정도에 따른 유당 함량과 빙점 값의 상관관계를 도출하여 유당 함량을 빠르고 쉽게 예측하고자 한다. 또한, 유당분해율에 따른 유당분해우유의 이화학적 특성을 비교하여 향후 락토프리 제품 개발에 적용할 수 있는 기초 데이터를 마련하고자 한다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저지방 유당분해우유의 분해 시간 정도에 따른 유당 함량과 빙점 값의 상관관계를 도출하여 유당 함량을 빠르고 쉽게 예측하고자 한다. 또한, 유당분해율에 따른 유당분해우유의 이화학적 특성을 비교하여 향후 락토프리 제품 개발에 적용할 수 있는 기초 데이터를 마련하고자 한다
  • 본 연구에서는 유당분해율에 따른 저지방우유의 이화학적 특성을 비교해 보고자 하였으며, 유당 함량과 빙점 값의 상관 공식을 도출하여 유당분해 제조공정상 유당분해 정도를 쉽고 빠르게 예측하고자 하였다. 우유의 빙점은 특히 유당 함량과 염류와 같은 미네랄의 변화에 따라 큰 영향을 받는다고 알려져 있는데, 본 실험에서도 10℃에서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유당이 서서히 분해되고 빙점 값도 함께 떨어짐을 확인하였다.

가설 설정

  • 1) CM means control milk.
  • 2) LHM-3H means lactose hydrolyzed milk for 3 hours.
  • 3) SNF means solid-non fat
  • 3) Values in different letters among milk samples in the same column are significantly different (p<0.05).
  • 4) TS means total solids
  • 4) Values in different letters among milk samples in the same column are significantly different (p<0.05).
  • 5) TA means titratable acidity.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유당분해효소 결핍 및 활성감소가 인체에 미치는 영향은 무엇인가? 유당이 장 세포 내에 흡수되기 위해서는 단당류인 포도당과 갈락토오즈로 분해되어야 하는데, 이는 소장 세포 내에 존재하는 유당분해효소에 의해 분해가 이루어질 수 있다. 유당분해효소의 결핍 또는 활성감소로 인해 유당의 분해가 일어나지 않으면, 소장에서 흡수되지 않은 유당이 대장에 도달하여 장내 미생물에 의해 가스를 형성해 복통, 설사, 속 부글거림 등의 유당불내증을 일으키게 된다(Messia et al., 2007; Vandenplas, 2015).
유당의 분해 정도 측정하는 전통적인 방법은 무엇인가? 유당의 분해 정도를 측정하기 위해서는 여러 가지 방법이 있다. 전통적인 방법으로는 액체크로마토그래피법(Liquid chromatographic method), 효소적 방법(Enzymatic method), 편광계적 방법(Polari- metric method) 등이 있는데, 이는 유당함량을 측정할 때마다 숙련된 기술자와 분석 시간, 전처리, 실험기기와 시약 등을 필요로 한다(Nijpels et al., 1980).
우유를 적당한 온도로 가열했을 때, 우유 내 지방의 변화는? 본래 우유 내 지방은 직경이 0.1~20 μm(평균 3~4 μm)인구의 형태로 존재하며, 우유를 적당한 온도로 가열할 때 저온글로불린(Cryoglubulin)이 비가역적으로 변성되어 우유의 크리밍이 지연되고, 균질(Homogenization)에 의해 지방구의 직경은 1 μm 이하로 감소된다고 하였다(전 등, 2007). 본 실험에서도 가열 처리 및 균질 과정에 의해 크리밍을 줄이고, 지방구를 쪼개었으며, 입도 분석 결과, D90 값이 1 μm 보다 다소 큰 1.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7)

  1. Adhikari, C., Dooley, L. M., Chambers, IV, E. and Bhumiratana, N. 2010. Sensory characteristics of commercial lactose-free milks manufactured in the united states. J. Food Science and Tech. 43(1):113-118. 

  2. Antunes, A. E. C., Silva e Alves, A. T., Gallina, D. A., Trento, F. K. H. S., Zacarchenco, P. B., Van Dender, A. G. F., Moreno, I., Ormenese, R. C. S. C. and Spadoti, L. M. 2014. Development and shelf-life determination of pasteurized, microfiltered, lactose hydrolyzed skim milk. J. Dairy Sci. 97(9):5337-5344. 

  3. Colinas, C., Barrera, I. and Blanco, C. A. 2006. A novel correlation for rapid lactose determination in milk by a cryoscopic technique. J. AOAC International. 89(6): 1581-1584. 

  4. Henno, M., Ots, M., Joudu, I., Kaart, T. and Kart, O. 2008. Factors affecting the freezing point stability of milk from individual cows. International Dairy Journal. 18:210-215. 

  5. Jansson, T. 2014. Chemical changes and off-flavor development in lactose-hydrolyzed UHT milk during storage. Aarhus University. Denmark. pp. 16. 

  6. Jansson, T., Jensen, S., Eggers, N., Clausen, M. R., Larsen, L. B., Ray, C., Sundgren, A., Andersen, H. J. and Bertram, H. C. 2014. Volatile component profiles of conventional and lactose-hydrolyzed UHT milk-a dynamic headspace gas chromatography-mass spectrometry study. J. Dairy Sci. Technol. 94:311-325. 

  7. Kelly, P. M. 2003. Membrane separation edited by Roginski. H., Fuquay, J. W. and Fox, P. F. Encyclopaedia of dairy science. Academic Press. Netherlands. pp. 1777-1786. 

  8. Marzo, M. D., Cree, P. and Barbano, D. M. 2016. Prediction of fat globule particle size in homogenized milk using fourier transform mid-infrared spectra. J. Dairy Sci. 99(11):8549-8560. 

  9. Messia, M. C., Candigliota, T. and Marconi, E. 2007. Assessment of quality and technological characterization of lactose-hydrolyzed milk. Food Chemistry. 104:910-917 

  10. Nielsen, S. D., Jansson, T., Le, T. T., Jensen, S., Eggers, N., Rauh, V., Sundekilde, U. K., Sorensen, J., Andersen, H. J., Bertram, H. C. and Larsen, L. B. 2016. Correlation between sensory properties and peptides derived from hydrolysed-lactose UHT milk during storage. International Dairy Journal. In press. 1-9. 

  11. Nijpels, H. H., Evers, P. H., Novak, G. and RAMET, J. P. 1980. Application of cryoscopy for the measurement of enzymatic hydrolysis of lactose. J. Food Sci. 45: 1684-1687. 

  12. Pisponen, A., Moostse, H., Poikalainen, V., Kaartm T., Maran U. and Karus, A. 2016. Effects of temperature and concentration on particle size in a lactose solution using dynamic light scattering analysis. International Dairy Journal. 61:205-210. 

  13. Shipe, W. F. 1959. The freezing point of milk. A review1. J. Dairy Sci. 42(11):1745-1762. 

  14. Tossavainen, O. and Kallioinen, H. 2008. Effect of lactose hydrolysis on furosine and available lysine in UHT skim milk. Milchwissenschaft. 63(1):22-26. 

  15. Troise, A. D., Bandini, E., Donno, R. D., Meijer, G., Trezzi, M. and Fogliano, V. 2016. The quality of low lactose milk is affected by the side proteolytic acitivity of the lactase used in the production process. Food Research International. 89(1):514-525. 

  16. Vandenplas, Y. 2015. Lactose intolerance. Asia Pac. J. Clin. Nutr. 24:S9-S13. 

  17. 전우민 외 7인. 2007. 우유와 유제품의 생화학. 라이프사이언스. pp. 297-301.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